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1/11 03:14:20
Name SEIJI
Subject 2005 SO1과 2006 신한은행 시즌2의 공통점
1. 골든마우스를 노리는 테란, 결승 한 쪽을 차지하다.

2005 : 3회우승을 노리며 골든마우스를 탄생시킨 인물, 임요환
2006 : 역시 3회우승을 노리며 골든마우스에 다다른 이윤열

2. 절대적인 포스를 보여주며 재기를 보여주는 테란

2005 : 2004 준우승 이후로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며 팬들을 실망하게 만들었으나
SO1 조별경기에서 3승으로 1위로 진출하여 8강에서 박정석을 2-0으로 때려잡고
(아무도 예상할수 없었음), 4강에서 0-2로 뒤지다 3-2로 역전하는 대 드라마를 작성하며
결승에 진출한 임요환.
2006 : 이전 양대 피시방리거로 전락하며 최악의 부진을 보였으나 신한은행 시즌2에서
16강 박성훈에게 일격을 당했으나 2-1로 승리하고 8강 박성준(삼성) 2-0으로, 그리고
4강 이병민 3-0으로 완승하며 이번 슈퍼파이트까지 박정석을 3-0으로 셧아웃하며
최고의 포스를 보여주며 재기에 성한 이윤열

3. 최고의 종족을 유감없이 과시하는 테란

2005 : 16강에는 4명만 진출했으나 8강에 4명모두 1위로 진출하며 최고의 종족으로 등극.
2006 : 8강에 테란 5명진출, 4강에 테란 3명 진출로 역시 최고의 종족이라는걸 입증.

4. 한편 힘겹게 힘겹게 올라온 토스, 결승 한 쪽을 차지하다.

2005 : 오영종 4시드로 홍진호-최연성-김준영과 한조가 됨. 오영종으로선 저그2명에
최연성이 버티는 죽음의조. 하지만 2승1패로 진출. 8강 서지훈 - 4강 최연성의 라인을
이기며 힘겹게 결승진출.
2006 : 오영종 - 전상욱 - 한동욱 - 박성준(MBC)의 죽음의 조에 속해 2승1패로 진출.
그뒤 16강 김준영, 8강 박태민 4강 전상욱이라는 죽음의 라인을 힘겹게 힘겹게 통과.

5. 조별경기에서 패배를 안긴 상대에게 4강에서 복수하는 토스

2005 : 조별경기에서 자신을 이긴 최연성에게 4강에서 깨끗하게 설욕하는 오영종.
2006 : 조별경기예서 자신을 이긴 전상욱에게 4강에서 깨끗하게 설욕하는 오영종.

6. 이래저래 저그는 안습

2005 : 8강에 저그 1명. 4강에 저그 0명 진출
2006 : 8강에 저그 1명. 4강에 저그 0명 진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y name is J
06/11/11 03:15
수정 아이콘
6번에서...크흑.
이번시즌..저그가 맞이한 최고의 시즌일꺼라 의심치 않았는데 말입니다...ㅠ.ㅠ 김준영선수우!!!!!!!!!
글루미선데이
06/11/11 03:16
수정 아이콘
아무리 잘나가도 한두번은 삐끗하기 마련인데 그게 하필이면 본선무대였는지라...김준영 선수 참...아깝죠 -_-
06/11/11 03:32
수정 아이콘
6번 재밌네요. ^^ MSL과는 또 다르군요.
어느 한 선수 팬이면 경기를 재미있게 보기가 좀 힘들 텐데(쏘원 때 그랬죠 흑흑)
다행히 두 선수 모두 좋아하는 선수라 ^^
이번 결승은 누가 이기느냐에 관계없이 아주 재미있게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LowTemplar
06/11/11 04:17
수정 아이콘
7. 치열한 접전끝에 결국 토스가 우승

이 추가되길 기원합니다!
레지엔
06/11/11 05:44
수정 아이콘
곰덫 해제된 온게임넷에서 마재윤선수와 오영종선수의 결승전을 내년 가을에 보고 싶네요..
나두미키
06/11/11 06:16
수정 아이콘
6번이 정말 안습이네요 ㅡ.ㅡ
그나저나 오영종 선수 대박인데용
발컨저글링
06/11/11 07:23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에선 MSL에 비해 이상하게 저그가 힘을 못쓰는 듯..
맵이나 특정하게 불리한 게 없는데도..이상하게 말리는 느낌이..
06/11/11 07:59
수정 아이콘
가을엔 저그가 약한건가요 -_-?
06/11/11 08:01
수정 아이콘
약했죠...

