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2/21 19:42:57
Name 승리의기쁨이
Subject 변형태선수 정말 잘하시네요
오늘 겜에 대한 글들이 늦게 올라오네요 어쩔땐 끝나자마자 막 글들이 올라오는 경우가 많던데..

한동욱선수와 변형태 선수의 경기를 보면서 느꼈습니다.

테란도 이렇게 원사이드하게 시원하게 초반에 끝낼수가 있는것인가 하고

전에 보지 못했던 거의 초반에서의 모든 승부

테테전을 본것 같지 않고

몬가 다른것을 본듯합니다.

변형태선수가 마재윤선수를 물리치고 결승갔으면

마재윤선수가 이윤열선수를 이길확률은 거의 반반이라 보는데

오늘 경기를 보구나서는 변형태선수와 이윤열선수의 테테전은

변현태선수가 우승했겠는데라고 저는 생각이 드네요

해보지 않고는 모르는거지만

시원시원한 변형태선수의 경기력은 나날이 날카로와지는것 같습니다.

다음 시즌의 변형태선수를 주목해서 볼수 있을꺼 같네요

한동욱선수 힘내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즐겁게
07/02/21 19:44
수정 아이콘
한동욱선수에게 많이 지는 모습을 보여서 걱정을 많이 했는데, 그동안의 전적을 이번경기로 싹 뒤집네요. 마재윤선수와 경기로 기량뿐만이 아니라 스스로의 마인드도 한단계 업그레이드 된 느낌. 개인적으로 경기스타일이 너무 마음에 들어서 잘되길 바라는 선수중에 한분입니다. 변형태선수 3위 축하드립니다. 다음시즌에는 꼭 우승하시길.
07/02/21 19:45
수정 아이콘
이 선수 요즘막 새롭게 각성을 하는것 같습니다...
새로운 테란본좌가 되지 않을까하는 조심스런 에측도 해봅니다.
블러디샤인
07/02/21 19:46
수정 아이콘
너무 순식간에 끝나서 --;;
07/02/21 19:46
수정 아이콘
반반의 묘미가 결승전에서 나오겠죠,,,
윈사이드한 게임은 재미가 없는법,,,^^;;;
마재윤과 이윤열 선수의 박빙의 대결 그것이 진정한 매치~^^;;;
07/02/21 19:47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테란치고 APM이 상당히 낮네요;;;

ㅡ.ㅡ;; 뭔가 득도한 걸까요 변형태선수;
미나무
07/02/21 19:51
수정 아이콘
오늘 게임은 딱...뭐가 지나갔냐? 같다는 느낌. 후후, 눈깜짝할 사이에 변형태 선수가 이겼네요. 한층 강해진 것 같아 다음 시즌, 아니 신한 마스터즈에서의 변형태 선수의 활약이 기대되네요. ^^
라벤더
07/02/21 19:52
수정 아이콘
결승을 제외한 신한 시즌 3의 마지막 경기였다는 점에서
끝까지 멋진 경기를 선사한 변형태 선수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네요 :)
델마와루이스
07/02/21 19:52
수정 아이콘
저도 변형태 선수 APM보고 꽤 놀랐네요. 테란인데, 상당히 낮은 편인 APM....진정 APM과 멀티태스킹 능력은 상관이 없는 것인가 -_-;;
꿈꾸는사나이
07/02/21 19:53
수정 아이콘
테테전은 지루한 걸로만 알았는데... 오늘 테테전은 공격이 이어지고는 곧 지지가 나오더라구요.
로니에르
07/02/21 19:55
수정 아이콘
apm은 변형태선수가 훨씬 낮던데.. 이래서 apm과 실력이 관계가 없는건가 봅니다.
찡하니
07/02/21 19:58
수정 아이콘
순식간에 끝나버렸어요..
07/02/21 20:07
수정 아이콘
APM 과 관련하여 이미 결론이 난지 오래였죠... APM은 실력과 무관하다... 다만 높으면 부가적으로는 손 빠름에 있어서 좋겠지만...

