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8/01/29 13:19:17
Name 4thrace
Subject 르까프 오즈팀의 2007시즌 후기리그 우승을 축하드립니다.
#
Plus시절- 쉬운 팀이었습니다.

성학승 선수 정도만 어느정도 팬들에게 알려진 선수였고 그마저도 곧 SKT1으로 이적하게 됩니다.

질럿공장장이라 팬들이 이름붙여준 오영종이란 신인선수, 그리고, 김성곤, 이학주 선수가 프로토스, 저그, 테란라인의 주축이던, 낯설은 팀이었습니다.

2004년 스카이 프로리그 2라운드는 출전할 수도 없었습니다.

1라운드 최 하위팀으로서 규칙에 따라 리그출전금지를 당했습니다.

Plus의 경기를 더 이상 프로리그에서 볼 수 없었습니다.

Plus가 해체된 것 아니냐? 또는 해체되는 것 아니냐? 는 소문까지 떠돌았습니다.  




#
오영종 선수의 스타리그 우승

So1배는 Plus팀 살리기 프로젝트의 작전지역 501이었습니다.

황제와의 결승이었습니다.

Plus라는 이름없는 팀의 신인선수가, 황제라고 불리는 사나이와 맞붙었습니다.

그리고 거머쥔 우승컵과 조정웅 감독의 눈물.

Plus팀의 기둥이 탄생하는 순간이었습니다.  





#
이학주 김성곤 조합

팀플은 개인전보다 더했습니다.

그런 와중에 고심으로 탄생한 이학주- 김성곤 조합

2004년의 리그 출전권 박탈의 한계상황까지 간 고심에서 길러낸 무기중 하나인, 이학주- 김성곤 조합.

Plus팀이 팀플에서 승리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시작했습니다.







#
르까프 오즈 창단

팀이 되기 시작하면 복이 따르는 법.

So1배 흥행 성공으로 최고 인기 선수중 하나가 된, 오영종 선수의 영향력과, 팀 전략으로 어느정도 중위권 정도는 노려볼만하게 된 팀전력 상승은 창단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르까프 오즈 임직원의 이스포츠에 대한 각별한 애정이 이를 또한 가능하게 했습니다.





#
파괴의 신- 이제동 선수

무슨 일이 될려고 하면 화룡점정이 되어야 합니다.

원래는 용의 눈알이 될 수 있을지 알수 없는 선수였습니다.

오영종 원맨팀.

중하위권을 차지하는 팀들의 공통적 특징인, 선수층 빈곤의 한계를 지속적으로 느끼던 르까프였습니다.

이제동 선수가 프로리그에서 연승을 거둬줌에 따라, 더이상 르까프팀엔 오영종 원맨팀이란 수식어가 따라 붙을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프로리그는 잘하는데, 개인리그는 성적이 잘 안나온다는 팬들의 질책.

르까프의 과거를 알고 있기에 팀을 위해 한번 더 노력하고, 자신의 영광은 뒤로 미루는 이제동 선수의 선택일 수도 있었겠다... 지금은 이런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두번째 로얄로더로서의 스타리그 우승

그리고 2007년 시즌의 팀의 후기리그 우승

화룡점정이 됩니다.






#
르까프 오즈 2007 후기리그 우승.

용은 날아야 합니다.

드높은 이상을 품고, 저 높은 창천으로 날아야  합니다.














하나 둘 셋- 르까프 화이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1/29 13:22
수정 아이콘
다른 필력 좋으신 분들이 써주시기를 바랬는데, 필력 떨어지는 제가 무리하게 쓰게 된 점 아쉽습니다.
08/01/29 13:28
수정 아이콘
사실 쓰고 싶어도 경기를 제대로 못 봤던 지라 애매하더군요.ㅠ_ㅠ(제가 필력이 좋다는 게 아니라 축하글이 좀 없어서 아쉬운 마음이 좀 들어서 말이죠.^^;;;)
요새 코 혈관이 약해서 자주 피를 쏟는데, 그날도 경기 시작 전에 코피 쏟고 어질어질하던 차에 3경기까지 보다가 그냥 얌전히 CSI 보고 우승했단 소식에 뒷장면만 봤었거든요.ㅠ_ㅠ(어젯밤에야 VOD 돌려봤습니다.)
뭐 예상대로 르까프 축하글이 별로 없어서 아쉬웠지만, 그렇다고 해서 르까프 우승한 사실이 어디 가는 것도 아니고...^^;;
암튼 르까프 우승 축하하고, 그랜드 파이널 기대하겠습니다.
더불어 개인리그에서도 좋은 성적 거두시길.(이왕이면 MSL은 오영종 선수가...^^a)
메딕아빠
08/01/29 13:30
수정 아이콘
2라운드 출전조차 못할만큼 ... 아픔을 겼었던 시절이 있었기에 ...
지금의 르까프 OZ 가 만들어졌을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이제동. 오영종 ... 이 두 이름만 들어도 ... 무게감이 느껴집니다.
르까프 OZ ... 화이팅 ...!
터져라스캐럽
08/01/29 13:36
수정 아이콘
파괴의신 이제동......이 별명이 정착되는건가요....
왜 제가 다 민망할까요;;;;;;;;

아무튼 르까프팀의 우승을 축하드립니다~~
김효경
08/01/29 13:40
수정 아이콘
성학승, 박지호, 박성준이 나가고 이렇게 우승팀이 될 줄은 정말 누구도 예상 못 한 일이었죠 축하드립니다 르까프 오즈
논두렁질럿
08/01/29 13:42
수정 아이콘
다른팀과는 다르게 르카프는 무려 두명의 신?을 보유하고 있죠.

