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3/11 00:25:11
Name 김효경
Subject 케스파컵 후기
사촌동생과 함께 저녁을 먹고 느긋하게 세종대로 향했습니다. 대양홀이 찾기 쉬운 곳에 있어서 좋더군요. 도착했을 때 막 MBC게임과 르까프의 경기준비중이었습니다. 그런데 들어서는 순간, 제 눈을 의심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아무리 인기팀들이 초반에 탈락했고, 늦은 시간대라 해도 주말인데 어떻게 이렇게 관중이 없는 겁니까.... 홍보와 전반적인 대회에 대한 관심도의 문제가 느껴지더군요.

각설하고 경기 내용은 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간단히 요약하면 염보성 선수의 원맨쇼로 끝났죠. 마지막 오영종 선수가 왜 그런 무리한 돌진을 했는지는 아무리 생각해도 의문입니다.

경기장 분위기는 정말 안 나더군요. 어제 갔다오신 분들 말마따나 썰렁하고 초라한 그 분위기란 얼마나 이번 대회의 준비가 부실했는지 절절하게 느껴졌습니다. 상대적으로 선수들이 작아보이더군요. 프로리그 때 그 화려한 연출이나 무대 정도를 바란 건 아니었지만 앞으로 협회가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새로운 프로리그도 잘 자리잡을 수 있을 겁니다.(개인적인 얘기지만 어차피 전 새 프로리그는 안 볼겁니다. 저 나름대로의 협회에 대한 보이콧(!)입니다.)

암튼 마지막 경기가 끝날 무렵에는 20명 남짓한 관객들만이 남아 있었습니다. 그분들의 열정에 박수를 보냅니다. 곰TV로 보신 분들도 알겠지만 경기 진행과정에서 문제인지 상당히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습니다. (덕분에 카메라도 탔습니다.^^)
박명수 선수가 올킬을 한 게 어찌나 고마운지... 그래도 결국 차시간이 끊겨서 택시를 타야 했습니다만. 1경기 시작 전에 옵저버와 이제동, 김동현 선수간에 채팅중에도 옵저버 분이 어제 2시에 퇴근했다면서 올킬해달라고 농담 삼아 이야기하니까 이제동 선수가 노력하겠다고 하더군요. ^^ 심지어 1경기 이기는 쪽이 올킬하자는 얘기도 나오고...-_-

이것저것 어수선한 분위기입니다만, 그래도 내일 결승전은 좀 더 많은 관객들로 잔치분위기가 났으면 좋겠네요. 선수들이 열심히 준비해 온 대회니까요.

ps 김혁섭 코치님 그랜드파이널 때도 느꼈지만 멋있고 참 재밌는 분인 것 같습니다. 선수들이나 팬들하고 기분좋게 농담을 계속 주고받으시더군요. 하감독님은 뭐가 좋으신지 계속 싱글벙글하시고, 염보성 선수는 현장에서도 상당한 자신감을 보이는 게 정말 포스가 느껴지더군요.(나 오늘 무조건 이겨! 하는 느낌이었습니다.)
ps2 가장 하고 싶은 말은... HERO 내일도 이겨서 우승하는 거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3/11 00:47
수정 아이콘
수고 하셨습니다~
카메라 타신 아리따운(?) 그 분 이시군요~
덕분에 선수들도 기운내서 경기를 펼쳤으리라 생각해봅니다..

김혁섭 코치님은 스타일이 정말 구웃~
부모님께효도
07/03/11 00:55
수정 아이콘
ㅡ,.ㅡ 세종대 학생들도 자기들 학교에서 케스파컵이란걸 하는걸 모로더군요;;;
Born_to_run
07/03/11 01:05
수정 아이콘
저도 경기장 갔었습니다. (A조 경기 중간에 나왔지만...)
김정민 씨가 급히 어디 가시던데... 얼굴 정말 작으시더군요 -_- 경악했습니다.
경기장 앞에서 케스파로고가 새겨진 유패스 교통카드를 주더군요;
라이디스
07/03/11 01:30
수정 아이콘
만약 박명수선수가 올킬을 안했다면 언제 끝났을지... 두렵습니다;
07/03/11 04:34
수정 아이콘
올킬 겁나 마니 나오네요.ㅡㅡ;; 후덜덜 합니다.. 도대체 올킬자가 몇명인건지...
초보저그
07/03/11 05:41
수정 아이콘
선수들 일부러 올킬하고 올킬 당한 듯. 물론 농담입니다.
레몬빛유혹
07/03/11 15:19
수정 아이콘
어제 스태프들은 박명수선수 상주고싶었을듯...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272 2007년 4월 16일 MBC게임 vs STX 프로리그 경기 관전평입니다. [4] ls4178 07/04/18 4178 0
30271 난 동족전이 좋다.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23] Zwei4857 07/04/18 4857 0
30269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쉰일곱번째 이야기> [8] 창이♡4773 07/04/17 4773 0
30268 믿겨지지 않음. [9] 낙~4966 07/04/17 4966 0
30267 동족전에 대한 생각 .. [70] 4476 07/04/17 4476 0
30266 동족전을 피할 수 있는 프로리그 경기 방식을 생각해봤습니다. [23] 헨리234332 07/04/17 4332 0
30264 프로리그 게임방식의 변화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14] Dee3859 07/04/16 3859 0
30262 팬택EX는 아슬아슬하게 1승을 챙기는 군요. [7] NO.74385 07/04/16 4385 0
30261 드래프트제도의 문제.. [19] 못된놈3969 07/04/16 3969 0
30260 여전히 경기 수는 적다? [33] 박대장4365 07/04/16 4365 0
30259 스타판의 규모, 과연 줄여야 할까? [7] Anyname5406 07/04/16 5406 0
30257 엠겜에 대한 건의 - 롱기누스3를 바라며. [14] 협회바보 FELIX5891 07/04/16 5891 0
30256 2007년 스타 개인리그계의 트렌드 [6] 더미짱4518 07/04/16 4518 0
30255 선수 팬에서 팀 팬으로, 프로리그를 좋아하는 팬심 하나. [36] DeaDBirD4920 07/04/16 4920 0
30254 왜 스타크래프트에 '한계'를 두려고 하는가? [8] 놀아줘4246 07/04/16 4246 0
30253 사과보다는 행동으로 보여 달라. [10] rakorn4152 07/04/16 4152 0
30252 이승훈 vs 조용호.. 진정한 피의 전장... [14] 박지완5224 07/04/16 5224 0
30251 팀플이 재미없다는 소리를 많이 듣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18] 모짜르트5387 07/04/15 5387 0
30250 나는 그저 시청자일뿐. [21] 놀아줘4670 07/04/15 4670 0
30249 [sylent의 B급칼럼] 프로리그의 ‘프로 강박증’ [175] sylent7352 07/04/15 7352 0
30248 하루에 봐야되는 경기가 너무 많네요 [21] 오가사카4501 07/04/15 4501 0
30247 내일 최대 화두 - 신희승VS이윤열 & 임요환VS전상욱 [16] 처음느낌5215 07/04/15 5215 0
30245 왜 스타는 프로리그를 도입했는가? [55] 박지성5057 07/04/15 505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