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7/07 02:39:02
Name 이영나영
Subject 플토건물상식과 송병구선수의 문제해결
초보분들에겐 매우 유익한 그러나 전략이라곤 할수없는 그런 글입니다.
일단 설명에 가기전에 간단한 기호설명
[]: 주의건물, (): 모든건물
입니다.

예를들어
-----------
A[]  
  ()B
-----------
라는 그림은 A가 []와 () 사이를통과해 B로 간다는 것을 나타낸것입니다.



1. 일꾼 가둬지는 경우 예방하기

일꾼은 질럿과 함께 플토에서 가장 작은 소형입니다.
그리고 닥템과 하템은 특이적으로 질럿과 프로브와는 다릅니다.
즉 일꾼이 통과가능하면 질럿은 가능하지만 하템과 닥템은 불가능할경우가 있습니다.
우선은 일꾼의 경우(안될시 플토 전 지상군이 안되는경우)

-----------
A[]  
  ()B
-----------

이때 []에 건설시 통과불능건물은
옵저버토리, 아비터트레비널
단 두개밖에 없습니다.

-----------
  ()
A가스B
  ()
-----------

이때는 절대 A에서 B로 갈수없습니다.

-----------
A()
  []B
-----------

이때 통과가능한건물은
[]: 게이트, 로버틱스퍼실리티, 옵저버터리, 베터리, 케논
이 통과가능합니다.
(여기서 넥서스가 안된다는 사실을 처음알았음)

2. 다크템플러 몰래건물시 주의할점

닥템은 몰래건물시 특히 주의해야합니다.
질럿몰래건물은 프로브통과를 응용하시고(몰래건물할시 프로브로 확인해주면 최고), 리버야 셔틀없이 기어가실것 아니니 패스
또 닥템못지나가는곳=하템못지나가는곳 입니다.

-----------
A게이트
  []B
-----------

이때 []에는 파일런을 제외하고 모두 막힙니다(이런 먹튀)

-----------
A[]
게이트B
-----------

이때 []에는 포지, 로버틱스퍼실리티, 로버틱스서포터베이 가 뚫리고 나머지는 막힙니다

3. 송병구선수의 문제

-----------
A게이트
게이트B
-----------

이건 위에 2번에서의 예제를 응용하면 당연히 막히죠
해결끗...간단하군요 송병구선수가 질럿과 프로브가 통과하니 닥템도 통과할것이라는 착각을 하셨나봅니다.

4. 이건 질문인데요

질게에 적기엔 한줄짜리 간략질문이라...
로템 2시에서 저글링하나도 못들어오게하면서 서플2개 배럭1개로 효율적으로 입구막는법 있나요? 전 못하겠던데.... 로템 2시만 유독 안막히더라구요

아 추가로 레퀴엠 2시쪽에 마린이 배럭에 튀어나올때 본진쪽으로(입구쪽이아닌) 나오면서 서플1개 배럭1개로 막는 법있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청바지
07/07/07 04:05
수정 아이콘
음.. 열심히 실험해 보신듯 하신데.. 그림이 직관적으로 잘 이해가 안되는군요.
그리고 레퀴엠은 수정되면서 모든 위치에서 마린이 안쪽으로 나오는게 가능했던걸로 아는데. 서플 위에 짓고 배럭 두칸 오른쪽 아래에 붙여 지으면 됐던걸로 기억합니다.
이영나영
07/07/07 04:14
수정 아이콘
네오레퀴엠이 아니라서 그랬던걸까요;;;
아무튼 답변 감사합니다
07/07/07 04:52
수정 아이콘
게이트를 몰아지을 때 조심할 것은 하템, 닥템이죠. 둘은 데미지 유형이 소형이지만 크기는 질럿<하템<닥템이라서 저 둘은 게이트 잘 못 지으면 못 빠져나오고 송병구 선수는 거기서... 실수를 한 거죠. 질럿이라면 나올 수도 있었겠지만;
하수콩
07/07/07 04:54
수정 아이콘
저도 잘 이해가 안되네요.
이영나영
07/07/07 04:57
수정 아이콘
------- : 이건 막힌 지형을말하는거고
AorB : 이걸 좌표로치고
[]or() : 이걸 건물로치는겁니다
제 설명이 무쟈게 어려운가봐요 ㅠㅠ
07/07/07 05:40
수정 아이콘
제가 제대로 알아들었는지 모르겠지만,
괄호 "()"가 임의의 건물을 뜻하고 (게이트, 포지, 넥서스, 로보틱스 등등 아무 건물)
브라켓 "[]"이 밑에 추가설명이 있는 건물을 칭하는거 같네요.

그러므로 1번의 경우엔

[아비터트리뷰널]
A -------------------------> B
(넥서스)

이런식으로, A지점 부터 B지점까지 일꾼 통과가 불가능 하다는 뜻인듯 하네요. (윗 건물이 옵저버토리, 아비터트리뷰널일 경우 + 아랫건물이 게이트,로보틱스, 배터리, 옵저버토리, 캐넌이 아닐 경우)

2번의 경우엔 파일런 이외 타 건물을 게이트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붙여 지을실땐 주의하셔야 한다는게 포인트인듯.
07/07/07 05:48
수정 아이콘
아참, 질문이 하나있는데요, 원문의 설명이 맞다면,

(넥서스)
[넥서스]

이렇게 붙여지음 프로브가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또는 반대로) 이동이 불가능하겠네요?

