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3/04 10:09:19
Name 처음느낌
Subject 코치계의 본좌 박용운코치!!!
프로게이머의 본좌가 마재윤선수고
감독계의 본좌자리를 놓고 주훈 하태기 조규남감독이 다투는 형국이라면
코치쪽에서의 본좌는 어제 결과로 인해 박용운코치로 정해졌습니다.

박용운코치 프로리그 결승이나 개인리그결승에서 선수도 아닌 감독도 아닌 코치가 이렇게 주목받는경우가 서형석코치 이후로 있었을까 싶었는데요~~ 박용운코치가 제대로 보여주었습니다.

최근 두달여동안 박용운코치가 주목받은것을 봤을때 이제 프로리그나 개인리그에서도 수석코치들의 역활이 얼마나 중요해졌는지를 알수 있습니다. 감독분들이 팀의 모든것을 관리한다고 볼때 코치들이 실제적으로 전략 전술들을 선수들과 상의하고 만들어내고 하는거 같습니다.

어제 3.3절 대기적은 김택용선수의 대단한 플레이가 가장 중요했지만 김동현 박성준 서경종선수의 측면지원과 박용운코치의 전략전술 수립도 빼놓을수 없는 것이죠

지금 현시점 박용운코치가 대한민국 최고의 코치라는 점에는 그누구도 부인할수 없는 사실이죠 어쩌면 2007시즌 이후로 타구단에서 감독직 제의 들어온다고 해도 하나도 이상하지 않을 거물급 코치가 되었습니다.

이제 2007시즌의 화두는 코치들의 활약이 될꺼 같습니다. 박용운코치가 이번에 프로리그 후기리그/통합챔피언전 우승과 MSL 결승 우승으로 엄청나게 부각되었기 때문에 다른팀 코치들도 특히 박용운코치 이전에 본좌급이었던 서형석코치도 엄청난 자극을 받을꺼 같습니다. 2007시즌은 개인리그건 프로리그건 선수들의 역량 감독들의 컨디션관리 용병술도 중요하지만 코치들의 역활이 그어느때보다 강조되는 시즌이 될꺼 같습니다.


박용운코치 두달사이에 너무나 큰업적들을 이뤄내셨고... 2007시즌에도 지금의 대업적을 쭉이어가세요~~~ 그리고 다른팀 코치분들도 모두모두 화이팅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환영
07/03/04 10:18
수정 아이콘
서형석코치도 pos시절코치엿던걸로 기억하는데 맞나여?; pos시절도 벌써 2년전이라;; 제 기억이 맞는다면 하태기감독님의 안목이 정말 덜덜덜하네여..
Born_to_run
07/03/04 10:35
수정 아이콘
GG후토크에서 박용운코치의 인터뷰가 나왔었습니다.
"마재윤 선수는 상대 스타일에 따라서 상당히 변화가 좋은 선수거든요.
심한 선수라고 표현하기엔 표현이 안좋고... 거기에 맞대응 하는 맞불작전을 준비할까합니다"
김택용 선수는 프로브 집어넣어서 철두철미하게 상대를 관찰하면서
포지없이 넥서스를 짓고, 상대의 멀티를 늦춰주고,
상대가 뮤탈뽑으면 커세어와 캐논, 성큰이 없으면 질럿다수, 오버로드가 없는곳엔 다크...

그리고 HERO팀배틀에서 하태기감독이 했던 말도 인용해볼까합니다.
"모든 종족이 배워야 합니다. 테란은 프로토스에게, 프로토스는 저그에게, 저그는 테란에게..."
프로토스로 조합갖추고 체제전환하는 능력을 김택용 선수가 갖췄다고 생각합니다.
처음느낌
07/03/04 10:55
수정 아이콘
서형석코치 최전성기가 박성준선수의 질레트배때 우승부터 오버트리플크라운때까지죠^^
슬픈이별
07/03/04 11:48
수정 아이콘
전 KTF감독 정수영감독 인터뷰도 눈에 띄죠.
esforce에서 코치5명 이상은 필요하다고...
다주거써
07/03/04 13:34
수정 아이콘
흐음. 이젠 감독계, 코치계의 본좌논쟁이 일까 두렵군요.
본좌의 본자만 들어도 이젠 치가 떨러져서리...-_-;;

암튼 감독계에 그래도 한빛 이재균 감독을 빼면 섭하죠~~
그런 환경에서도 한빛을 이번에도 4강까지 오려놓은 감독입니다.

