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1/09 23:40:56
Name The Siria
Subject 함께 쓰는 E-Sports사(11) - 최대한 열전.
피파의 전성시대는 언제였을까.
꾸준히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피파리그.
하지만, 그들은 항상 메이저이지는 않았고, 약간은 마이너에 더 가까운 측면도 있었다.
그래도 그들은 꾸준히 게임을 이어왔고, 오늘날에 비슷한 피파온라인으로 종목을 변화하면서도 자신의 영역을 지켜가고 있다.

투명클랜이라는게 있다.
피파의 클랜인데, 이 클랜의 지주 역활을 한 선수는 프로다.
그냥 프로가 아니라, 대단한 업적을 남긴 프로다.
아이디는 화산이라는 뜻의 Volcano.
그래서였을까. 그는 몇 번의 폭발로 천지를 뜨거운 용암으로 물들이는 화산처럼, 몇 차례의 폭발적인 위력을 내세우며 천하에 자신의 이름을 알리는데 성공한다. 최대한, 그의 이름을 포털에서 치면, 이종격투기 선수 이름이 먼저 뜨지만, 그래도 그는 성공한 피파게이머이다. 아래에 나열할 그의 경력을 보면, 화려하다는 생각이 먼저 들 것이다.

[2002년 3월]  2002 인천 KT배 FIFA2002 대회 우승
[2002년 5월]  Cocacola FIFA2002(WCC) 세계대회 한국 국가대표선발전1위
[2002년 6월]  Cocacola Wolrd Cyber Cub (WCC) 세계대회 우승
[2003년 7월]  온게임넷 피파2003 Cyber PeaceCup Korea 우승

[2003년 8월]  제 3회 WCG2003 세계 게임 올림픽 한국 국가대표 선발전 1위
[2001년 9월]  메가패스배 FIFA2001 대회 32강
[2002년 9월]  제 2회 WCG 2002 세계게임올림픽 한국국가대표선발전 16강
[2003년 10월]  제 3회 WCG2003 세계 게임 올림픽 글로벌 파이널 동메달
[2003년 10월]  제 3회 WCG2003 세계 게임 올림픽 글로벌 파이널 국가대항전 4위
[2004년 8월]  제 2회 챔피언스데이 MBCgame 싱크마스터배 Fifa2004 A1리그 2위
[2004년 8월]  제 4회 WCG2004 세계 게임 올림픽 한국 국가대표 선발전 2위
[2004년 10월]  제 4회 WCG2004 세계 게임 올림픽 글로벌 파이널 금메달
(강조는 필자.)

2002년 6월의 우승 기록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나와있지 않다.
워낙 피파리그의 기록이 적기 때문에 그가 어떤 선수들과 부딪히면서 우승을 차지했는가에 대해서는 알려진바가 없다. 다만, 명색이 세계 대회였던만큼 세계 각지의 선수들과 겨루었음에는 분명하다. 사실, 2001년과 2002년에는 한국이 피파에 있어서는 세계 최강국이었던 시절이기 때문에, 그의 우승은 그런 흐름의 한 연속이라고 보아도 좋았다. 아직은 아마추어 신분이었지만, 이 당시에 그는 이미 프로의 기량을 지니고 있던 선수였다.
2003년 처음 개막한 피스컵. 그에 맞추어 홍보를 위해 사어버 피스컵이 기획이 되었고, 그는 당시 아마추어 예선 1위로 통과하는데 성공한다. 그는 이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것으로 되어 있는데, 우승자로 짝을 이룬 것이 누구인지는 확인할 방법을 찾기가 쉽지 않다. 이지훈으로 기억이 되지만, 확실한 것은 아니다. 여하튼 그는 이 대회의 우승으로 자신의 이름을 알렸다.

2004년은 그에게 있어서 영광의 한 해였다.
투명클랜을 이끌고 그는 먼저 MBC게임 피파 클럽 챔피언십에 나간다.
투명클랜의 전력이 탁월한 것은 아니었기에, 그의 성적은 다소간 평범한 수준으로 끝이 났다. 하지만, 이어 벌어지는 MBC게임 피파 A1리그에서는 다른 성적을 낸다. 강력한 모습을 연이어 선보이면서, 파죽지세로 결승까지 오른 것이다.
그 해 8월에 벌어진 결승전에서 그는 하지만 아쉽게 패한다. 단단하고 정석적인 스타일을 구사하는 게이머, 황상우에게 패배하면서 그는 자신의 리그를 이렇게 마무리하게 된다. 결승전에서 승 패는 주고 받았지만, 자신의 홈에서 더 많은 골을 내 주었던 것이 뼈아픈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그러나 10월의 샌프란시스코에서는 달랐다. 이미 그는 WCG 2003 동메달로 WCG에 대한 경험을 축적한 상태였고, 그 경험은 점점 커지면서 한국 예선전을 1위로 통과하고, 본선에서도 기세를 떨치는데 도움이 되었다. 총 전적은 9승 1패. 압도적인 스코어였고, 결승에서는 피파가 마지막 메인 경기로 선정이 되면서, 이 대회 최후의 금메달리스트라는 영광까지 함께 안았다. 2003년의 아쉬움을 완벽하게 떨쳐버리는 그런 결과를 차지하게 된 것이자, 동시에 그는 세 번째로 WCG 우승을 차지한 피파 한국게이머가 되었다.

