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7/19 20:58:47
Name WithOr
Subject 스타크래프트2 체험 소감
우선 스타크래프트2 체험을 하게 해준 메딕아빠 님과 항즐이님 PGR 운영진분들께 감사드립니다.

11시까지 행사 장소로 가야되는데 압구정 1번 출구에서 나와서 그 동네 버거킹에서 한참을 해맸다는..

항즐이님이 다시 전화해주셔서 무사히 행사장에 도착 +_+

도착하니 블리자드 부사장인 프랭크 피어스 부사장과의 질의 응답 시간이였습니다.

저는 스타크래프트2의 래더 시스템을 어떻게 운영할것인지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워크래프트3 처럼 자동 서치 방식인지 아니면 스타크래프트1 처럼 방만들어서 조인하는 형식인지

그리고 스타1 처럼 FAST 로 진행되는것인지 물어봤는데

워크3 의 래더 방식에서 좀 더 발전된 시스템을 운영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또 많은 분들이 여러가지 질문들을 해주셨는데 그래픽 최소사양이 어떻게 되는지와 들었는데 잘 기억이 ㅠ_ㅠ

기존 스타1에서 유명했던 맵들을 컨버팅해서 스타2에서 사용할수 있는지 이건 고려해본다고 했었던거 같네요

등등 다른 질문들도 많았는데 너무 많아서 다 적기가 힘드네요

스타2를 테란 10분정도 프로토스 한 30분 정도 체험해봤는데

너무 조금 테스트해본 느낌으로는

우선 그래픽은 굉장히 좋다라는것과  셔틀 물위로 지나가는데 물에 비치는 모습이 멋지더라구요 +_+

스피드한 박진감은 조금 떨어지지 않나 하는 느낌이였습니다.

와이드 모니터에서 해서 그런지 유닛들이 조금 작아보이는것도 문제였구

항즐이님을 비롯한 거기 오신분들 모두가 마우스가 너무 불편해서 제대로 테스트를 하는데 힘들었습니다.

인터페이스는 워3에 상당히 가까웠고 기존 유닛들의 테크트리도 크게 바뀌진 않았지만

프로토스는 템플러 아케이브랑 다크템플러 아케이드를 따로 지어줘야되서 조금 난감했습니다 -0-

자원은 5씩 채취가 되는데 이 부분이 조금 박진감을 떨어뜨리는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본진에 가스가 2개씩 있는데 가스는 상당히 빨리 떨어지고 떨어지면 그걸 다시 눌러주면 다시 조금 일정량이 차는거 같은데

정확하게 테스트를 못해봐서 못써본 유닛도 수두룩 하네요. 시간 관계상

아직 평가 하기에는 조금 성급한 단계인거 같고 조금 더 지켜봐야될거 같습니다.

출시전까지는 모르는거니까요.

조금 더 테스트 해보고 싶었는데 시간관계상 많이 하질 못했네요.

아 그리고 제가 잘못들은건지 아닌지 모르겠는데

최대 20명까지 동시에 플레이가 가능하다고 들은거 같은데 =_=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 -0-;

아무튼 빨리 스타2가 나와서 새로운 리그도 활성화 되고 우리나라에서 인기있는 게임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이상 허접한 후기였습니다 +_+
* anistar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8-07-19 21:59)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젖소맛 우유
08/07/19 21:01
수정 아이콘
수고하셨어요 ^^ 스타2 졸작이든 대작이든 어서빨리 해보고 싶다는..
戰國時代
08/07/19 21:01
수정 아이콘
게임 게시판이 맞지 않을까요?
야생올챙이
08/07/19 21:24
수정 아이콘
20명이라 -0-;
워크 6:6만 해도 완전 난장판인데 10:10은 좀 짱일듯
08/07/19 22:02
수정 아이콘
지금 스타 4:4로도 복잡한데 크윽
살인의추석
08/07/19 22:03
수정 아이콘
업저버 모드 지원 해주는 걸로 알고 있는데.......
08/07/19 22:41
수정 아이콘
그래픽 얘기는 특정 회사 그래픽 카드에 더 최적화되어서 나오느냐? 는 식의 질문이었던거 같은데
특별히 그런거 없이 다양한 PC 환경에서 호환되게끔 개발한다는 원칙적인 답변을 했던거 같습니다.
(사실 Q & A는 짧게 끝날줄 알아서 별다른 메모를 안 했는데, 생각보다 길어서 후회 중입니다 -_-)

...20명 플레이는 전 못 들어본거 같네요;; 기억이 영(...)
소나기아다리
08/07/20 03:06
수정 아이콘
글쓴이 님은 부대단위 말씀 하신게 아닌지....
포셀라나
08/07/21 06:39
수정 아이콘
지금껏 알려진 그래픽(동영상이나 이런것들)은 사실 좀 후달린다는 평이 지배적이지 않나요?

그래픽이 굉장히 좋다는건 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291 2008년 7월 26일 아레나 MSL 결승전 다시보기 [36] 질럿은깡패다6489 08/07/26 6489 5
35290 맵의 형평성에 대해.... [15] 자이너3953 08/07/26 3953 0
35289 맵 밸런스 논쟁에 관해. [50] 王天君5616 08/07/26 5616 0
35287 과연 르까프가 개인리그 결승 양대 팀킬을 만들어 낼것이냐 [22] 처음느낌5170 08/07/26 5170 0
35286 아레나 MSL 결승전 이제동vs박지수 [750] SKY929557 08/07/26 9557 0
35285 공방에서의 팀플.. 그리고 드랍핵... [18] GaRaeTo[HammeR]5069 08/07/26 5069 0
35283 2008. 7. 26. (土) 16주차 pp랭킹 택용스칸4717 08/07/26 4717 0
35282 15차 MSL 서바이버 토너먼트 오프라인 예선 대진표(수정버전) [24] 마음이6911 08/07/25 6911 0
35281 인크루트 스타리그 예선 대진표 (수정버전) [33] 마음이6972 08/07/25 6972 0
35280 온게임넷은 왜 계속해서 스타리그 진행방식을 변화시키는가. [48] 김홍진8841 08/07/25 8841 1
35278 08.7.26. The Extreme Match. [17] 구름지수~5365 08/07/25 5365 1
35277 WCG 2008 대표 선발전은 어떻게 될건지 기대됩니다. [15] hero6005369 08/07/25 5369 0
35275 색깔별로 보는 msl 예선 대진표. [29] on&on7456 08/07/25 7456 0
35274 프로리그 플레이오프 엔트리가 발표되었습니다.. [52] Missing you..8437 08/07/24 8437 0
35273 플레이오프 엔트리 떳습니다 [24] sunrise5707 08/07/24 5707 0
35272 프로리그 방식제안 [8] 信主NISSI4574 08/07/24 4574 0
35271 패자연전제 [29] 낭만술사5356 08/07/24 5356 0
35270 그때 그시절 팀리그 명장면 [14] UZOO5451 08/07/24 5451 1
35269 팀배틀의 모순점 하나 [47] SaiNT5215 08/07/24 5215 0
35268 프로리그 팀배틀 과연좋을까?? [62] yonghwans5343 08/07/24 5343 0
35267 다시보는 여러 선수들의 명장면(동영상이 많습니다 주의해주세요) [43] sunrise7599 08/07/23 7599 0
35266 삼황 오제 사천왕 설정집 5 [5] 설탕가루인형4713 08/07/23 4713 0
35265 프로리그에서 팀밀리 경기를 보고싶은건 저뿐인가요? [35] sunrise6686 08/07/23 668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