암튼 박용운 코치 대단했습니다.
07/03/04 14:51
수정 아이콘
이재균 감독님은 뭐랄까. 본좌를 넘어서 신선같은 느낌이라. ㅡ.ㅡ;;
07/03/04 16:36
수정 아이콘
한가지 확실한건 최근 히어로팀의 상승세를 박용운 코치를 빼놓고 논하기는 불가능하다는겁니다.
처음느낌
07/03/04 18:39
수정 아이콘
감독분들중에서는 본좌급이 너무많아서 딱히 누구라고 할순 없지만 최근 개인리그나 프로리그 양쪽에서 다 잘나가는 감독분들 예기했구요^^

코치쪽에서는 이제 확실히 박용운코치가 본좌급에 올라선거 같에요^^
바트심슨
07/03/05 00:15
수정 아이콘
이재균 감독님은 프로야구로 치면 김성근 감독님 정도? 삼성이 첫 우승한 그 해에 최약체 LG로 한국시리즈까지 올라가신 분이죠.
07/03/05 08:36
수정 아이콘
이재균 감독은 고만고만한 선수구성을 가지고도 늘 한건 해내는 분이죠. 장외룡 인천 유나이티드 감독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019 Kespa는 장사하는 법부터 배워야 [44] 한윤형7024 07/03/11 7024 0
30018 cj의 게임체널 진출 및 협회 자체체널 설립이 힘든 이유 [3] 강가딘4858 07/03/11 4858 0
30017 케스파컵 후기 [7] 김효경5855 07/03/11 5855 0
30016 역대 양대리그 4강 진출횟수 + (신한Season3 & 곰 TV) [27] 몽상가저그5431 07/03/11 5431 0
30015 [PT4] 오늘 방송 할 1차 본선 경기 순서 입니다. (방송 종료) [6] kimbilly4300 07/03/10 4300 0
30013 이스포츠 팬으로서 살아가기 .. [24] 4242 07/03/10 4242 0
30012 [추리소설] 협회와 IEG는 중계권에 대해서 얼마나 준비를 했을까? [33] 스갤칼럼가6227 07/03/10 6227 0
30011 E-Sports의 4대요소 순환구도 [3] Askesis4152 07/03/10 4152 0
30010 [알림] 규정을 준수 하여 주세요. [10] homy4392 07/03/09 4392 0
30009 전 장기적 관점으로도 방송국 중심의 체제가 맞는 것 같습니다. [58] OrBef6779 07/03/10 6779 0
30008 언론계에 몸 담고 있는 사람으로서.... [5] paramita4739 07/03/10 4739 0
30006 그때랑 지금이랑 뭐가 다르길래...? [10] 허저비4166 07/03/10 4166 0
30005 이번 사태의 목적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7] 그냥스타팬4289 07/03/10 4289 0
30003 케스파컵 첫째날 풍경(스갤 펌) [13] 아유7067 07/03/10 7067 0
30002 팀리그가 좋은이유. 협회가 싫은 이유. [4] S&S FELIX5883 07/03/10 5883 0
30001 참 서럽습니다. [8] DeaDBirD4169 07/03/10 4169 0
30000 정말 협회가 파워게임에서 승리했을까요? [6] 파에톤4434 07/03/10 4434 0
29999 오늘 케스파 보면서 느낀것 더하기 협회에 대해 하고 싶은 말... [2] 자유로운4333 07/03/10 4333 0
29998 대학생들은 스타를 안본다? [27] [군][임]5697 07/03/10 5697 0
29997 E-Sport가 무너진다면, 게임계의 미래도 없다고 봅니다. [7] The xian4550 07/03/10 4550 0
29994 제 2 회 KESPA CUP 관람 후기 & 사진. [12] StaR-SeeKeR7022 07/03/09 7022 0
29991 이것이 바로 팀배틀의 묘미!!! [13] SKY925571 07/03/09 5571 0
29990 약간 지난 이시점에서 짚고 넘어갈 것 : 협회의 언론장악 [10] 카알3610 07/03/09 361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