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2/01/20 11:51:05
Name Leeka
Subject [일반] 서울 신규 임대차의 48.5%는 월세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1&oid=018&aid=0005130637

부동산 114에서 국토교통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1년 6월부터 11월까지의 '서울 신규 임대차계약' 의 경우 다음과 같은 비율이 나왔다고 합니다.


신규계약 건수 : 9만 8,958건
월세 신규계약 건수 : 4만 7,973건 (48.5%)
(같은 기간에 계약갱신청구권 or 재계약 건수는 3만 7,226건으로 신규계약의 1/3 정도 수준입니다.)

즉, 임대차3법에 권한이였던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한 사람이 아닌 '신규 계약을 한 사람의 절반'은 월세를 계약했다고 합니다.


덧붙이자면 계약갱신청구권&재계약 비율이 신규의 1/3.. 전체의 25% 수준이라는걸 고려하면
인터넷에 나온 사례들처럼.. 실제로는 임대차3법의 혜택인 계약갱신청구권을 써서 남은 사람은 적은것으로 보인다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울 굿맨
22/01/20 11:54
수정 아이콘
반전세를 전세로 친 건 아닌지... 생각보다 낮네요. 어쨌든 '전세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제도다. 전세 때문에 짒값 오른다.' 라던 분들이 원하는대로 가고 있네요.
바람생산공장
22/01/20 11:56
수정 아이콘
집값이 우상향이면 전세 놓는 사람이 많아지는거고, 집값이 횡보나 하향이면 월세 놓는 사람이 많아지는거고...
월세 비중이 생각보다 작은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앞으로는 월세 비중이 더 늘어날 거 같긴 해요.
설마 여기서 더 폭등하진 않겠....죠? 흐흐.
레저렉션
22/01/20 12:17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낮네요. 전세대출 이자가 월세보다 비싸졌다는 기사가 나오길래 신규계약의 경우는 대부분이 월세일거라 생각했는데 의외 입니다.
뒹굴뒹굴
22/01/20 12:25
수정 아이콘
작년 데이터라 그런것 아닐까요?
근데 진짜 전세가 너무 올라서..
서울은 전세 10억이 흔한데 이게 전세 대출 4% 계산하면 연 4천 월 300만이 넘는 월세라 크크크크
22/01/20 12:28
수정 아이콘
과거의 신규 임대차계약에서의 월세 비율이 궁금하네요.
오늘 뭐 먹지?
22/01/20 23:28
수정 아이콘
갱신은 거의 반전세로 하더군요..
22/01/21 11:20
수정 아이콘
전세값이 너무올라서 전세대출로도 커버가안되니 월세로가는 크크
분위기상 갱신권 쓰기도 쉽지않습니다. 집주인이 그냥 들어온다고 해버리니
melody1020
22/01/21 11:22
수정 아이콘
반전세는 전세로 취급하는지 월세로 취급하는지 궁금하네여
전세가가 많이 올라서 오른 전세금을 감당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오른 증가분에 대해서는 월세로 내는 경우도 많거든요.
조미운
22/01/21 14:06
수정 아이콘
제가 알기로 반전세도 월세로 분류됩니다. 전세 5억에 월세 30 이런식으로 재계약해도 월세로 잡힐거에요. 최근 급등한 전세 시세 상승분은 월세로 전환해 계약하는 케이스가 적지 않아 보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503 댓글잠금 [일반] 줄리의 묘사를 보면 안 믿기 힘들더군요 [139] 삭제됨19016 22/02/08 19016
5501 [일반] 이쯤에서 다시보는 BTS 신동근 사건 [144] LunaseA13640 22/02/08 13640
5500 [일반] 안철수 "집권시 이명박 형집행정지..특사는 국민 공론화로 결정" [49] Leeka9751 22/02/08 9751
5499 [일반] 차악론의 실패 [43] 구텐베르크8952 22/02/08 8952
5498 [일반] 선거게시판에 일반/불판 카테고리가 추가되었습니다 [3] jjohny=쿠마5430 22/02/08 5430
5497 [일반] 대중국 외교와 3불정책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93] 숨고르기9956 22/02/08 9956
5496 [일반] "더 이상 구조적인 성차별은 없다" [214] 먼귤19346 22/02/07 19346
5495 [일반] 오미크론이 심각합니다. 그러니 우리는 사전투표를 해야 합니다. [101] 42년모솔탈출한다15652 22/02/07 15652
5494 [일반] 이재명과 감원전 그리고 그린 택소노미. [52] 트루할러데이9732 22/02/07 9732
5493 [일반] 3일 토론 이후 여론조사 추이 [34] 올해는다르다11370 22/02/07 11370
5492 [일반] 8일로 예정되어있던 대선 후보 TV 토론회가 연기되었습니다. [111] 트루할러데이10049 22/02/06 10049
5491 [일반] 친여 성향의 PD가 정치권 항의로 하차했다고 하네요. [82] 時雨13297 22/02/06 13297
5487 [일반] 아무리 급해도 이건 너무한거 아닙니까 민주당 [194] 헤이즐넛커피24787 22/02/05 24787
5486 [일반] 이건 제도가 문제인걸까요 아님 사람이 문제인걸까요? [107] ann30916897 22/02/05 16897
5485 [일반] 대선후보 토론 팩트체크 방송 [39] 트루할러데이10346 22/02/04 10346
5484 [일반] 곽상도 구속 [33] 체크카드9260 22/02/04 9260
5483 [일반] RE100 공방…李 "모른다는 것 상상못해" 尹 "설명해주는게 예의" [97] Davi4ever9849 22/02/04 9849
5482 [일반] 별정직공무원, 그 중에서도 비서는 손을 좀 봐야 할 것 같아요 [63] rclay11753 22/02/04 11753
5481 [일반] 호남에서 윤석열 지지율 31%가 나왔습니다.(표본은 튀었습니다.) [52] 42년모솔탈출한다15695 22/02/04 15695
5480 [불판] [대선토론] 방송 3사 합동초청 2022 대선토론 (3) [471] 은하관제36227 22/02/03 36227
5479 [불판] [대선토론] 방송 3사 합동초청 2022 대선토론 (2) [317] 은하관제25771 22/02/03 25771
5478 [불판] [대선토론] 방송 3사 합동초청 2022 대선토론 (1) [346] 은하관제29574 22/02/03 29574
5477 [불판] [대선토론] 이재명, 김동연 양자토론 [41] 다빈치16829 22/02/02 168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