사신 & 파괴의 신

신이 둘이나 있으니 당연히 최강? 뻘쭘하군요....죄송
초보저그
08/01/29 15:15
수정 아이콘
정말 사람 일이라는 것이 누구도 모르나봅니다. 예전에 꼴찌해서 프로리그 2라운드에 출전할 수 없었을 때, 솔직히 잘됐다고 생각했습니다. 너무나 전력이 약해서 어느 팀과 붙어도 긴장감 없는 경기를 보여줬기 때문이죠. 그런 팀이 가을의 전설 오영종 선수를 길러내고, 스폰서 계약을 따내고, 창단하고, 이제동 선수를 발굴하고, 원투펀치를 받쳐줄 수 있는 선수들까지 생겨서 프로리그에서 우승을 했습니다. 리그 최하위 팀부터 시작해서 극적으로 팀을 리빌드해서 우승하는 마치 게임같은 시나리오입니다. 이런 르까프의 경우도 있으니까 시간이 더 지나면 이스트로팀이 우승하거나 아니면 플레이오프에라도 진출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까요?
테란뷁!
08/01/29 15:56
수정 아이콘
초반엔 김현진선수도 있었죠. 동양으로 이적했지만.. 그리고 만년신인 박지호선수도 있었고요. 팀리그에서 성학승선수가 잘해줬었죠. 마치 삼성칸의 안석열선수처럼 말이죠. 그때 당시 성학승선수가 없었다면 거의 모든 경기를 4:0,4:1 정도로 졌을겁니다.
abrasax_:Respect
08/01/29 16:31
수정 아이콘
이래야 게임 볼 맛이 나는거죠... 이렇게 보니 드라마군요.
08/01/29 17:08
수정 아이콘
4thrace님//너무 겸손하십니다. 마치 이건 장동건이 '저 너무 못생겼어요' 이러는것 같네요. 좋은글 잘봤습니다^^
08/01/29 20:34
수정 아이콘
Artemis님// MLS이 아니라 MSL 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984 박카스 스타리그 8강 1주차 - 저주 올킬은 없었다 (완료) [76] The xian9215 08/02/15 9215 0
33983 1년만에 다시 시작된 악몽 [부제 : 파이터포럼의 협회 편들기] [27] The xian6708 08/02/15 6708 0
33982 작금의 피지알, 또는 스타판. [34] Dee5279 08/02/15 5279 3
33981 07시즌부터 현재까지 공식 및 비공식 경기 합산 승률 순위 [28] purun5321 08/02/15 5321 1
33980 삼황 오제 사천왕 -第一章- [14] 설탕가루인형5511 08/02/15 5511 1
33979 이런 스타브레인은 어떨까? [19] 브레인4406 08/02/15 4406 0
33978 이제동 대 이영호 엄청나게 재밌게 봤습니다. [1] arq.Gstar4561 08/02/15 4561 0
33977 헬게이트 : 런던의 유료화가 발표되었습니다. [15] The xian6957 08/02/15 6957 0
33976 이제동 vs 이영호 후기 [4] 쿠야미4979 08/02/15 4979 0
33975 히통령, 심소명 선수도 공식 은퇴를 하네요 [27] 허저비10376 08/02/15 10376 0
33974 재미로보는 혈액형과 프로게이머 [20] happyend10962 08/02/15 10962 0
33973 이제동을 잡아라 [54] 종합백과6886 08/02/15 6886 1
33972 기대했던것보다 못한것은 저뿐인가요? [68] Canivalentine6908 08/02/15 6908 0
33971 눈물과 추억 [8] amiGO4345 08/02/15 4345 0
33970 전율 - [5] 방랑폐인3906 08/02/15 3906 0
33969 다섯번째 패러다임, 멀티태스킹. 그리고 패러다임의 충돌. [6] legend5069 08/02/15 5069 0
33967 MSL 8강 이제동/이영호 관람평 [22] Ace of Base9218 08/02/14 9218 1
33966 인간이 아닌 듯한 이제동.(리그일정추가) [15] Akira6062 08/02/14 6062 0
33965 차기 5대 본좌 후보.. [56] 삼삼한Stay7200 08/02/14 7200 0
33963 저그의 모든 유형을 소화해내는 이제동 [71] 냐옹까꿍6553 08/02/14 6553 0
33962 혁명의 계절은 가고.... [41] 프렐루드5768 08/02/14 5768 0
33961 과연 e-sports 인가... [8] Again4627 08/02/14 4627 0
33959 다시 시작해보자. [4] Ace of Base5086 08/02/14 5086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