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2/17 15:21:14
Name JokeR_
Subject 당신, 너무 강합니다.
마재윤 선수. 전 당신에게 할말이 많습니다.

당신은 강합니다.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강합니다. 당신의 창으로 뚫을 수 없는 방패도 없고, 당신의 방패로 막지 못하는 창도 없습니다. 도대체 무엇이 당신을 그렇게 강하게 만들었던가요? 제가 열렬히 응원하는 극강의 테란 3명인 임요환, 최연성, 이윤열 선수를 모두 꺾어버리고 MSL 에서의 3회 우승, 거기다 이번에는 OSL 에서도 로얄로더가 되느냐 안되느냐의 상황까지 왔습니다. 사람들은 당신을 본좌라고 부릅니다. 전 그것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아니, 인정하려고 생각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당신을 싫어한 것도 아니고, 미운 것도 아니었습니다. 단지 당신이 너무 강하다는 것에 어린 마음에 질투를 느꼈기 때문이었던 것 같습니다. 과거 이윤열 선수가 MSL 에서 전성기를 누릴때 많은 사람들이 그가 너무 강하다는 이유로 싫어했다고 했습니다. 전 그들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이해할 수 없었죠. 강한 것이 죄가 되나 싶었습니다. 그런데 그런 사람들처럼 저도 비슷한 감정을 당신에게 느끼고 있었습니다. 너무 강하다는 것은 죄가 된다고 저도 모르게 되뇌었던 모양입니다.

하지만, 이제 인정하렵니다. 당신이 강하다는 사실 말입니다. 행여 당신이 천재와의 대결에서 패하더라도 전 당신을 강함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을겁니다. 그러고보니 예전 생각이 납니다. 당신의 한걸음을 피씨방, 듀토 때 사람들이 쓰는 댓글로나마 지켜보던 제 모습을요. 제 안의 또다른 제가 당신을 마음 속으로나마 온겜에서 볼 수 있길 기대했지만 그걸 애써 부정했던 모양입니다. 조지명식 때도 괴물과 천재와 같은 자리에 앉으며 많은 사람들의 응원과 환호를 속에서 본 당신의 수줍은 미소도 꽤 시간이 지난 지금 아직 잊지 못했습니다. 내노라하는 강자들을 비웃듯 그들을 물리치고 올라오는 당신의 모습을 볼때마다 전 항상 애증이 교차했습니다. 정말 일을 크게 벌이는구나 싶었습니다. 제 마음속의 언제나 저그의 최고는 투신이었고 물론 지금도 그는 제게 최고의 저그입니다. 하지만 비록 제게 최고의 저그는 아니더라도 당신은 현존 최강의 저그라는 것은 돌이킬 수 없는 사실이 되어버린 모양입니다.

전 천재를 응원할겁니다. 하지만 당신의 강함도 기대할겁니다. 기대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밤잠을 설치면서 그렇게도 염원하던 괴물과의 대결은 이미 무산되었지만 그에 못지 않게 많은 사람들이 염원하던 천재와의 대결은 이루어졌으니까요. 더이상 당신을 미워하고 인정하지 않았다간 제 자신을 질타하지 않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마에스트로의 연주를, 지휘자의 능력을, 저그의 강함을 당신에게 늦게나마 발견하게 되어 오히려 기쁩니다. 당신의 강함은 다른 선수들에게는 목표가 될 것이고, 그럴수록 이 스타판이 오래 지속되는 열쇠가 될 수도 있을테니까요.

