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3/11 08:57:41
Name 강가딘
Subject cj의 게임체널 진출 및 협회 자체체널 설립이 힘든 이유
일단 cj미디어의 경우 제가 아래글의 댓글에서도 말했듯이 현재 신규체널 설립을 위한 자금여력이 되지 않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먼저 작년 10월 tvn를 개국하면서 설립비용만 50-100억 가까이 들었고 여기에 자체제작 콘텐츠 강화를 위해 프리즈, 하이애나,로멘스헌터 같은 드라마 제작에 150억 이상 투자한 걸로 압니다.
그리고 올해 프라이드 중계권을 온미디어한테 주고 대신 가져온 k-1시리즈(wgp, max, heros) 중걔권에 300억이 들었는데다 작년부터 2010년까지 디지털 hd전환을 위해 전체널의 모든 제작 및 송출장비를 디지털로 바꾸는데 연간 200억 가까이 드는 걸로 압니다.
아무리 대기업이라지만 이렇게 돈이 많이 들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성공할지 미지수인 게임체널에 무리하게 진입하는건 아무래도 꺼려지겠죠.
해서 지금 현제로선 cj미디어의 게임체널 진출은 힘들어 보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의 방법이 협회에서 자체체널을 만든 후 외주제작사에게 프로리그 진행을 맡긴다는 것인데 이것도 힘들어 보입니다.
일단 방송위에 pp등록을 하기 위해서는 최소 자본이 5억이상 있어야되고 거기에 이러 저러한 비용까지 합하면 설립 비용만 최소 2,30억은 들텐데 회원사들과 ieg사이에 비용 분담을 어떻게 할지가 큰 걸림돌이 될 것입니다.
또 비용문제가 해결되더라도 방송위에 등록해서 시험방송을 거쳐 개국까지 빨리 잡아도 3개월정도가 걸리는데 당장 서두른다고 홰도 7월에 개국인데 그때까지 프로리그 방송을 어떻게 할지가 큰 문제입니다.
여기에다 각 지역 캐이블 방송국과 스카이라이프, 위성 및 지상파dmb와의 체널송출 계약
문제, 방송인력 충원 문제 등이 있겠고
외주제작사의 경우에도 현제 200여개의 외주제작사가 있지만 프로리그 진행정도의 능력을 갖춘 제작사는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그리고 그 제작사들이 과연 프로리그 진행을 맡을지도 의문이구요.

그래서 결론은 현 상황에서 위에 두방법은 무리다 이겁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3/11 09:59
수정 아이콘
기존 방송국도 믿는게 있으니 처음에 세게 나온거죠. 뭐 적정한 선에서 타협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Go2Universe
07/03/11 10:10
수정 아이콘
이러다가 스포츠 전문 채널에서 방송하는거 아닐라나요....
07/03/11 10:37
수정 아이콘
주5일 생방송이 가장 큰 걸림돌이 될겁니다...
언제끝나는지 시간이 정해져있는것도 아니고
그것도 준 골든타임이라 할수있는 7시 정도에
프로리그 편성할 채널이 얼마나될런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274 협회가 팀리그를 버리는 이유는? [91] 박대장6991 07/04/18 6991 0
30273 5월5일 어린이날 자선행사 대박매치업!!!! [12] blackforyou5213 07/04/18 5213 0
30272 2007년 4월 16일 MBC게임 vs STX 프로리그 경기 관전평입니다. [4] ls4179 07/04/18 4179 0
30271 난 동족전이 좋다.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23] Zwei4858 07/04/18 4858 0
30269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쉰일곱번째 이야기> [8] 창이♡4778 07/04/17 4778 0
30268 믿겨지지 않음. [9] 낙~4966 07/04/17 4966 0
30267 동족전에 대한 생각 .. [70] 4477 07/04/17 4477 0
30266 동족전을 피할 수 있는 프로리그 경기 방식을 생각해봤습니다. [23] 헨리234333 07/04/17 4333 0
30264 프로리그 게임방식의 변화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14] Dee3860 07/04/16 3860 0
30262 팬택EX는 아슬아슬하게 1승을 챙기는 군요. [7] NO.74386 07/04/16 4386 0
30261 드래프트제도의 문제.. [19] 못된놈3970 07/04/16 3970 0
30260 여전히 경기 수는 적다? [33] 박대장4366 07/04/16 4366 0
30259 스타판의 규모, 과연 줄여야 할까? [7] Anyname5408 07/04/16 5408 0
30257 엠겜에 대한 건의 - 롱기누스3를 바라며. [14] 협회바보 FELIX5896 07/04/16 5896 0
30256 2007년 스타 개인리그계의 트렌드 [6] 더미짱4518 07/04/16 4518 0
30255 선수 팬에서 팀 팬으로, 프로리그를 좋아하는 팬심 하나. [36] DeaDBirD4924 07/04/16 4924 0
30254 왜 스타크래프트에 '한계'를 두려고 하는가? [8] 놀아줘4248 07/04/16 4248 0
30253 사과보다는 행동으로 보여 달라. [10] rakorn4157 07/04/16 4157 0
30252 이승훈 vs 조용호.. 진정한 피의 전장... [14] 박지완5225 07/04/16 5225 0
30251 팀플이 재미없다는 소리를 많이 듣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18] 모짜르트5389 07/04/15 5389 0
30250 나는 그저 시청자일뿐. [21] 놀아줘4671 07/04/15 4671 0
30249 [sylent의 B급칼럼] 프로리그의 ‘프로 강박증’ [175] sylent7353 07/04/15 7353 0
30248 하루에 봐야되는 경기가 너무 많네요 [21] 오가사카4503 07/04/15 450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