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2/01 11:43:41
Name AgainStorm
Subject 마재윤에 대한 아쉬움.
어제 미처 쓰지 못한 부분입니다...

들어와서 리플을 읽다보니 생각났습니다.

생각해볼까요? 전상욱선수와의 16강 1,2경기를...사실 전상욱선수의 패턴은 거의 똑같았다고 봅니다. 처음에 8배럭이었던 것과 아니었던것 정도의 차이겠죠. 수비하다가 탱크6~7기와 배슬1~2기 모였을때 치고 나가는, 그런 플레이였습니다.

마재윤 선수의 팬들은 기억하시겠죠?
CYON배 MSL 승자 8강경기였던가요?(잘 모르겠네영;)
1경기 알포인트에서의 최연성 선수와의 경기...

저는 그 경기가 잊혀지지가 않습니다. 상대에 대한 완벽한 맞춤형 플레이.
뮤탈로 최연성선수가 투팩플레이(후엔 3팩까지 늘립니다만), 즉 탱크다수플레이라는것을 알고 러커로 잠시 전환했다가 뮤탈리스크를 모아서 탱크위주병력으로 진출한 최연성 선수의 병력을 다 잡아먹고 멀티먹고 게임을 끝냈던 경기죠. 전율이었습니다. 뮤탈로 상대 본진을 보자마자 그런 플레이를 할 수 있다는것이...

그런데 어제의 마재윤선수는, 정석도 아닌 조금은 도박이라고 할수있는(테란이 어제같이 3배럭+탱크하면 답이없죠)전략을 그냥 행합니다.1경기는 마재윤선수가 애초에 드랍을 염두에 두고왔기때문에 아무말 하지 않겠습니다.그런데 2경기에서도 전상욱선수는 똑같은 패턴의 플레이를 하게 되는데,어째서 마재윤 선수는 전상욱 선수가 뭐하는지 보지도 않고 그런 전략을 선택했는지...참 아쉽습니다. 어제 경기는 너무나도 아쉽고 실망스러웠습니다.

많은 분들께서 고작 한경기 졌다고 하시는데 그 한경기가 잘 싸우다 졌다면 아무 말 안 합니다.최근 몇 경기에서 보여주었던 불안한 모습들이 어제는 게임 내내 펼쳐졌습니다.

마재윤선수, 저그유저 플레이의 교본이 되는 선수일정도로 완벽한 플레이를 구사하던 선수가, 조금씩 안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니 안타까워 이런 글을 쓸 수 밖에요.
준비기간이 짧지만, 내일은 멋진 경기 펼쳐줄거라고 믿습니다!

