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1/03 22:49:31
Name 블러디샤인
Subject 낭만의 시대를 살아온 한 사람에게 바치는 글
전략가 멸종의 시대
절대물량의 시대를 지나 고도의 심리전까지 파고드는 현재 상향평준화 스타계에 낭만의 시대를 추억하며 현시대를 거슬러 오르는 이들이 있다

신희승 강민 그리고 서지훈

난 아직도 예전의 경기들을 추억한다

박용욱의 악마의 프로브도
김성제의 리버도
박성준의 저글링 러커도
박정석의 테란전 앞마당 돌파도
나도현의 벙커링도
변길섭의 불꽃도
그리고 김동진이라는 프로게이머의 단 한경기를 아직도 기억하고 있다

헌데 지금 그 선수들이 대부분 보이지가 않는다

과거에 영예를 가졌던 선수들은 열심히 노력은 하고있지만 스타의 승리공식의 발전속도만큼 뒤따라 가지 못했기때문에 그들은 현재 머물러 있는것이다

아니 이미 그들이 가지고 있던 장점을 다 빼앗겨 버렸는것일지도 모르겠다

무수한 경기들속에 그들의 스타일은 이미 대중화가 되어버린것일지도..


서지훈..

다수발업질럿 드라군 리버 하이템플러로 프로토스가 지상군싸움으로 테란의 메카닉을 상대할수있는 위치까지 올라온 지금 그의 스타포트를 짓는 scv모습에서 과거의 향수를 느꼈다

미묘한 감정..

그건 승부사들의 한줄기 빛과 같은 목숨

그리고 그것을 승리로 만든다

현대판 검투사들의 로망이 아닐까

난 서지훈의 전략이 연습경기때 100% 먹히는 전략이었는지 아니면 50%였는지 30%였는지 잘 모르겠다

하지만 한번 깔끔히 잡힌후 패색짙은 전쟁을 다시한번 목숨을 내던지며 승리로 이끌었다



나는 그가 4강에 올라갔다는 사실에 놀라지 않았다

아니 그가 아직 보여줄 가능성이 더 있다는데 안심했다

누가 그를 b급이라고 부르는가

누가 김택용의 압승을 예상하는가


예상은 예상일 뿐이다




전략은 돌고 도는 법이다

하지만 시대는 과거를 기억할뿐 과거로 회귀하진 않는다

여기에 미래를 뒤흔들 과거의 전사가 돌아왔다

그의 퍼펙트테란의 닉네임이 부활하길 바란다



목마름이 지속되면 물을 찾기 마련이다

우승을 원하는 거라면 다시한번 게임에 미쳐보자


그의 손에 다시한번 트로피가 쥐어지는 그날을 추억할수있게 되기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연두
07/11/03 22:50
수정 아이콘
감동의 서지훈
Black_smokE
07/11/03 23:13
수정 아이콘
김성제의 리버도 박?! 스캐럽 터지는게 도박이란 말인.... 퍽~
내생에복날은
07/11/03 23:22
수정 아이콘
그럼 성준의 저글링럴커는 성준모의 저글링럴커 오타인가요?^^
07/11/03 23:36
수정 아이콘
클래스는 영원하다
몽키.D.루피
07/11/04 01:32
수정 아이콘
박용욱의 악마프로브 ---> 초반 집요한 일꾼 견제는 이젠 기본기
김성제의 리버 ---> 이젠 리버로 견제와 정면 돌파, 수비를 자유자재로 구사해야 함
박성준의 저글링 럴커 ---> 레어로 테란 이기려구?(물론 이길수는 있겠지)
박정석의 테란전 앞마당 돌파 ---> 캐리어 없이?
나도현의 벙커링 ---> 현란한 드론 컨트롤 또한 이젠 기본기
변길섭의 불꽃 ---> 이젠 성큰도 필요없다. 뮤짤에 힘없이 죽어나가는 마린들....

실력의 상향 평준화와 스타일의 동일화가 가장 큰 원인이 아닐까요......흔히 말하는 양산형들.....
낭만시대때 그들이 보여준 모든 것들이 이젠 기본기가 되어버린 거죠. 그리고 또 한사람....

임요환은 자신만 보여줄 수있는 것을 보여 주려고 항상 노력하는 가 봅니다.

