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1/09 16:47:10
Name The Siria
Subject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5) - 노재욱과 류경현
5. 노재욱과 류경현

MWL2는 결국 기존에 추진하던 형식으로 치루어지지 못한 채 다른 형식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2005년의 예선 결과를 그대로 따르기에, 이미 선수의 결원이 너무 많았고, 그래서 결국 약간의 예선을 다시 거쳐 MIL SUMMER로 출발하게 되니, 이 것이 바로 ESWC 2006의 예선전이 된 리그이다.
WEG 마스터즈와의 일정 문제로 중간에 파행을 겪으면서도 여하튼 힘겹게 리그는 지속이 되었고, 그 결과는 조대희의 우승과 노재욱의 준우승이다. 그리고 이 두 사람은 ESWC 본선 진출권을 얻게 되었다.

노재욱은 바로 이 대회에서 비상했다.
1라운드 예선을 6승(총 10승)으로 통과하는데 성공했고, 2라운드에서는 조대희를 비롯해, 즈드라코프 조르기에프, 크리스토퍼 라포테 같은 선수들을 제압하면서, 4승 1패로 통과하기에 이른다. 2라운드 동안, 그는 중국의 수하오에게만 패했을 뿐이었고, 그의 기세는 결국 8강 토너먼트에서 큰 일로 발전한다.
8강전, 프랑스의 유안 메를로를 상대해서 2:0으로 제압하면서 순조롭게 4강에 오른다. 유안 메를로가 세계적인 휴먼이라는 점에서 만만한 상대는 아니지만, 그래도 그는 기세가 너무 좋았다. 4강에서는 중국의 세계적인 휴먼, 리 샤오펑과의 대접전 끝에 2:1로 승리, 결승에 오른다. 먼저 한 경기를 내주고도 부단하게 만회의 시도를 한 끝에 얻은 값진 결과였다. 본인 스스로 말하듯 힘든 싸움이기도 했다.
그리고 결승. 크로아티아의 이비사 마르코비치를 만나 2:0으로 가볍게 제압하면서 한국인으로는 두 번째로 ESWC 정상에 오른다. 노재욱 개인에게는 처음으로 등극한 메이저 타이틀이며, 한국 언데드의 힘을 과시한 그런 대회였다. 노재욱 본인의 별명인 대마왕다운 경기가 나오며, 그는 빛을 보았다.

WCG 이야기를 해 볼까.
필자는 솔직히 스타에서 금,은,동을 다 휩쓴 것에는 별 관심이 없다.
내가 주목하는 선수는 무명이지만, 너무 강한 한 선수다.
류경현은 워해머에서 지난 2005년에도 이미 정상에 오른 선수다.
그런 그는 그 당시 인터뷰에서 한국의 워해머리그에 대한 아쉬움과 함께, 리그가 없다면, 다른 길도 생각해 보겠다고 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하지만, 그는 워해머를 포기하지 않았고, 한국인이 그나마 관심을 가져줄 수 있는 시기인 WCG에서 자신의 관심을 일순간 받는데 성공한다.
11승 2패라는 압도적인 성적으로 우승을 차지한 그.
WCG 공식 홈페이지에는 명예의 전당이라는 곳이 있는데, 여기는 두 대회 연속으로 금메달을 차지한 선수들의 이름이 등록되어 있다. 카스의 유명한 팀3D도 있고,피파와 언토, 헤일로같은 유명한 게임의 2회 이상 챔피언들의 이름이 WCG의 전설로 등록이 되어 있다. 2001년과 2002년에 스타를 평정한 임요환도 그 중 하나이며, 이제 우리는 류경현의 이름도 이 곳에서 만날 수 있다. 그만큼 그는 대단한 게이머이다.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지만.

왜 우리는 인식하지 못하는 것일까.
이는 국제적인 감각과 스타 위주의 게임리그에 기인하는 것이 아닐까.
국제적으로 명성을 얻는 선수에 대한 합당한 대접과, 비스타 종목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의 중요성은 이런 국제 대회의 성과 뿐만이 아니라, 게임 리그의 다양성의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것이다. 국제 대회의 성과는 한 두 기린아의 성공이 아니라, 두꺼운 선수층에서의 경쟁에서 나오는 것이며, 게임리그의 다양성은 편식 현상을 억제하고, 다양한 사람들의 취향과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하겠다.
류경현과 노재욱.
마치 김연아와 박태환이 그런 것처럼, 비인기 종목에서 묵묵히 성과를 낸 그들이 자랑스럽다. 김연아와 박태환은 아마도 올림픽에만 반짝 관심을 얻고, 그들의 바탕이 되는 피겨와 수영은 여전히 비인기종목이 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필자는 류경현과 노재욱의 바탕에 있는 다른 종목에게도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스타만 E-Sports가 아니며, 워3, 워해머, 카스, 피파, 카트 등등... 무수한 종목이 함께 공존하는 E-Sports가 될 때, 건강한 E-Sports는 탄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그들의 지난 해 성과에 축하하면서, 올 해는 그들이 몸담고 있는 곳에서 한 줄기 빛이 깃들기를 기원한다.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4) - 개인리그 vs 프로리그(?)
개인적으로 꼽은 2006년 E-Sports 10대 사건(3) - 프런트의 시대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2) - 창단, 그리고 과제들
개인적으로 꼽은 2006 E-Sports 10대 사건(1) - 성명석의 징계 파동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y name is J
07/01/09 17:10
수정 아이콘
로동무!+_+
팬으로서 흐뭇한 한해였지요..오호호호! (그놈의 굴비만 아니었으면 마지막까지! 엉엉-)

