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6/11/03 21:15:42
Name 이즈미르
Subject 으음... 역시 오영종 선수가 더 강심장이네요. 축하합니다.
작년 이맘때였던가요, 오영종 선수하고 임요환 선수하고 결승전을 치렀을때
(아이코, 수정.)군부대에 있었는데 스타리그 보는게 하나의 낚이였습니다.
갠 적으로 오영종 선수가 승리하기를 바랬는데 3, 4경기를 냅다 임요환 선수가
처절하게 타이밍 러쉬로 잡아버리시더군요.
세세한 것 까지는 기억 안 나지만 1. 2경기는 다크 위주의 견제
3, 4경기는 확장을 빠르게 가져가는 걸로 기억나는데,
5경기에서는 걍 멀티를 빨리 가면서 다크에 대비한 임요환
선수의 본진 투컴셋을 아주 허무하게 만들어 버렸던걸로 기억합니다.

요번 전상욱 선수와의 4경기에서 특유의 다크는 힘 한번 못 써보고
소모했지만 리버 한기에 생명줄을 걸고 위태위태하게 매달렸는데,
결국 상대의 실수든 머든 생명줄을 붙잡고 5경기로 가고,
마치 5경기에 전상욱은 분명히 FD테란을 할거라고 생각하는듯
3게이트 드라군으로 끝장을 보는군요.

오영종 선수는 확실히 수싸움도 강하고, 강심장이라는 새삼
느꼈습니다. 한줄기 희망을 놓치않고 계속 실수하는 가운데서도
집중력을 잃지않은 그의 투혼에 박수르 보내고 싶습니다.
전상욱 선수도 비록 4경기의 지나치게 안정적인 플레이는
아쉽지만 머 그것이 전상욱 선수의 스타일이라면 어쩔수 없는 것이겠지요.
역시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메디쿠
06/11/03 21:17
수정 아이콘
고기도 먹어본 사람이 더 잘먹는다고 ... 일단 우승자는 포스가 남다르네요.. 거기다가 가을의 후광까지..
제로벨은내ideal
06/11/03 21:18
수정 아이콘
쏘원 결승날 3,4경기 순식간에 잡히면서 눈물났습니다..5경기를 보고 다시 눈물이..
Bishop Ave.
06/11/03 21:18
수정 아이콘
오영종 선수와 임요환 선수는 결승전을 치뤘었어요..^^;;;
부들부들
06/11/03 21:18
수정 아이콘
전어토스라더니.. 크하하하