써놓고 보니 임빠글.....
지니-_-V
07/11/04 01:45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선수들의 한가지 특화돼었던 기술들이 이젠 모든 선수들의 기본기가 되어버렸죠..
07/11/04 01:59
수정 아이콘
근데 서지훈선수가 전략가의 이미지였나요? 그냥 가장 단단한 테란, 정석적인 테란이란 이미지였는데요.
저만 이렇게 알고 있었던건가요?
아리송하네요.
구리땡
07/11/04 02:43
수정 아이콘
서지훈선수는 3만년-김정민선수와 더불어 "정석"류의 수장 격, 그야말로 Basic 테란계의 아버지로? 스타역사에 남겠지요~ ^^
07/11/04 04:35
수정 아이콘
예전 클래식한 전술이.. 지금은 전략에 가까워졌죠..
winnerCJ
07/11/04 07:12
수정 아이콘
SkPJi님// 서지훈 선수가 전략가의 이미지는 아니지만
이 글은 서지훈 선수의 4경기에 정말 좋은 인상을 받아서 쓴 글 같네요.
요즘 원팩 원스타를 보기 힘들었는데 서지훈 선수가 보여주었고
엄청난 전술로 이겨버린 모습은 정말 인상깊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916 이제는 7전4선승제가 보고싶다 [28] 오가사카5705 07/11/19 5705 0
32914 프로리그는 연고지가 불가능 할까요? [26] 마빠이6257 07/11/19 6257 1
32913 천재테란 이윤열 그 고난의 역사..-이윤열과 OSL죽음의 길-(1) [15] 꼴통저그5945 07/11/18 5945 7
32912 프로리그 주 5일제로 확대된 현 시스템 과연 성공인가 실패인가? [86] opSCV6296 07/11/18 6296 8
32911 김택용, 훼손당할 것인가 [36] 김연우11735 07/11/18 11735 69
32910 댓글잠금 정말 팀리그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더 많나? [94] epichigh8373 07/11/18 8373 26
32909 바둑의 경우처럼 "타이틀" 형태의 스타리그 개최는 어떨까요? 그러면 종족전용맵을 쓸수 있습니다. [13] 4591 07/11/18 4591 0
32908 영원한 강자는 없다 [5] 로바로바4440 07/11/18 4440 2
32907 팀리그의 장점 [24] 정테란4322 07/11/18 4322 1
32906 곰TV 시즌3 결승전 사진후기 [트래픽문제 수정;] [9] 태상노군4699 07/11/18 4699 0
32905 어제 MSL 결승 정말 재밌군요. [7] 이직신5544 07/11/18 5544 1
32904 뒷 담화를 봤습니다. [18] 처음이란6838 07/11/18 6838 0
32903 결승전 리뷰 - 양산형의 반란, 새로운 시대의 도래 [12] 종합백과6498 07/11/18 6498 9
32902 결승전 1경기 양선수 빌드오더입니다. [12] 태엽시계불태6285 07/11/18 6285 3
32901 스타크래프트2에 바라는 새로운 인터페이스(?).. [8] 청바지4880 07/11/18 4880 0
32900 오랜만에 다녀온 MSL 결승전 사진과 후기~! -ㅂ-)/~ [10] Eva0105510 07/11/18 5510 1
32899 스타크래프트 판에도 랭킹제 도입은 어떨까 합니다. [2] This-Plus4323 07/11/18 4323 0
32898 간단히 적어보는 곰티비 MSL 시즌3 결승전에 대한 단상. [12] MaruMaru4865 07/11/18 4865 0
32897 MSL을 진출했을때 한 박성균의 인터뷰 [6] 못된놈6282 07/11/18 6282 0
32896 주변에 pgr 하는 사람이 몇명이나 있나요? [44] pioneer5069 07/11/17 5069 0
32895 MSL 결승이벤트 당첨자 ... 10만원의 주인공은 ...? [32] 메딕아빠4777 07/11/17 4777 2
32894 김택용, 마약 처방 대신 기본기에 충실하라! [37] ArcanumToss7773 07/11/17 7773 9
32893 재미있어지게 되었습니다 - 박성균, 이윤열 선수. 그리고 위메이드 폭스. [20] The xian6630 07/11/17 6630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