아,그리고 또하나,

[아비터트리뷰널]
(스타게이트)

이런경우도 통과가 불가능하구요.
미친여자친구
07/07/07 07:14
수정 아이콘
로템 12시 테란이 입구를 막으면 프로브는 통고 못하는데 질럿은 통과하는 경우가 가끔 있는걸 경험했는데요.
저 혼자만 그런건가요? 다른분 그러신적 없으세요?
리플이라도 저장해 둘걸 그랬네요 분명 그랬는데... 신기하게
유동닉
07/07/07 07:44
수정 아이콘
스샷이 첨부되면 이해가 빠를 듯. 다들 귀차니즘에 빠진 게 아닌가 싶어요
마린이랑러커
07/07/07 10:47
수정 아이콘
로템에서 8시 제외하고 서플과 배럭만으로 저글링 못들어오게 할 수 있나요?
zephyrus
07/07/07 10:50
수정 아이콘
네오비프로스트 7시 지역 뒷길을 파일론으로 막으면
프로브는 통과하지 못하지만 질럿은 통과할 수 있습니다.

다른 경우는 찾아보지 못했지만, 신기해서 기억하고 있지요..
질럿이 프로브보다 작은가보다 하며...
Electromagnetics
07/07/07 10:52
수정 아이콘
로템에서 굳이 저글링 못 오게 막으시려면.. 8시가 아니시고..
그렇다면 아카데미를 지으셔야하죠.
서플과 서플이 가로로 있으면 저글링이 지나가거든요.
아카 서플
배럭 or 배럭 <ㅡ---이런 형태가 아니면 저글링 못 지나가게는 못합니다. 아카데미가 왼쪽 서플이 오른쪾이 포인트구요.

근데 글 이해하는데 좀 시간 걸렸습니다.
ArKanE_D.BloS
07/07/07 12:19
수정 아이콘
기호 이해하는데 꽤나 오래걸렸습니다.
스샷을 첨부해주시면 훨씬 쉬울텐데..
좋은자료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902 결승전 1경기 양선수 빌드오더입니다. [12] 태엽시계불태6397 07/11/18 6397 3
32901 스타크래프트2에 바라는 새로운 인터페이스(?).. [8] 청바지4988 07/11/18 4988 0
32900 오랜만에 다녀온 MSL 결승전 사진과 후기~! -ㅂ-)/~ [10] Eva0105601 07/11/18 5601 1
32899 스타크래프트 판에도 랭킹제 도입은 어떨까 합니다. [2] This-Plus4417 07/11/18 4417 0
32898 간단히 적어보는 곰티비 MSL 시즌3 결승전에 대한 단상. [12] MaruMaru4980 07/11/18 4980 0
32897 MSL을 진출했을때 한 박성균의 인터뷰 [6] 못된놈6372 07/11/18 6372 0
32896 주변에 pgr 하는 사람이 몇명이나 있나요? [44] pioneer5183 07/11/17 5183 0
32895 MSL 결승이벤트 당첨자 ... 10만원의 주인공은 ...? [32] 메딕아빠4885 07/11/17 4885 2
32894 김택용, 마약 처방 대신 기본기에 충실하라! [37] ArcanumToss7893 07/11/17 7893 9
32893 재미있어지게 되었습니다 - 박성균, 이윤열 선수. 그리고 위메이드 폭스. [20] The xian6758 07/11/17 6758 5
32892 김택용 선수 아쉽지만 그래도 당신은 '본좌'입니다 [21] sch3605420 07/11/17 5420 0
32891 2007.11.17일자 PP랭킹 [7] 프렐루드4756 07/11/17 4756 1
32890 아... 오늘 결승전 정말 충격입니다. [5] 메렁탱크5200 07/11/17 5200 0
32889 팀리그로의 회귀만이 옳은 길인가요? [44] 물빛은어5191 07/11/17 5191 1
32888 새로운 경쟁의 시작 - 곰TV MSL S3 결승전, 박성균 vs 김택용 [6] ls4986 07/11/17 4986 0
32886 박성균선수의 조이기 완벽하네요. [12] 태엽시계불태5132 07/11/17 5132 0
32885 [곰tv 결승 4경기 리뷰] 박성균 vs 김택용 in Loki II [26] 초록나무그늘5098 07/11/17 5098 3
32884 3.3의 혁명가...11.17의 역혁명을 당하다!!! [35] 러브포보아6035 07/11/17 6035 0
32883 오늘 경기의 최대 승부처는? [9] hysterical4293 07/11/17 4293 0
32882 [WC3L XII Final] 경기일정과 대진표입니다. [4] 우리동네안드4326 07/11/17 4326 1
32881 테란, 드디어 왕좌에 오르다 [95] 마법사scv7460 07/11/17 7460 3
32879 박성균의 타이밍 [31] 애플보요5809 07/11/17 5809 0
32876 팀리그와 프로리그, 무엇을 위해 글을 남기나.. [8] TaCuro4469 07/11/17 446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