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6/17 02:31:40
Name Leeka
Subject 2007시즌. 최강 팀플조합들의 성적.
한빛의 신정민/김인기 조합은  KTF의 임재덕/박정석 조합을 제외하고 전승

KTF의 임재덕/박정석 조합은  팬택의 안기효/심소명 조합을 제외하고 전승

팬택의 안기효/심소명 조합은  이창훈 조합, 한빛의 신정민/김인기 조합,  심소명 병원 입원때 제외하고 전승

온겜의 전태규/박명수 조합은  이창훈 조합, 신정민/김인기 조합을 제외하고 전승

삼성의 이창훈 +@  조합은 8승 무패




이렇게가 이번시즌 팀플 5강이라고 보면될듯 합니다.


단지 삼성을 제외한 4개 구단은 저 카드를 안쓰면 팀플 승률이 급격히 내려가지만

삼성은 이창훈이 빠진 서브 조합조차

저 4개 조합을 제외하고 승률이 가장 높으며..

그것이 가장 큰 특징이자.. 삼성이 팀플 최강팀으로 군림할수있는 큰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특히 포스트시즌에선 이 점은 매우 압도적이지요.






이제 이번주에 이번시즌 최강의 조합들.. 라스트 매치라고 볼수있는 배틀이 시작됩니다.


이창훈/박성훈 VS 신정민/김인기

이창훈/박성훈 VS 박정석/임재덕..



훈훈조합에게 최초로 1패를 가져다주는건 어느 팀이 될까요.

안기효/심소명과 전태규/박명수 조합은 이미 K.O 당했고.  이제 적수가 될수있는 조합은 저 2개밖에 남지 않았네요.


1차전인 삼성 VS 한빛 경기 12시간전에 써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얀그림자
07/06/17 02:39
수정 아이콘
교촌..
개인적으로 KTF가 삼성칸 또 이길듯한 기분이..? 팀플은 예측불허..
07/06/17 02:51
수정 아이콘
이창훈 선수는 정말 승리의 이창훈~ 입니다.
사랑그이후
07/06/17 03:29
수정 아이콘
이창훈/박성훈 팀플레이는 2007시즌 무패를 보여줄듯한 포쓰..
김평수
07/06/17 03:31
수정 아이콘
프로리그 초창기부터 그렇게 팀플만나오더니
완전득도한포스네요 이창훈선수
본좌라인 임이최마 라고 하는데
이창훈선수도 팀플본좌
07/06/17 03:33
수정 아이콘
신정민 선수가 승률 말고 다승 1위지만 그건 신정민 선수가 아니면 팀플 1승 카드의 부재로 보여지고... 그러나 이창훈 선수는 빠져도 팀플이...=_=;;;
일단 저 중에서 프로리그서의 개인리그 경험 선수는 박정석, 박성훈, 안기효[챌린지] 선수이며 앞으로의 활동은 박정석 선수가 있습니다[안기효 선수는 차후 4번 시드 결정전에...].
네, 별 의미 없는 댓글이었습니다.[?]
07/06/17 04:18
수정 아이콘
모르긴몰라도 07 시즌 팀플은 완전 팀플 강팀 // 약팀 으로 양분되버린듯합니다.

이창훈 선수.. 자기외의 3명의 밸런스를 조율하는데 있어선 정말 독보적인 존재가 아닐수가 없더군요. 포스 오래오래 가시길...
07/06/17 04:31
수정 아이콘
팀플을 좋아하는 입장에서 정말이지 이창훈 선수의 존재는 신과 같은...
XiooV.S2
07/06/17 04:46
수정 아이콘
T1이 요즘 욕먹고 있지만,,괴물+투신 조합을 기대해 봅니다.
스타대왕
07/06/17 10:34
수정 아이콘
등덕조합과 훈훈조합이 굉장히 기대됩니다.
심두멸각
07/06/17 15:15
수정 아이콘
최강팀플 탄생했네요~~~
삼성 무패팀플 이창훈 박성훈에게 8승1패 5승1패를 선사하며
11승1패로 현 팀플본좌네요!
벨리어스
07/06/17 15:22
수정 아이콘
신본좌 탄생했습니다.
처음느낌
07/06/17 16:55
수정 아이콘
방금 봤는데 몰래해처리 진짜 대박이네요 신정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193 프로리그를 비방하는 글. [10] 不平分子 FELIX5960 07/06/24 5960 0
31192 마재윤 VS 이성은. 전적으로 보는 MSL 8강 3경기. [9] Leeka6239 07/06/24 6239 0
31191 # 김택용의 2007년 종족별 모든 경기 ( 비공식전 포함 ) [20] 택용스칸5434 07/06/24 5434 0
31189 주5일제 문제가 아니라 팀의 마인드 문제 아닐까요? [30] 마빠이4941 07/06/23 4941 0
31188 프로리그와 개인리그의 공존, 충분히 가능하다. 해결책은? [7] 엑스칼리버4142 07/06/23 4142 0
31187 스타크래프트 최강의 영웅! 플레이어(...)에 대한 차기작 예상.. [10] 라이디스5334 07/06/23 5334 0
31186 프로리그에 관한 1가지 바람(수정판) [28] the hive4270 07/06/23 4270 0
31185 공군 또다시 역사를 써냅니다! [29] SKY926703 07/06/23 6703 0
31184 와... 다들 방금 경기 보셨습니까 [32] 조제7382 07/06/23 7382 0
31183 스타2에 관해 여태까지 알려진 자료들. [10] 연합한국5568 07/06/23 5568 0
31182 [설탕의 다른듯 닮은] 무관심의 중심에서 (이병민과 손학규) [16] 설탕가루인형4966 07/06/23 4966 0
31181 과연 경기수가 많아져서 게임의 질이 떨어지는가? [40] 엘렌딜4857 07/06/23 4857 0
31180 소원 [3] Coolsoto4484 07/06/23 4484 0
31179 프로리그와 개인리그의 공존이 힘든 이유 [44] rakorn4293 07/06/23 4293 0
31178 시뮬레이션 OSL 16강/MSL 32강/OSC 24강 대진표 입니다.(스크롤 압박이 좀!!) [7] 꿈을드리고사4754 07/06/23 4754 0
31177 2007 1차 시뮬레이션 스타챌린지 진출자&조편성 꿈을드리고사4307 07/06/23 4307 0
31176 핫브레이크 시뮬레이션 OSL 2007 진출자&조편성 [2] 꿈을드리고사5208 07/06/23 5208 0
31175 개인리그의 재미 감소 원인 [18] S@iNT4264 07/06/23 4264 0
31174 양대리거들의 몰락과 이 판의 몰락의 함수 관계 [78] ArcanumToss5649 07/06/23 5649 0
31173 어제 경기와 비교해서 본 오늘경기(이영호 VS 김택용) [15] Artstorm6297 07/06/22 6297 0
31172 파나소닉 1차 시뮬레이션 MSL 진출자&조편성 [3] 꿈을드리고사4713 07/06/22 4713 0
31171 박정석이라는 프로게이머.... [17] 신병국5722 07/06/22 5722 0
31170 스캔러쉬, 플토팬의 넋두리 (제목 수정) [132] 종합백과9254 07/06/22 925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