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0/04/10 19:20:19
Name SKT
File #1 11111111.jpg (413.0 KB), Download : 9
File #2 32222222222.jpg (329.3 KB), Download : 3
Link #1 https://imnews.imbc.com/replay/2020/nwdesk/article/5716700_32524.html
Subject [일반] MBC 최종 여론조사 - 與 국정안정론 vs 野 정권심판론.jpg




[MBC 여론조사]
조사기관 : (주)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
조사일시 : 2020년 4월 7일 ~ 8일(2일간)
조사대상 :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3명
조사방법 : 유무선 RDD 전화면접(유선 17%, 무선 83%)
피조사자 선정방법 : 성/연령/지역별로 피조사자를 할당
응답률 : 12.7% (유선 7.2%, 무선 15.1%)
가중치값 산출 및 적용 방법 :
지역별/성별/연령별 가중값 부여(셀가중, 2020년 2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
표본오차 : ±3.1%p (95% 신뢰수준)
질문내용 :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과연 민생당이나 우리공화당, 국가혁명당, 민중당 기독교당 등이 1석이상을 할지도 궁금하고
정의당, 열린민주당, 국민의당이 몇석 얻을지도 궁금하네요. 여태까지 대략적인 조사 추이를 보면
정의당 6~8석, 열린민주당5~6석, 국민의당3~4석 정도 예상이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비례표 까지 합산한 최종 총선 결과는 빠르면 4/16 저녁, 늦으면 4/17일쯤 발표된다고 하는데 결과가 빨리 나왔으면 좋겠네요.
지역구 경합지역 결과도 매우 궁금하지만 과연 연동형비례제가 첫 도입된 총선의 총 의석수는 어떻게 구성될것인지 정말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불타는펭귄
20/04/10 19:23
수정 아이콘
의외로 민생당이 비례표가 잘 나올 거 같습니다.
20/04/10 19:26
수정 아이콘
과연 의석수를 가져갈 수 있을지 다른당들도 몇석 가져갈지 다 궁금하네요.
초코타르트
20/04/10 19:23
수정 아이콘
연동형 비례제는 양대정당이 위성정당을 만듬으로써 사실상 사라졌습니다.
연동배분의석수 / 각 정당의 연동배분 의석수 합계
이걸로 비례의석수가 결정날테니요..
20/04/10 19:25
수정 아이콘
뭐 그런셈이죠. 21대 국회에서 선거법 다시 수정할 꺼라고 하던데 그때는 위성정당 못만들게 막으려나요.
솔로15년차
20/04/10 20:18
수정 아이콘
연동형제도를 제대로 실시하면 위성정당 자체가 필요가 없어서 굳이 그럴 필요도 없죠.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연동형비례제는 중대선거구제만큼이나 실행하기 어려워질거라고 봅니다.
솔로15년차
20/04/10 20:17
수정 아이콘
그냥 처음부터 생기지도 않았죠.
연동형맛추가 선거제도를 도입한 시점에서부터 망하는게 명확했습니다.
Janzisuka
20/04/10 19:26
수정 아이콘
코로나 대응...얼마나 엄격한 잣대인지 ㅠㅠ 더 잘해주면 감사하겠지만 만족하고있는 중이네요 타국 보면 더욱
닉네임을바꾸다
20/04/10 19:26
수정 아이콘
뭐 준연동형 비례제죠 클클...
사실 300석을 고정하고 지역구까지 고정한상태로 야매로 할려니 나오는게 이런거죠...
키리하
20/04/10 19:26
수정 아이콘
이재명이 이 시국을 잘 타긴 했네요.
20/04/10 19:34
수정 아이콘
황교안은 이재명한테까지 밀렸어? 크크크크
슬리미
20/04/10 19:35
수정 아이콘
투표율이 초반부터 불타오르는게 야당에 유리하다는 분석이 민주당 내에서도 나오는 것 같은데.. 불안합니다잉~
순실치킨
20/04/10 19:47
수정 아이콘
이건 엄살이죠 지지자들한테 너무 마음 놓지 말고 무조건 투표해라 라고 하는거죠
Sardaukar
20/04/10 19:57
수정 아이콘
몇십년전부터 투표율 올라가면 민주당계에 유리했죠
수메르인
20/04/10 19:59
수정 아이콘
그거 깨뜨리고 당선된게 박근혜예요. 당시도 투표율 높다고 분위기 좋다가 실은 그 투표율의 대부분이 노년 보수지지층이라 야당지지자들 맨붕했었죠.
캬옹쉬바나
20/04/10 20:02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그래서 20대 총선 때도 당시 야당 지지자들 다들 멘붕했었는데 결과는 으잉?
수메르인
20/04/10 20:06
수정 아이콘
그 전례 때문에 불안감이 없지 않네요 지금도. 물론 이번엔 정부가 마냥 실정만 한 것도 아니고, 임기 3년차에 떨어지던 지지율이 다시 상승하는 케이스 자체도 없다보니 좀 다를 것 같긴 합니다만.
20/04/10 21:31
수정 아이콘
그때는 이정희 역할이 매우 컸습니다. 그때 어르신들이 토론 하이라이트 뉴스에서 보고 진짜 깜짝놀랐다며 뭐? 박근혜 떨어뜨릴려고 나왔습니다? 진짜 어이가없네 박근혜를 지켜야된다 막 이러면서 진짜 어르신들 초초 대동단결이었습니다.
몸이 아파서 걷지도 못하시는 분들이 부축받으면서까지 이번에 박근혜는 무조건 찍어줘야된다며 기어서라도 나오던 대선이었죠. 그때랑 지금이랑은 상황이 많이 다릅니다.

