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1/04 01:30:16
Name 홍승식
Subject [제안] 프로리그 사전 엔트리 제출 및 엔트리 교체 방법에 대해
요즘 리그의 중심이 프로리그냐 개인리그냐인 것으로 많은 말들이 오가고 있죠. 프로리그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입장에 선 사람으로서 프로리그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런 방법은 어떨까 생각해 봤습니다.

1. 사전 엔트리 제출

프로리그의 재미 중의 하나는 당일에 발표되는 엔트리입니다. 엔트리 발표 직전까지의 두근거림은 큰 즐거움이니까요. 하지만 상대를 정확하게 모른다는 것은 경기를 준비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1주일 이상 준비시간이 있는 개인리그에 비해서 경기질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저도 그렇고 다른 분들도 몇번 언급한 바가 있듯이 사전 엔트리를 제출해서 선수들에게 경기를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주었으면 합니다. 경기 3일 전 쯤에 발표한다면 준비할 시간으로는 충분하다고 봅니다.

당일에 발표하는 것이 3일전으로만 바뀐 것 뿐이니까 팬들은 경기 3일 전에는 엔트리 발표의 두근거림을 느낄 수 있고 엔트리 발표 후 경기 전까지는 경기에 대한 예상으로 즐거울 수 있습니다. 각 팀에서도 3일 전에 상대 엔트리를 예측하는 것은 똑같은 것이고 경기 준비에 도움이 되니 보다 재밌는 경기를 펼칠 수 있다고 봅니다.

2. 엔트리 교체

사전에 엔트리를 제출하게 되었을 때 상성상 맞물리게 되거나 천적이 붙게 되었을 때, 그리고 선수의 컨디션이 안 좋을 때 등 좋은 경기를 기대하기 힘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를 대비해서 각 팀마다 엔트리를 교체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어야 합니다.

저는 엔트리의 교체를 단순히 선수 교체보다는 엔트리 포인트(이하 EP)라는 것을 만들어서 사용하게 했으면 좋겠습니다. 각 팀마다 총 경기수*2의 EP를 가지고 그것으로 선수를 교체하는 거죠. 예를 들어 2007년 전기리그에 각 팀당 20경기를 치른다면 각 팀은 리그 시작시 40EP를 가지고 시작하게 되는 겁니다.

선수를 교체할 때는 같은 종족으로의 교체는 1EP가 소모되고, 다른 종족으로 교체할 때는 2EP가 소모되게 하는 겁니다. 물론 총 포인트의 제한이 있으니 경기당 교체 제한은 없습니다. 또한 EP의 중요성을 높이기 위해 순위를 정할 때에도 승률-승점-EP 순으로 같은 결과가 나왔다면 교체를 적게 한 팀이 순위에서 오를 수 있게 하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 온게임넷의 찬수/명수 선수나 동욱/재욱 선수처럼 종족에 특화된 선수를 보유하고 있다면 EP를 적게 소모하고도 역상성을 극복할 수 있을 겁니다. 게다가 리그 후반이 되었을 때 상위권 팀은 EP의 제약이 있을 수 있지만 하위권 팀은 남은 EP 다 써버려도 문제가 없기 때문에 완벽한 스나이핑 엔트리로 고추가루 부대 역할을 톡톡히 할 수도 있죠.

사전 엔트리 제출로 경기 질을 유지하면서도 세트 시작 직전에 교체로 흥미진진함을 배가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현실적으로 스타크래프트 리그를 확대 발전시키려면 개인리그보다는 팀단위리그로 무게 중심이 옮겨져야 한다고 봅니다. 개인리그로는 이미 커져버린 이 판을 유지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니까요. 지금은 개인리그냐 팀단위리그냐 하는 논쟁보다는 어떻게 하면 프로리그를 재미있게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되지 않나 생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1/04 01:34
수정 아이콘
EP라는 제도 자체가 쉽네요 보는것도 시행하는것도.. 여태까지의 의견중 제일 재미 있는 방식이 아닌가 싶습니다
loadingangels
06/11/04 12:40
수정 아이콘
저도 찬성인데요...엔트리 교체는 같은 종족에 한에서라는 선에서 마무리 되면 좋겠습니다..
아무래도 종족까지 교체한다면 악용할 가능성도 있어 보이고요..
信主NISSI
06/11/04 14:07
수정 아이콘
위 방식은 분명히 킬러선수들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단, 단점이라면 그 교체포인트를 '강팀'에게 몰아서 쓸 수 있다는 겁니다. 각팀이 굳이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리그를 마치고 나면 어느팀이든 EP포인트가 좀더 많이 소모된 팀이 나올 것이고, 이건 형평성에 문제가 있습니다.

내년엔 각팀당 2회씩 격돌하니까, 팀대팀에서 1회나 2회에 한해서 같은 종족으로 교체할 수 있는 정도면 활용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007 이번 르까프... [24] 노게잇더블넥4675 06/11/12 4675 0
27006 PS3가 발매되었습니다. [36] elecviva5332 06/11/12 5332 0
27005 예선현장의 열기를 느껴보고싶습니다. [12] 못된놈4183 06/11/12 4183 0
27004 스카이(우주배) 프로리그 후기리그. 스파키즈 VS 르까프 OZ 엔트리. [359] SKY926148 06/11/12 6148 0
27003 스타에서 개인 타이틀전이 있으면 어떨까요? [3] 푸른기억3979 06/11/12 3979 0
27002 심심할때마다 하는 스타관련 잡생각 -1- [10] 볼텍스4066 06/11/12 4066 0
27000 과연 마재윤의 경기는 재미없을까요? [64] 수염부5595 06/11/12 5595 0
26999 아연이 에게 희망을 [6] 공고리4317 06/11/12 4317 0
26998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 마재윤 선수 전성기 시절 전적 정리! [79] 마르키아르10083 06/11/12 10083 0
26995 워3리그의 가능성을 엿보다 .. [23] 4350 06/11/12 4350 0
26994 이제는 "마재윤의 시대"인가요. [24] sugar5391 06/11/12 5391 0
26993 워크3 초짜의 이틀동안 게임 플레이 감상문.. [20] 영혼을위한술4884 06/11/12 4884 0
26992 카멜레온이 경기을 지배한다 [1] 그래서그대는4187 06/11/12 4187 0
26991 결승후기 [2] 천령4367 06/11/12 4367 0
26990 엠비시 게임 결승전을 지켜본 저로서는 나름대로 최선의 선택이었다고 봅니다. [10] 다주거써4429 06/11/12 4429 0
26989 마지막 파워 인터뷰 박찬호 선수편을 보았습니다. [5] 루크레티아4499 06/11/12 4499 0
26988 2007 팀단위 리그에 대한 제안. [7] 노리군4447 06/11/11 4447 0
26987 슈퍼파이트 후기 + 지스타2006 참관기 [12] hoho9na4182 06/11/11 4182 0
26986 반가운 얼굴. 강도경. [5] zephyrus4143 06/11/11 4143 0
26985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서른세번째 이야기> [8] 창이♡3478 06/11/11 3478 0
26984 차기 MSL, 차기 시즌에도 저그가 강세일까요?? [27] 김광훈4456 06/11/11 4456 0
26983 기계는 다시 돌아간다. [10] swflying4094 06/11/11 4094 0
26982 최종보스 마재윤 [24] 5722 06/11/11 572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