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2/17 16:00:08
Name KuTaR조군
Subject 쿠타야!! 비교해보자! (S) - 더블엘리미네이션과 조별 풀리그.
요즘 MSL 100선의 영향인지 더블 엘리미네이션에 대한 향수를 불러 일으키시는 분들이 많다. 물론, 그렇지 않고 지금의 MSL 방식이 더 좋다는 분들도 많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아예 향수를 불러일으키고자 예전 MSL 방식이었던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과 예전 스타리그 방식인 조별 풀리그(16강)방식에 대해 비교해 보도록 하겠다.


1. 진행방식

예전부터 통해오던 속설이 있었다. 'MSL은 포스의 시작. 스타리그는 포스의 끝.' 또, 다음과 같은 얘기도 있었다. 'MSL 우승은 강한 사람이 하고, 스타리그 우승은 포스가 센 사람이 한다.' 왜 그럴까? 왜? 물론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그 이유는 역시 리그의 진행 방식때문일 것이다. 그럼, 여기서 진행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일단 스타리그방식은 간단하다. 16명이 4명씩 4개조를 짠 다음, 그 중 상위 2명이 8강에 진출. 그 다음에 다시 4명씩 2개조로 짠 다음에 상위 2명이 4강에 진출. 그 다음은 크로스 토너먼트. 반면 MSL 방식인 더블엘리미네이션 방식은 승자들은 승자끼리 붙고, 패자들은 패자끼리 붙는 방식이다. 어짜피 승자끼리 붙으면서 패자들은 계속 생길 것이고 그 패자들은 패자들의 모임에 끼게 된다. 그렇게 해서 2명이 남으면 그것으로 결승. 언뜻 봐도 두 방식은 차이가 난다.


2. 올려보내기, 떨어뜨리기.

스타리그 방식인 조별 풀리그는 올려보내는 사람을 정하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8강에 진출한 선수나 4강에 진출한 선수는 '진출'의 개념이 크다. 그렇기 때문에 16강에서 8강에 진출하지 못한 선수들의 등수는 정확하지 않다. 9위던 16위던 어쨌든 '8강 진출 실패'다. 반면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은 계속 '탈락자'가 결정되는 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8강, 4강의 개념은 없으며 상위 라운드로 올라가는 선수들은 '잔류'의 개념이 크다. 13위에서 16위는 단 한명의 선수도 꺾지 못한 선수들이며 따라서 다음 시즌에 MSL에 있을 권한을 박탈당한다. 9위에서 12위는 한명의 선수를 이긴 선수들이며, 한번의 시련을 더 거치면 다음 MSL에 등장할 수 있다라는 것 등. 상대적으로 조별리그보다 등수가 더 명확하게 갈리기 때문에 그에 대한 차등대접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반면, 조별 리그 방식인 스타리그는 등수가 명확하게 갈리지 않기 때문에 4~16위를 모두 모아놓고 같은 기회를 주게 된다.

3. 천적

대표적인 천적관계였던 임요환 선수와 장진남 선수의 예를 들어서 이것을 설명해 보도록 하자. 예를 들어 장진남 선수가 임요환 선수에게는 무조건 지고 나머지 선수에게는 무조건 이긴다고 생각하자.(물론 그런 일은 두 경우 모두 말이 안 되지만.)두 리그에서 공히 두 선수가 16강 첫 경기에서 만났다고 하자. 하지만, 스타리그의 방식에서 장진남 선수의 팬의 걱정은 그리 크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장진남 선수가 첫 경기를 지더라도 나머지 선수를 이기면 8강에 올라갈 것이고 운이 좋다면 임요환 선수는 '다른 14인중 누군가'에게 탈락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혹시 우승까지도 할 수 있겠지. 하지만, MSL에서는 그런 방식은 일어나지 않는다. 혹시 장진남 선수가 패자조에서 전승을 한다 하더라도 장진남 선수가 탈락하지 않는 한 언젠가 한번은 임요환 선수를 '반드시 만나야 한다.' 바로 그 점이 MSL의 우승자를 강하게 만드는 것이다. 자신이 계속 올라간다면 언
젠가는 자신이 '극복하지 못했던 문제'를 다시 준다. 그렇게 해서 그 문제를 해결하면 그 선수는 살아남는 것이고 그렇지 못하면 떨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스타리그에서는 일부 허용하는 '천적'의 개념을 MSL에서는 허용하지 못한다.


즉, 결론은....