전 현재 분위기가 지난 지방선거 같은 분위기네요. 그때도 투표율 엄청 높았고 직전 여론조사 추이도 좋았었죠. 뭐 방심은 금물이고 어떻게든 표가 더 모여야 된다고 생각하지만요.
그리움 그 뒤
20/04/10 21:53
수정 아이콘
평론가들, 여론조사 업체에서는 박근혜 대선 이후로 그 공식은 깨졌다고 인정하더군요.
20/04/10 20:27
수정 아이콘
이번 비례는 지역구 결과가 우선 결정되야 해서 더 오래걸리는거 겠죠??
강가딘
20/04/13 09:01
수정 아이콘
그것도 있지만 비례투표용지가 길어 계수기와 사이즈가 안맞아서 일일이 손으로 개표해야 한다고 하네요
뜨거운눈물
20/04/10 20:34
수정 아이콘
여론조사대로라면 미통당은 해체수준으로 망할듯하네요
20/04/10 20:36
수정 아이콘
안철수 4프로 충격

어쨋거나 대권후보 한번 하면 그 영향력이 참 오래가나봐요. 서울시장 떨어지고 은퇴각이다 싶었는데

그런의미에서 새삼 정동영은 진짜 못났다 싶네요
20/04/10 22:27
수정 아이콘
안철수는 진짜 토론회 나와서 MB아바탑니까? 이거 하나로 자기 정치인생을 망쳤죠...
불굴의토스
20/04/10 21:02
수정 아이콘
안철수 저 사진 각도 4년전 총선 개표방송 사진 그대로인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211962
공지 [일반] [공지]2025년 대선을 앞두고 선거게시판을 오픈합니다. [3] jjohny=쿠마 25/04/04 1654
공지 [일반] 선게에 단축키가 부여되었습니다. ( 8 키) [9] jjohny=쿠마 22/01/11 35859
6601 [일반] 정치공학적인거 말고 그냥 정책적으로 이재명을 지지하는 이유 [11] 환상회랑1530 25/05/04 1530
6599 [일반] 이재명 지지의 순간 [91] CV3788 25/05/04 3788
6598 [일반] 김문수 후보가 쉽게 단일화를 해 줄까요? [36] a-ha3144 25/05/03 3144
6597 [일반] 호남에서 인정받고는 싶은데 '광주 사태'라는 표현을 쓴 한덕수 [18] Davi4ever2715 25/05/03 2715
6596 [일반] 만에 하나 [43] 로켓2516 25/05/03 2516
6593 [일반] 문제있는 후보를 낸 것이 문제가 아니라 언론, 사법, 검찰이 문제를 만들어내온 것이 문제. [61] CaRaT2751 25/05/03 2751
6592 [일반]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확정…‘탄핵 반대파’가 이겼다 [85] Davi4ever6963 25/05/03 6963
6591 [일반] 대법판결 프레임이 6만페이지 열람으로 쏠리는 것에 대한 우려 [99] 마술의 결백증명5146 25/05/03 5146
6590 [일반] 무시무시한 각종 시나리오들, 대법원의 정치 관여가 불러온 혼돈 [21] 빼사스3136 25/05/03 3136
6588 [일반] 유례없는 사법 불신 해소를 위해 신속처리했다는 대법원 [162] 베라히6222 25/05/03 6222
6587 [일반] 대법원 선고에 법원 내부망에 실명 비판‥"정치 편향 비판 초래" [9] 철판닭갈비2776 25/05/03 2776
6586 [일반] 2번 찍던 내가 이재명을 지지하게 된 이유 [50] 좁쌀2955 25/05/03 2955
6585 [일반] 절차적 정당성을 따진다 [42] 목표시기면역전략3264 25/05/02 3264
6584 [일반] 절차가 위법하면 결과는 무의미합니다 [50] v.Serum3716 25/05/02 3716
6583 [일반] 계엄일 만큼이나 불안하네요. [20] 포스2901 25/05/02 2901
6582 [일반] 에너지를 해소 못 하면 그건 업이 됩니다. [14] 빼사스2321 25/05/02 2321
6581 [일반] 5월에 광주에 내려간 한덕수 [19] Croove2725 25/05/02 2725
6580 [일반] 고법, 이재명 피고인 소환장 발송…집행관송달 촉탁 [67] 십자포화5451 25/05/02 5451
6578 [일반] 백현동 허위사실공표 유죄는 과도한 법적용입니다 [15] 사부작2231 25/05/02 2231
6577 [일반] 이재명 재판, 서보학 교수 "상고기간 27일 확보는 대법원이 파놓은 함정" [66] 코로나시즌5330 25/05/02 53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