과거 괴물과 천재를 이길 천적은 없다고 말한 사람들의 생각을 깨고 등장한 당신처럼, 마에스트로에게 천적은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의 생각을 깨고 등장할 '누군가' 가 궁금해지는 요즘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ce of Base
07/02/17 16:54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는 오래전부터 좀 불운했군요 --;;
그랜드슬램시절 '그래도 임요환이다'
프리미어리그 제패후 '이제는 최연성이다'
아이옵스 제패시절 '양박과 머신의 시대다'
그리고 현재 '무조건 마본좌'

이번에도 설령 이윤열 선수가 우승해도 여전히 저는 객관적으로 마재윤 선수를 최고라 칭하겠지만 그래도 주관적으로는 이윤열 선수를 최고라
생각하겠습니다.^^
프로브무빙샷
07/02/17 23:07
수정 아이콘
저도 마재윤선수 팬이지만...
커리어적인 측면.. 꾸준함의 측면... 당시의 임팩트적 측면에서..
아직은 이윤열 선수의 손을 들어주고 싶습니다..

마재윤 선수가 이번에 양대우승하시고..
온게임넷에서 다시 한번 좋은 모습 보이신다면.. 그때는 뛰어넘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sway with me
07/02/18 01:19
수정 아이콘
프로브무빙샷님//글쎄요...
이윤열이라는 존재를 쉽게 뛰어 넘을 수 있을까요?
설령 이번에 다시 이윤열 선수를 이긴다고 해도 말이지요.

마재윤 선수를 폄하하려는 건 아닙니다.
지금까지 스타크래프트에 나타난 최고의 수읽기와 유연성을 가진 선수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저 이윤열 선수가 적어도 당분간은 역사상 최고의 선수로 남을 것이라고 생각할 뿐입니다.
마재윤 선수도 진행형이지만, 이윤열 선수도 진행형이거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9527 마재윤은 또다시 진화했다. [18] 이카루스5048 07/02/24 5048 0
29523 난왜 마재윤 선수를 믿지 못했던 것일까. [18] 애연가4519 07/02/24 4519 0
29522 오랜만에 스타리그를 봤다. 그런데 그건 정말 행운이었다. [9] 나른한 오후4248 07/02/24 4248 0
29521 거친파도가 노련한 뱃사공을 만든다.겁내지마세요.NaDa [34] 난이겨낼수있4128 07/02/24 4128 0
29520 역시 마재윤선수는 믿어야하는군요 [42] 그래서그대는6277 07/02/24 6277 0
29518 마재윤 선수의 우승을 축하합니다. 이윤열 선수도 수고하셨습니다. [47] The xian5745 07/02/24 5745 0
29517 마재윤.. 마재윤.. 마재윤... [29] 정령5571 07/02/24 5571 0
29516 저그의 새로운 전설. 탄생하다. [52] SKY926211 07/02/24 6211 0
29514 다시 생각해보니 역대 최고의 개념맵 리그는... [22] 제니스5823 07/02/24 5823 0
29512 최고의 결승전이길... [17] 오크히어로(변4041 07/02/24 4041 0
29508 올라갈곳없는 나다 (수정했습니다) [105] 난이겨낼수있4943 07/02/24 4943 0
29507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사나이. [22] 林神 FELIX7470 07/02/24 7470 0
29506 곰티비 MSL 성전 vs 신한시즌3 결승전을 보면서 [20] 쟁글5265 07/02/24 5265 0
29504 본좌 논쟁 : 한국 바둑과 스타 리그의 비교 [24] 엘런드4680 07/02/24 4680 0
29503 드디어 결승전 날이 밝았습니다. [5] 信主NISSI4690 07/02/24 4690 0
29502 각 구단 감독들도 테란맵이라는데... [91] kips74839 07/02/24 4839 0
29496 선수들 경기석 배정도 공평하지 못합니다. [58] Gommmmm5582 07/02/24 5582 0
29495 Welcome to the New World [17] kama5166 07/02/24 5166 0
29494 이런 전략은 어떤가요?? [13] LOSY4131 07/02/24 4131 0
29493 그들은 단지 운이 없었을 뿐이다. [7] 바람이시작되4148 07/02/24 4148 0
29491 나다의 선택은? [12] 4731 07/02/24 4731 0
29488 아직 그들은 죽지 않았다. <6> IntotheRainbow ,김성제 [6] Espio4187 07/02/23 4187 0
29487 이 논란 속에서 웃고있는건 온게임넷 [34] [법]정의5555 07/02/23 555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