어떤 방식으로도 강한 사람이 이긴다는 것이다.(엥?)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2/17 16:03
수정 아이콘
지금 포스의 마재윤이라면???^^;;;
KuTaR조군
07/02/17 16:06
수정 아이콘
i`m god님// 닥x고 양대리그 우승요.^^;;
제로벨은내ideal
07/02/17 17:32
수정 아이콘
가장 좋은 방식은 물론 다판제 리그입니다^^.
1vs15로 하나하나 5판3선승제해서 가장 많이 이긴 사람이 우승하는
방식이 가장 합리적이겠죠. 문제는 시간이라는 것.
제로벨은내ideal
07/02/17 17:35
수정 아이콘
더블엘리방식은 시간도 오래 걸리지만 큰 문제 중 하나가 천적관계끼리 또 만나고 또 만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A>B>C>A 먹히는 관계라고 치고 A와 B가 16강에서 만나서 A가 승자조 갔다가 패자조 떨어졌는데 B와 또 만나게 되서 A가 패자조 상위라운드에 진출합니다. 그런데 C와 붙어서 A는 떨어지죠. 만약 B였다면 C를 이겼을 수 있을텐데 말입니다. (물론 천적관계인 것도 실력이라고 할 수 있지만 '흥행'을 원하는 방송국은 더블엘리를 그다지 선호하지 않겠죠. 음...부스걸과 비슷한 논리이려나?)
이즈미르
07/02/17 17:44
수정 아이콘
천적 관계라면 역시 사이언배때의 5:0이 생각...
올빼미
07/02/17 18:03
수정 아이콘
출전수가 적을수밖에없는 팀단위리그는 웬만하면 풀리그를하죠. 가장 대진표의 영향을 적게받는 방식이니까요.
뜨와에므와
07/02/17 20:03
수정 아이콘
16인이 풀리그를 하게 되면 16x15 /2=120경기
이걸 각각 3전 2승으로 한다면 하루에 두팀씩 일주일에 두번해도
30주 걸리겠네요. 플레이오프까지 하면 뭐...
년단위 리그가 될듯...
개인리그도 방송사에서 뺏은후에
프로리그 중심으로 전부 개편하면 가능은 하겠지만
흥행은 보장할수 없는...
예선 통과 한번 못하면 개인리그를 1년 놀아야하는 선수들이 수백명이란게
가장 큰 문제가 되겠죠...ㅋ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556 마재윤 선수를 뚫어낼 수 있는 스타일은 무엇이 있을까? [79] 제로벨은내ideal6909 07/02/25 6909 0
29555 Battle in Zama Regia - 세기의 두 영웅 [6] 소현4141 07/02/25 4141 0
29552 엄재경 해설위원의 음악용어 언급 [23] 66v6564 07/02/24 6564 0
29551 프리스타일의 이윤열 선수는 어디로 갔죠? [21] chldustjd5422 07/02/24 5422 0
29550 결승전 오프 후기에요^^ [4] 파란토마토4455 07/02/24 4455 0
29549 이윤열 대 마재윤 결승전 오프 후기 [7] Rush본좌5044 07/02/24 5044 0
29548 결승전 후기(그리고 마재윤..) [16] hysterical5611 07/02/24 5611 0
29547 마재윤 선수는 정말 롱기누스에서 연습생 상대로 20%승률이 안나왔을까요? [22] 마르키아르8432 07/02/24 8432 0
29546 이윤열.. 이윤열.. 이윤열 [15] 문근영남편4882 07/02/24 4882 0
29544 짐이 곧 저그니라!! [2] bandit3894 07/02/24 3894 0
29543 마재윤선수 온게임넷 우승 축하드립니다 [2] 하늘바다5262 07/02/24 5262 0
29542 신한 마스터즈대회 맵을 예상해봅시다 [13] OASIS4216 07/02/24 4216 0
29541 저그도 사기다!~ [20] 사탕한봉지5201 07/02/24 5201 0
29539 신이 그를 버리기 이전에, 그는 이미 신이 되었다 [8] 김연우5763 07/02/24 5763 0
29538 [PT4] 진행요원 긴급모집 캐럿.4141 07/02/24 4141 0
29537 역대 온겜 엠겜 우승자 나열 [12] [법]정의4777 07/02/24 4777 0
29535 김택용 위기가 곧 기회다..... [27] OPMAN4873 07/02/24 4873 0
29534 마재윤을 상대하는 테란.. [11] 캇카4889 07/02/24 4889 0
29533 신한은행 스타리그 후기 이윤열선수 or 마재윤선수 [6] 승리의기쁨이5121 07/02/24 5121 0
29532 올림픽 공원에서의 결승에 찾아갔습니다 [4] 스팀팩 맞은 시4036 07/02/24 4036 0
29530 이윤열선수의 이해가 안갔던 플레이들.. [70] van6834 07/02/24 6834 0
29529 신한 프리마스터스 대진 나왔습니다. [26] 풍운재기5130 07/02/24 5130 0
29528 전형적인 그러나 전형적이지 않은... [10] 체념토스4300 07/02/24 430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