APM이 높아야 실력이 좋다는 의미를 증명하는 건 아닙니다.
07/02/21 20:09
수정 아이콘
적정수준의 apm만 나와도 할건 다하죠. 오히려 지나치게 빠르면 헛손질도 많고 더 정신어지러울듯한데-_-;
Carte Blanche
07/02/21 20:11
수정 아이콘
아 보려고 열심히 뛰어왔는데 분명히 7시 40분인데도 안해서
5~8위전땜에 늦게 하는건가..싶었는데 끝났더군요..-_ㅠ

차기 시즌 프로리그의 CJ가 기대되는군요^^
새벽의사수
07/02/21 20:35
수정 아이콘
두 선수 평소 실력 100% 발휘해서 좀 더 치고박고 하기를 원했는데 약간 아쉽네요. ^^;;
음... 실력이 좋으면 APM은 대체로 높다, 이건 성립하지만
APM이 높으면 실력도 좋다. 이건 아니라고 봐야죠..
07/02/21 20:36
수정 아이콘
뭐 APM은 건물부대지정 해놓고 누르고만 있어도 기하급수적으로 오르니까요;
ㅁㄴㅇㄹ
07/02/21 20:47
수정 아이콘
변형태 선수 최대,최소,평균(apm)이 어떻게 나왔길래 이런 반응들이신가요? 상당히 낮게 나왔나요?
07/02/21 20:57
수정 아이콘
최대 270대 최초 170대 평균 220대..ㅡㅡ; 한동욱선수 최소 apm이 변형태선수 최대 apm보다 높았죠..그런데 경기는 변형태선수의 압도적인 승리..정말 apm하고 실력하고는 상관이 없는 듯..
07/02/21 21:02
수정 아이콘
S급 테란의 반열에 들어설 준비를 서서히 하는 듯 합니다.
EarlCain
07/02/21 21:08
수정 아이콘
마재윤 선수와의 4강전. 비록 패배하긴 했지만, 지지를 치는 그 순간까지 변형태 선수는 정말 멋있게 싸웠습니다. 그 경기를 통해서 변형태 선수를 다시 보신 분들도 많이 계신 거 같습니다. 그리고 변형태 선수 개인에게도 그 경기가 어떤 전환점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강한 테테전과 프로토스전에 비해, 상당히 약하다고 평가받던 저그전. 테란이 저그전을 잘하지 못하면 최고가 될 수 없다. 그 말이 변형태 선수가 가진 한계를 규정했다면, 이제 변형태 선수는 그 한계를 벗어던지리라 생각합니다.
극강의 테테전과 좋은 플토전. 그리고 4강전을 계기로 한층 발전된 저그전을 통해 정말 강한테란으로 거듭나길 바랍니다. 오늘의 경기에서 강한테란에 어울리는 면모를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기대하겠습니다. 앞으로도 멋있게 싸워주세요. 그리고 그 멋진 경기에서 승리를 가져가는 강한테란이 되세요!
夜空ノムコウ
07/02/21 21:10
수정 아이콘
신한 마스터가 되길
ㅁㄴㅇㄹ
07/02/21 21:21
수정 아이콘
주니님//감사합니다.
blueLemon
07/02/21 21:32
수정 아이콘
마지막 경기는 형태선수 평균 apm이 190대 최고가 230쯤이었는데 한동욱 선수 최소 apm이 350대더군요. apm 높은거랑 실력은 상관없다는건 알지만 테란 선수 apm이 평균 200대도 안 되는 건 처음 본 거 같아요.
불타는 저글링
07/02/21 21:51
수정 아이콘
염보성 선수도 apm이 상당히 늦은걸로 알고있습니다.
이 둘 선수는 apm는 낮지만 결코 물량이 뒤쳐지는 선수들이 아니죠.
꿈꾸는사나이
07/02/21 21:56
수정 아이콘
정말 잔손질 안하고 필요한 것만 해서 그런가...
정티쳐
07/02/21 22:07
수정 아이콘
저도 이선수 그냥 그런 무난한 선수인줄로만 생각했었는데, 요즘 보니 그게 아니라 아주 약간씩 계속 발전해나가는 선수 같다는 느낌입니다.....
그러다보니 어느새 정상권에 올라온 것 같고여....

