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10/20 16:42:09
Name 회전목마
Subject 오랫만에 스타를 '해'보았습니다.
2005년 당시 저는 갑자기 케이블 편성표에 추가된 온게임넷을 보며 좌절을 해야만 했던 고3이었습니다 ㅠ.ㅠ

한창 학구열에 불타올랐어야 할 때 였지만 주종이 프로토스였던 저는 그만 가을의 전설에 푹 빠져버리고 말았죠....

(뭐 후회는 없었습니다. 그저 덤덤했죠...)

수능이 끝나자마자 이번엔 MBC게임도 나오더군요....

그래서 뭐 재수생각 접었습니다 ㅡㅡ;;;

하지만 저의 스타실력은 방송을 보기 전이나 보고난 후나 '공방백정'수준을 벗어날 수 없었습니다.

그 이유는 이상하리만큼 배틀넷만 들어가면 심장이 두근두근 뛰고 손을 지멋대로 떨리는 '배틀넷 울렁증'이 너무 심했습니다.

Join 버튼 앞에서 클릭할까 말까 고민만 하다가 그냥 싱글하기 일쑤였죠

스타를 처음한게 99년 초6때인데도 불구하고 배틀넷 1:1을 한게 채 열판도 안됬죠

2006년도 스타리그, 프로리그 가리지 않고 두루 섭렵하면서 게임을 보았지만

이상하게도 배틀넷 울렁증은 가시질 않았습니다.

각 선수의 주로 쓰는 전략과 맵의 대한 정보, 경기에 대한 정보 등

이론은 나름 빠삭했지만 어처구니 없는 실력으로 입스타 소리를 몇년 들어야 했죠

2007년도에 들어오면서 늘어난 경기들과 직업의 변화로 경기를 챙겨본다기 보다 그냥 틀다 나오는 경기를 볼 뿐이었습니다.

(프로토스가 나와도 시큰둥, 응원하는 선수가 나와도 그저 시큰둥...)

근데말이죠. 배틀넷 울렁증에 시달리던 제가 갑자기 스타가 '하'고 싶어졌습니다.

뭐 실력이야 예전과 같은 공방백정 수준이었지만 배틀넷 울렁증은 많이 사라지더군요

(뭐 그냥 질게 뻔하니까 체념한 상태에서 게임을 해서 그런지는 몰라도요)

로템에서 저그유저와 한판 해보았습니다

뭐 럴커에서 뮤탈로 넘어가는 유연한(나름 생각하기에) 체제전환에 저는 그냥 웃으며 GG를 칠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렇게 오랫만에 한판을 한뒤 이틀째인 오늘. 또 한판해 보았습니다.

역시 로템에서 이버엔 랜덤유저와 한판 했습니다.

저번판과 같은 위치에 나왔길래 그 방향으로 정찰을 나갔는데

한번에 정찰에 성공했습니다 상대는 저그였습니다

'음... 같은 자리에 같은 종족이라... 그럼 전략도 같겠지?' ←뭐 어처구니 없는 생각이지만  나름 그럴싸하죠?

투게이트에서 질럿+드라군 적절하게 뽑아서 어택한번 갔는데 역시나 럴커로 막 변태를 하더군요

다행히 로보틱스를 빨리 올려서 옵저버를 빨리 뽑고 냅다 재차 어택을 들어갔습니다

그런데.....제가 이겼습니다.... 나름 한방러쉬가 들어간 모양입니다

뭐 컨트롤이고 멀티고 아무생각 없이 드라군만 줄창 뽑다 이겼습니다 ^^

근데 이긴것보다 더 중요한건....

이제는 경기가 끝나니까 그동안 참았던 긴장이 풀려서인지 심장이 또 뛰기 시작합니다 걸음도 제대로 안걸어지더군요...

해서 이제 저의 전적은 2승 3패(예전에 팀플 몇경기 한거까지 포함해서입니다^^)

너무 기분이 좋아서 감히 PGR에 글을 남기네요^^

나중에 아시아 서버에서 'Krazi'라는 아이디를 보시면 반갑게 인사해 주세요^^



P.S 두판을 했는데 다행히 핵 쓰는분은 안 만났네요^^

P.S2 제발 '일기는 일기장에...'라는 리플은 달지 말아주세요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0/20 16:48
수정 아이콘
제가 예전에 겪었던 경험을 똑같이 하시네요. 전 지금은 1:1이건 팀플이건 평온하게 게임을 하지만 팀플시 2:1상황이 되었거나 개인전시 불리함을 극복하고서 이길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때 심박수가 올라가곤 합니다. 그 짜릿한 맛에 스타를 못접는거겠지요.
07/10/20 16:49
수정 아이콘
이러한 사소한거에 설레임을 느끼고 가슴 두근거려 하는 걸 보니
정말.. 부럽(?)군요^^
지금 순간이 가장 스타가 재미있는 시기가 아닐까..? 생각되네요
열심히 게임 자체를 즐기시구.. 다음에 아시아에서 만나면 한판해요.!!
07/10/20 16:52
수정 아이콘
전 배틀넷에선 긴장이 안됩니다 (실력은 하수)
하지만 친구들이랑 겜방에서 1:1하면 무척이나 심장이 뛰더군요
펠릭스~
07/10/20 16:54
수정 아이콘
그 심장 뛰는 기분...최고죠...
엘케인
07/10/20 16:56
수정 아이콘
장가가고 첨으로 스타하면서 밤을 샐 뻔 했으나, 마눌님에게 붙잡혀서 3시에 피씨방에서 끌려나왔습니다. 오늘 새벽이네요.
개인전은 안하고, 팀플만 했는데(스타는 99년부터 했죠) 6시간 동안 딱 한 판 이겼습니다.
왜 이렇게 실력이 늘지 않는것인지....
시미래
07/10/20 17:05
수정 아이콘
전 수능후 대학 들어가기전, 그리고 대학 1학년 마치고 휴학한 뒤 스타를 정말 많이 했습니다.
그때는 배넷에서 1:1할 떄면 정말.. 두근두근하는 긴장감이 느껴지곤 했습니다.
지면 정말 아쉽고, 분하고..