그 뒤의 소식은 좀 짧아진다.
MFL에 출전했찌만, 2004년의 영광과는 다소 거리가 멀었다. 처음을 3전 3승으로 통과했지만, 8강에서 3전 3패로 무너지는 실망스런 결과를 나타나었다. 물론, 그가 맞선 상대들은 강했지만, 그는 이미 그런 상대들을 뚫고 여러 번 결승에 진출한 역전의 용사였다. 단순한 컨디션의 난조였을까, 아니면 그의 스타일을 읽고 나온 상대의 대비때문이었을까, 어찌 되었건, 그는 이 대회를 끝으로 피파 무대에서는 사라지게 되었다. 지금 한창 진행중인 온라인리그에도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 아니, 2005년 8월의 MFL1에 그의 이름이 없는 것을 보면, 그는 어쩌면 게임에 대한 의욕을 잃고서 시즌에 임했는지도 모른다. 여하튼 그는 갑작스런 3패로 탈락의 고배를 들면서, 동시에 사라졌다.
마치, 화산이 타올랐다가 순식간에 꺼진 것처럼.

그는 휴화산일까, 사화산일까.
그가 1982년생임을 감안할 때, 현재 군에 입대하지 않았을까 하고 추정도 해 보지만, 정답은 알 수 없는 일이다. 다만, 그가 한 시대를 풍미한 피파 게이머이고, 피파를 사랑했던 사람임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의 지금 모습이 어떠했던, 그가 보여준 투지와 능력, 그리고 우승의 영광은 그를 기억하게 만드는 한 추억의 장이 아닐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ovely-OBJ
07/01/10 00:13
수정 아이콘
피파를 꾸준히 좋아한 게이머라면
최대한 선수는 잊지 못할 강력한 선수로 각인되어 있을 것입니다.
07/01/10 00:48
수정 아이콘
최대한선수 온게임넷에 나오던데;;;;
제가 잘못본건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697 [PT4] 맵 추천 받습니다! [51] 캐럿.3895 07/01/20 3895 0
28774 안녕하세요 후로리그의 노블입니다. [3] 이프3993 07/01/27 3993 0
28773 스타리그인가 OSL인가. [114] [법]정의7205 07/01/27 7205 0
28771 드디어 내일 벌어지는 빅이벤트! 4회 슈퍼파이트! 에이스중의 에이스는 누구? [35] SKY926313 07/01/26 6313 0
28768 올드 팬이 바라본 김동수. [46] rakorn6576 07/01/26 6576 0
28766 가치관으로 따져본 프로게이머의 성향 [21] 선택과실신5705 07/01/26 5705 0
28765 인터뷰 삭제, e-sports에서도 언론 검열?? [74] 김민성7392 07/01/26 7392 0
28764 임,이,최 역대 3대 테란과 마재윤 선수의 어쩔수 없는 딜레마. [23] 해변의 카프카6656 07/01/26 6656 0
28762 이번 시즌에는 밸런스가 붕괴된 맵이 너무 많습니다 [26] 선택과실신5638 07/01/26 5638 0
28761 마.재.윤...참... [14] 하이6171 07/01/26 6171 0
28760 MC는 괴로워 1회 - 기욤 패트리 등장 [15] Sol_Dide5859 07/01/26 5859 0
28759 여성들의 스타에 대한 지식 지수?! ^^(오늘 경기를 본뒤 그냥 든 생각) [31] Pride-fc N0-14271 07/01/26 4271 0
28758 July, 박성준의 전성기 ... 그리고 마재윤 [4] Aqua4571 07/01/26 4571 0
28754 본좌 논쟁 하는 걸 보면서... [34] 자유로운4254 07/01/25 4254 0
28753 스타리그와 배틀넷 [10] genius3869 07/01/25 3869 0
28752 savior!! MSL 메이저리그 통산 50승을 축하합니다!! [18] 발업질럿의인4066 07/01/25 4066 0
28751 마재윤선수 정말 역대 최고의 본좌를 이룰수 있을까요? [50] 라푼젤5649 07/01/25 5649 0
28750 마재윤이 결국 총대를 맨건가요? [83] 보라도리8697 07/01/25 8697 0
28749 김양중 해설위원 한번더 도전을 합니다.. [35] 에밀리안코효4501 07/01/25 4501 0
28748 대기록을 써나가는 저그! 마재윤!!! [46] SKY925714 07/01/25 5714 0
28747 진영수 vs 마재윤 / 강민 vs 김택용 성사될것인지 [33] 처음느낌5216 07/01/25 5216 0
28744 년도별 최고상금입니다 [34] 김쓰랄8814 07/01/25 8814 0
28741 본좌면 어떠하리 아닌들 어떠하리 [15] 연아짱4443 07/01/25 444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