다음시즌이 기대되고, 그다음시즌이 더 기대되고, 그다음다음시즌이 더욱더 기대되는선수가 아닌가 합니다......
발업까먹은질
07/02/21 22:28
수정 아이콘
주니/ 최소 apm 이겠죠 ^^;;?
永遠그후
07/02/21 22:34
수정 아이콘
형태선수 축하드립니다. 박수!
파블로 아이마
07/02/22 00:27
수정 아이콘
변형태 선수의 테테전은 정말 강력하고 무섭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621 내가뽑은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3 BEST10 [5] 메렁탱크3969 07/02/26 3969 0
29620 제4대 본좌냐? 스타크래프트 3세대의 서막이냐? [3] 아유4177 07/02/26 4177 0
29619 가림토....그가 돌아온다..........!!!!!!!!!!!! [19] 잠신4640 07/02/25 4640 0
29618 이번 곰TV MSL 결승전이 가지고 있는 의의. [11] 김광훈3970 07/02/26 3970 0
29617 [알림] 신한스타리그 3차 결승전 이벤트 최종결과 발표. [64] 메딕아빠6866 07/02/21 6866 0
29616 마재윤의 시대 - 임요환을 넘어서 [44] S&S FELIX6678 07/02/26 6678 0
29615 2007년 2월 SR게임환경 지수 [21] 수퍼소닉4520 07/02/26 4520 0
29614 왜 이윤열 선수의 기량이 전부 발휘되지 않았다는건가요? [39] AgainStorm4692 07/02/26 4692 0
29611 마재윤의 현혹을 이겨내라...이윤열의 1배럭 더블... [3] 뜨와에므와4830 07/02/26 4830 0
29610 다전제에서 마재윤을 이길 테란? [28] hysterical5115 07/02/26 5115 0
29609 마재윤은 임요환이 될수 없다?! [113] hysterical5898 07/02/26 5898 0
29607 [PT4] 방송 할 2차 예선 경기 순서 입니다. (방송 종료) kimbilly4182 07/02/25 4182 0
29605 마재윤선수의 강점은 '흔들기 -상대방의 실수 유발' [16] 냠냠^^*5042 07/02/25 5042 0
29604 프로리그와 스타리그 그 광고효과에 대한 잡설.. [8] 저그최강 박태3945 07/02/25 3945 0
29602 만약에 패치가 되서 안쓰이는 유닛이 쓰이게 되었을 때 밸런스는 어떻게 변할까요? [26] 자유로운3940 07/02/25 3940 0
29599 이번 스토브리그에는 영입이나 트레이드가 활발히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 [30] sinjja4077 07/02/25 4077 0
29598 스카우터가 있다면 측정하고 싶은 선수 [26] 김연우7880 07/02/25 7880 0
29597 마재윤선수의 뜬금없는러커.. [8] 가나다5725 07/02/25 5725 0
29595 티원도 이번 마재윤 선수 우승을 보고 '선택과 집중' 좀 그만했으면 합니다. [36] 김광훈6831 07/02/25 6831 0
29594 논란의 여지가 많은 김택용 선수의 태도 [45] 발업리버8624 07/02/25 8624 0
29593 김택용 선수, 당신을 무시하는 사람들에게 보여주세요. [30] 거품5163 07/02/25 5163 0
29591 김택용 선수에게 조언, 1경기에 목숨을 걸어라!! [28] 김광훈4433 07/02/25 4433 0
29590 롱기누스/리버스템플에 관해서. [24] Boxer_win5516 07/02/25 551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