가을만 되면 날아다니는 오영종선수 정말 축하합니다!
어제 광통령은 좌절했는데;;
국무총리는 토스를 지켜냈네요. 흐흐
머씨껌으로아
06/11/03 21:19
수정 아이콘
오영종 선수 결승진출 축하하구요 열심히 싸운 전상욱 선수에게도 감사합니다. 온겜 이번에 결승 대박났네요.
그리고 중계글을 보다보니 선수개인의 스타일을 가지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많으신거 같은데 각자 스타일데로 겜을 하는것이니 그거 가지고 문제삼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두 분다 수고하셨습니다.
ilovePGR
06/11/03 21:19
수정 아이콘
에쓰오일배 스타리그에서 오영종선수는 4강에서 최연성,결승에서 임요환선수를 만났죠^^;
원더보이
06/11/03 21:19
수정 아이콘
제로벨은내ideal님처럼 저도 오영종 선수의 경기를 볼 때마다 감동을..
06/11/03 21:21
수정 아이콘
아니 어떻게 그 타이밍에 불독을...
정말 배짱이 대단하네요..
발컨저글링
06/11/03 21:24
수정 아이콘
우승 경험이 그래서 중요하다고 하는 것 같네요.
M.Laddder
06/11/03 21:26
수정 아이콘
오영종 선수는 정말 매번 드라마를 쓰네요. 아 재밌었습니다.
델마와루이스
06/11/03 21:28
수정 아이콘
소름이 돋았습니다. 마지막 경기 드라군들이 fd 막고 달릴때요. 혼자 보면서 "달려. 달려. 고고고고" 라고 미친듯이 외쳤죠. 결승에서도 한번더 눈물 흘릴 수 있게 해주세요. 영종선수.
06/11/03 21:33
수정 아이콘
3경기보고 정말 소름이 돋더군요..
아..윤열선수가 저런강한선수를 이길수있을까요..
윤열선수 금쥐타갑시다..ㅠ.ㅠ..
매트릭스
06/11/03 21:33
수정 아이콘
전상욱 선수의 빌드가 너무 전형적이었죠. fd.. 마지막 경기에서는 fd를 확신하고 입구를 드라군으로 막은 뒤 fd병력을 유인했죠. 입구에서 막으니 드라군이 컨트롤하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했고.. 더블하는 타이밍에 딱 뚫을 수 있는 빌드였죠. 사실 시즈모드가 약간 더 일찍 되었어도 셔틀에 질럿 두기에서 세기가 타는 타이밍에 테란은 토스병력을 막을 수가 없죠. 첫압박때 드라군 수를 줄여주지도 못했으니까요. 빌드가 아주 좋았네요. 더불어 전상욱 선수의 빌드가 너무 한정되어 있다 보니 .. 전상욱 선수 앞으로 더욱 발전된 모습 보여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네요.
06/11/03 21:35
수정 아이콘
3경기까지만 보고 테란이 진출도 안하고 토스만 달려들고 에잇 재미없어 하면서 4,5경기 재미없겠지 하면서 운동갔다왔는데..ㅠㅠ
오영종 선수가 이겼군요.가을의 전설 제대로 쓰네요.
이로서 온겜결승 대박났네요;;;
테테전 하면 안보러가야지 했는데..보러가야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7006 PS3가 발매되었습니다. [36] elecviva5332 06/11/12 5332 0
27005 예선현장의 열기를 느껴보고싶습니다. [12] 못된놈4182 06/11/12 4182 0
27004 스카이(우주배) 프로리그 후기리그. 스파키즈 VS 르까프 OZ 엔트리. [359] SKY926148 06/11/12 6148 0
27003 스타에서 개인 타이틀전이 있으면 어떨까요? [3] 푸른기억3979 06/11/12 3979 0
27002 심심할때마다 하는 스타관련 잡생각 -1- [10] 볼텍스4066 06/11/12 4066 0
27000 과연 마재윤의 경기는 재미없을까요? [64] 수염부5595 06/11/12 5595 0
26999 아연이 에게 희망을 [6] 공고리4316 06/11/12 4316 0
26998 임요환, 이윤열, 최연성, 마재윤 선수 전성기 시절 전적 정리! [79] 마르키아르10083 06/11/12 10083 0
26995 워3리그의 가능성을 엿보다 .. [23] 4350 06/11/12 4350 0
26994 이제는 "마재윤의 시대"인가요. [24] sugar5391 06/11/12 5391 0
26993 워크3 초짜의 이틀동안 게임 플레이 감상문.. [20] 영혼을위한술4884 06/11/12 4884 0
26992 카멜레온이 경기을 지배한다 [1] 그래서그대는4187 06/11/12 4187 0
26991 결승후기 [2] 천령4367 06/11/12 4367 0
26990 엠비시 게임 결승전을 지켜본 저로서는 나름대로 최선의 선택이었다고 봅니다. [10] 다주거써4428 06/11/12 4428 0
26989 마지막 파워 인터뷰 박찬호 선수편을 보았습니다. [5] 루크레티아4498 06/11/12 4498 0
26988 2007 팀단위 리그에 대한 제안. [7] 노리군4447 06/11/11 4447 0
26987 슈퍼파이트 후기 + 지스타2006 참관기 [12] hoho9na4182 06/11/11 4182 0
26986 반가운 얼굴. 강도경. [5] zephyrus4143 06/11/11 4143 0
26985 미스테리한 그녀는 스타크 고수 <서른세번째 이야기> [8] 창이♡3478 06/11/11 3478 0
26984 차기 MSL, 차기 시즌에도 저그가 강세일까요?? [27] 김광훈4455 06/11/11 4455 0
26983 기계는 다시 돌아간다. [10] swflying4094 06/11/11 4094 0
26982 최종보스 마재윤 [24] 5722 06/11/11 5722 0
26981 [응원글] 아직 당신의 시대는 끝나지 않았습니다 [11] 질러버리자4260 06/11/11 426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