왜냐하면 가을은 임요환과 프로토스의 계절이니까요.
막강테란☆
06/11/11 08:54
수정 아이콘
흠.. 7번이 추가될지.. 6번에서 끝날지.. 재밌게 됬군요.
06/11/11 09:19
수정 아이콘
가을의 전설은 계속된다. 쭈욱~~~ ^^
06/11/11 09:59
수정 아이콘
가을... 테란에게는 둘째치더라도 토스에게조차 무너진 저그-_);;;;;;
제로벨은내ideal
06/11/11 10:37
수정 아이콘
SEIJI님 너무하시옵니다. 삼성칸 박성준 선수와 박태민 선수 중 한 명은 저그가 아니란 말씀이옵니까
분발합시다
06/11/11 10:38
수정 아이콘
원래 이맘때는... 특출나게 포스가 좋았던 저그가 거의 없었던 걸로 기억하네요. 그나마 박성준도 질레트우승 이후 에버배때 주춤하다가 다시 아이옵스때부터 활약했으니... 거참 묘한데요 ;;;
06/11/11 11:35
수정 아이콘
6번;
벨로시렙터
06/11/11 11:46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가을의 온게임넷 시나리오라는게
테란이 저그를 때려잡고 그 테란을 프로토스가 때려잡고 우승 !
이 일반적인 스토리라


이래저래 저그는 안습 ... 인것이죠 -ㅅ-;

[그런데 이번엔 S급 저그들을 오영종선수가 확실히 꺽고 왔거든요 ?!]
06/11/11 12:56
수정 아이콘
저그 안습 ㅠ,.ㅠ;;
진짜 눈물이 앞을 가리네요 ....
골든마우스!!
06/11/11 13:15
수정 아이콘
이번 신한은행 시즌2 8강에 저그 두명이었습니다. 삼성준 선수와 박태민 선수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178 [픽션]raDIO StaR ⑦ [1] [NC]...TesTER4356 06/11/17 4356 0
27177 돌아와라 변길섭 [13] 그를믿습니다4658 06/11/17 4658 0
27176 두번째 수능... [15] 그녀를 기억하3925 06/11/17 3925 0
27175 [축구] 이번주 금~월요일까지의 경기 [4] 초스피드리버4529 06/11/17 4529 0
27174 오영종 승리의 공식. [29] 파이어볼4577 06/11/17 4577 0
27173 이것도 나라망신이가요..ㅠㅠ;; [19] 노게잇더블넥5180 06/11/17 5180 0
27172 짜증나는 온게임넷, MBC 게임. [51] Hilbert5438 06/11/17 5438 0
27170 아직도 가을하늘을 잊지않는 그냥 팬의 일기<전편> [1] 겨울나기4076 06/11/17 4076 0
27169 APM 미스테리 [30] 볼텍스6275 06/11/17 6275 0
27168 시대별 무적 포스-프로게이머 전성기 시절 성적 비교 [24] Altair~★5793 06/11/17 5793 0
27167 기쁜소식 알려드립니다!!! [15] CaPsONe5294 06/11/17 5294 0
27165 우리는 정말 e-스포츠를 사랑하는가? [4] 오유석4250 06/11/17 4250 0
27164 T1의 골수팬이 악마의 패배를 바라다... [52] 메카닉저그 혼5021 06/11/17 5021 0
27163 수능..? 수능..! [23] 히중5254 06/11/17 5254 0
27162 [연재] E-sports, 망하는가? #2. 현재의 E-sports의 상황 [8] Daydreamer5357 06/11/16 5357 0
27161 [연재] E-sports, 망하는가? #1. 인사말을 겸한 소개 [5] Daydreamer4823 06/11/16 4823 0
27160 차기 MSL의 스틸드래프트 순서에 대한 잡담. [8] hero6004679 06/11/16 4679 0
27159 요즘은 정말 기분이 좋습니다 [4] 지포스24532 06/11/16 4532 0
27156 오늘 서바이벌리그 김민구선수... 허걱~ [21] 오가사카4776 06/11/16 4776 0
27155 죽음의 서바이버 와일드카드전 대진표 발표! [25] SKY924083 06/11/16 4083 0
27154 인생의 스타트 지점 수능.......그러나... [6] *블랙홀*4153 06/11/16 4153 0
27152 [Kmc의 험악한 격려] 잘 봤는지? [23] Ntka4242 06/11/16 4242 0
27150 '제 3자 효과'에 대해서 [11] 라캄파넬라4457 06/11/16 445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