마재윤 화이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히로하루
07/02/01 11:55
수정 아이콘
어제 마재윤 선수의 무기력한 패배가 다들 충격이긴 했나봅니다...
게시판 1페이지에 마재윤 이름만 몇번 보이는건지... 헛헛
대단하네요
이즈미르
07/02/01 11:57
수정 아이콘
전상욱 선수와의 4강 A조 1차전이였던가요?
아카디아에서 9드론으로 상대 더블컴을 지워버리던
모습이 저는 오히려 떠오르는 군요...
전략은 돌고 도는 거라고 생각.
07/02/01 12:10
수정 아이콘
맵스타일이 완전 다른데 비슷한 전략을 썼다고 경기양상이 비슷하게 흘러가는 건 아니죠. 맵이 다르면 같은 전략이라도 다른 대응이 필요한 것은 당연한겁니다.
AgainStorm
07/02/01 12:58
수정 아이콘
Daydew님//물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애초에 오버로드로 보고 뮤탈로 시작해서 짤짤이하며 계속 봤다면, 마재윤선수라면 충분히 그때처럼 할수 있었을 거라고 봅니다
07/02/01 14:44
수정 아이콘
그것을 선택하지 않은 것도 마재윤 선수의 판단이죠. 그런 판단을 하게 된 연유가 뭔지는 모르지만.. 전상욱 선수도 같은 경기양상으로 했던 것처럼 보이지만 또한 그렇지도 않죠. 사실 전상욱 선수가 뮤탈 짤짤이에 경기 끝날 정도로 빌드 짜오지도 않은 듯 싶은데요. 전상욱 선수의 정찰도 한몫 한겁니다. 스캔으로 확인해보고 터렛이나 이런데 자원투자 하지않고 배럭늘리고 2팩 베슬로 자기가 밀고 나올 타이밍에 밀고 나왔을 뿐. 그 전에 마재윤 선수가 히드라로 무모하게 싸워서 수를 줄인 것도 패인이라면 패인이겠죠. 하지만 그거 있었어도 별반 차이없었을 거라 봅니다. 2팩 탱크 화력과 마메 조합 한방이 무척 강했으니까요.
07/02/01 20:48
수정 아이콘
저도 마재윤선수가 무리하게 히드라로 마메랑 싸우다가 병력을 잃은 것도 패인중 하나라고 생각 합니다. 뭐 경기결과야 어쨌든 그렇게 잃을 히드라가 아니었죠..상황판단력이 떨어진건지;;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서지훈'카리스
07/02/01 20:50
수정 아이콘
빌드보자 마자 질 줄 알았습니다..
3해처리빨리 갔지만 드론 안뽑고 히드라만 모아서 나가는 플레이인데..
2배럭정도만 쉬지 않고 뽑아도 못 밀거 같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967 한동욱 - 박성준 전 엄재경해설의 해설이 문제가 되었는데 [79] Eugene8595 07/02/03 8595 0
28966 한동욱이 좋다! [10] 하늘유령3947 07/02/03 3947 0
28962 CJ 엔투스. 정말 대단한 팀이군요.. [14] January5238 07/02/02 5238 0
28961 경기후기)))고뇌 [2] happyend4355 07/02/02 4355 0
28960 마재윤 대 전상욱 3경기 리뷰... 수비는 이렇게 한다! [23] 이즈미르7263 07/02/02 7263 0
28959 도대체 나는 오늘 무얼하러 용산에 갔나. [21] 단류[丹溜]4745 07/02/02 4745 0
28958 2007년 1월 게임환경지수 (수정) [17] 수퍼소닉4674 07/02/02 4674 0
28957 1시즌부터 3시즌까지 이어진 신한은행 24강의 저주를 아십니까? [10] 스타대왕3886 07/02/02 3886 0
28956 2007년 1월 경기력 지수 (SR지수) [9] 수퍼소닉4921 07/02/02 4921 0
28955 마재윤, 게으른 천재? [35] 비오는날이조7624 07/02/02 7624 0
28952 어쩌면 마지막일지도 모를 본좌의 스토리... [10] jiof4502 07/02/02 4502 0
28951 신한 스타리그 시리즈에서 언제나 변형태를 가로막은 박성준! 과연 이번에는 어찌 될런지. [13] 난 내가 좋다!4156 07/02/02 4156 0
28949 첩첩산중이 된 박영민선수. 과연 극복할수 있을것인가? [12] SKY923780 07/02/02 3780 0
28946 조금은 색다른 e-sports /// 1.캐릭터는 살아있다. [1] 애청자4621 07/02/02 4621 0
28945 바보같은 눈물........ [16] SKY923617 07/02/02 3617 0
28944 이것이 마재윤! 수비의 마재윤! 공격의 마재윤! [52] 이즈미르6394 07/02/02 6394 0
28943 나는 이윤열 선수를 믿습니다. [17] 둔재저그4051 07/02/02 4051 0
28942 괴물! 너 이딴 식으로 게임 할래!!!!! [14] 혀니5191 07/02/02 5191 0
28940 2007년도에는 4세대 프로토스의 탄생을 기대해봅니다 [33] 최강견신 성제5620 07/02/02 5620 0
28938 구단??No , 게임단??Yes [10] 막강테란☆3617 07/02/02 3617 0
28936 [연재] E-sports, 망하는가? #7. '프로 스포츠'로서의 E-sports - 1 [6] Daydreamer4568 07/02/02 4568 0
28935 갈수록 커져가는 감동 PT4, 그리고 후로리그.. [3] 비오는날이조3767 07/02/02 3767 0
28932 단편적인 생각 : 한 명장과 홍진호 [9] 소현4267 07/02/01 426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