그런데 이제는 뭐랄까.. 그런 열의?가 사라졌네요.
지금은 그저 심심풀이에 입스타만 즐기는 수준.
예전에 배넷에서 느꼈던 긴장감도 더이상 느껴지지 않네요...
07/10/20 17:42
수정 아이콘
2년전 저한테 스타를 가르쳐주던 룸메형을 처음으로 이기기 직전까지 갔을때 (비록 그형이 주종이 아니였지만 -_-) 진짜 심장이 터질듯한 경험을 했죠...크크

그 경기를 포함해서 딱 두번 이겨봤죠
낭만토스
07/10/20 18:35
수정 아이콘
저랑 나이가 같으시네요. 99년에 초 6이었는데
회전목마
07/10/20 18:40
수정 아이콘
WeaPhen님// 친구들이랑 할떄는 괜찮은데 졌을때 후폭풍이 후덜덜하죠 ㅡㅡ;;;
스타를 진정 즐기는법을 깨달은것 같아 요즘 기분이 너무 좋네요
07/10/20 19:32
수정 아이콘
빌드의 차이가 요즘 방송경기를 많이 보고 자주 하는 사람들은 최신빌드를 쓰지만 방송도 안보고 가끔 하신는 분들은 옛날 빌드를 쓰시는 분들이 종종 있어서 어뚱한데서 애먹는경우가..
07/10/20 21:28
수정 아이콘
글 너무 재밌어요~~ ^^ 저도 공방백정임. 함께해요~ (멍청하게도 포맷을 잘못해서 씨디키가 다 날아가 브레인 서버를 이용하고 있음)
07/10/20 21:28
수정 아이콘
휴... 저도 오랜만에 스타를 했습니다. 핵을 썼는지 어쨌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10전 10패... 그 10패도 모두 10분 안에 끝났습니다. -_-;;;흑흑...
07/10/20 22:30
수정 아이콘
저도 공방천민 수준입니다. 어제 5개월만에 스타 들어갔는데(시디키를 잃어버러셔... 가물가물한 기억으로 노가다좀 했더니 짜잔)
후.. 힘들더군요
07/10/20 22:45
수정 아이콘
저는 스타를 자주 즐기고 있죠. 실력은 중간정도? (절대 자랑 아닙니다. pgr 식구분들 중에는 정말 잘하시는 분들이 많거든요...)
간간히 1:1 위주의 게임을 자주 하는데, 아쉽게 질때가 많네요. 친구들과 만나서 팀플을 하면 백전백패...
크... 그럴때 속에서 욱 하고 올라오는걸 보면 아직까지 스타에 대한 열정은 식지 않았나봅니다.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620 [PvT]소수게이트->리버->캐리어 [59] 공유7910 07/10/13 7910 0
32618 어제 프로리그 CJ ENTUS vs 위메이드 경기 관전평 [2] 후리4555 07/10/30 4555 0
32616 윤용태vs이성은 [한빛 vs 삼성전자] 5경기 경기분석 [3] Saturday4182 07/10/30 4182 0
32614 다시 돌아오는 테란 우울의 시대?(제목수정) [32] 프렐루드5690 07/10/30 5690 0
32613 플토의 대저그전 - 다크아콘의 중반 활용 어떨까요? [10] 냠냠^^*4790 07/10/30 4790 0
32610 이스트로에서 외국인 연습생을 선발하려고 하는군요... 기대가 됩니다^^ [22] 한방인생!!!7458 07/10/30 7458 0
32603 [L.O.T.의 쉬어가기] 임요환... 당신의 한계 따위를 버려라... [13] Love.of.Tears.7476 07/10/28 7476 0
32602 프로리그 재미 없습니다. [158] 내스탈대로9180 07/10/29 9180 0
32600 지금의 임요환 선수를 말하다.. [6] 고등어3마리4959 07/10/29 4959 0
32598 이번 MSL에 대한 설레발 [49] Axl6184 07/10/29 6184 0
32597 현재 최고의 스페셜리스트는 누구일까요?? [47] 디럭스봄버7331 07/10/29 7331 0
32594 2007.10.28일자 PP랭킹 [10] 프렐루드4927 07/10/28 4927 0
32593 전략 중독 [20] 포도주스6218 07/10/28 6218 0
32592 임요환선수의 저그전 [17] 에버쉬러브7064 07/10/28 7064 0
32590 [공지] 일부 게시판 글쓰기 권한변경 안내. [6] 메딕아빠4384 07/10/28 4384 0
32588 한숨나오는 요즈음 프로리그..ㅠ.ㅠ [19] My name is J6745 07/10/28 6745 0
32586 e스포츠 팀과 축구 팀 비교 [26] 택용스칸5012 07/10/28 5012 0
32584 [TvZ]레이스테란 [3] 공유4091 07/10/28 4091 0
32582 현재의 프로리그 방식을 이렇게 바꾸면 어떨까요? [26] 드림씨어터4399 07/10/28 4399 0
32580 1주일후. 다시 한번 그가 웃는다. 씨익~ [14] Go_TheMarine5141 07/10/28 5141 0
32579 왜 스타챌린지는 평점을 매기지 않나요? [4] AnDes4155 07/10/28 4155 0
32576 스타크래프트 & 프로토스 [7] 인연과우연5006 07/10/28 5006 0
32575 카트리나... 롱기누스 생각이나네요.. [6] 라구요4927 07/10/28 492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