정말 류경현선수에 대해서는 대단하다는 말밖에는....워해머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그정도 선수가 홀대받는게 그저 미안할 따름입니다.
DNA Killer
07/01/09 17:27
수정 아이콘
류경현 선수 재작년 워해머우승의 소식으로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워해머를 접하기가 ㅡㅡ; 그나마 아프리카에서 잠깐 워해머 대전을 봤는데 과거 C&C제네럴 느낌이 나더군요. 방송으로도 괜찮을 것 같으나 역시 인지도...

모든 비인기 종목의 설움이지요... 비단 e-sports를 떠나서...
07/01/09 18:02
수정 아이콘
워해머 방송 동영상을 찾아서 봤는데, 상당히 참신하군요. 게다가 제작사는 홈월드를 만든 렐릭... 경기 진행이 상당히 빠른 것으로 봐서, 방송용으로도 괜찮을 것 같아 보이긴 한데... 확실히 인지도 문제인건지;;;
07/01/09 18:33
수정 아이콘
그 종목 다변화의 시작이 W3였으면 좋겠네요. 진짜 이 부분은 E-Sports로 도약하는데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닥터페퍼
07/01/09 21:01
수정 아이콘
류경현선수도 원래는 워3게이머였죠^^
뭐, 이제는 워해머 WCG 2회연속 우승으로 더 유명해졌지만요.
07/01/10 10:48
수정 아이콘
로동무~로동무~
류경현선수.. 인터뷰가 참 인상깊었는데 말이죠.
비빔면
07/01/10 11:12
수정 아이콘
류경현형... 카스도 합니다 -_-; 한때 같은클랜이였죠; 제가 활동부족으로 쫓겨나긴 했지만 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767 [PT4] 신청명단 (1/26) [3] 캐럿.4575 07/01/26 4575 0
28697 [PT4] 맵 추천 받습니다! [51] 캐럿.3896 07/01/20 3896 0
28774 안녕하세요 후로리그의 노블입니다. [3] 이프3994 07/01/27 3994 0
28773 스타리그인가 OSL인가. [114] [법]정의7207 07/01/27 7207 0
28771 드디어 내일 벌어지는 빅이벤트! 4회 슈퍼파이트! 에이스중의 에이스는 누구? [35] SKY926314 07/01/26 6314 0
28768 올드 팬이 바라본 김동수. [46] rakorn6577 07/01/26 6577 0
28766 가치관으로 따져본 프로게이머의 성향 [21] 선택과실신5706 07/01/26 5706 0
28765 인터뷰 삭제, e-sports에서도 언론 검열?? [74] 김민성7396 07/01/26 7396 0
28764 임,이,최 역대 3대 테란과 마재윤 선수의 어쩔수 없는 딜레마. [23] 해변의 카프카6660 07/01/26 6660 0
28762 이번 시즌에는 밸런스가 붕괴된 맵이 너무 많습니다 [26] 선택과실신5639 07/01/26 5639 0
28761 마.재.윤...참... [14] 하이6175 07/01/26 6175 0
28760 MC는 괴로워 1회 - 기욤 패트리 등장 [15] Sol_Dide5860 07/01/26 5860 0
28759 여성들의 스타에 대한 지식 지수?! ^^(오늘 경기를 본뒤 그냥 든 생각) [31] Pride-fc N0-14272 07/01/26 4272 0
28758 July, 박성준의 전성기 ... 그리고 마재윤 [4] Aqua4573 07/01/26 4573 0
28754 본좌 논쟁 하는 걸 보면서... [34] 자유로운4255 07/01/25 4255 0
28753 스타리그와 배틀넷 [10] genius3870 07/01/25 3870 0
28752 savior!! MSL 메이저리그 통산 50승을 축하합니다!! [18] 발업질럿의인4067 07/01/25 4067 0
28751 마재윤선수 정말 역대 최고의 본좌를 이룰수 있을까요? [50] 라푼젤5651 07/01/25 5651 0
28750 마재윤이 결국 총대를 맨건가요? [83] 보라도리8698 07/01/25 8698 0
28749 김양중 해설위원 한번더 도전을 합니다.. [35] 에밀리안코효4503 07/01/25 4503 0
28748 대기록을 써나가는 저그! 마재윤!!! [46] SKY925715 07/01/25 5715 0
28747 진영수 vs 마재윤 / 강민 vs 김택용 성사될것인지 [33] 처음느낌5227 07/01/25 5227 0
28744 년도별 최고상금입니다 [34] 김쓰랄8816 07/01/25 881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