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7/07/17 15:45:02
Name galaxy
File #1 1.png (92.3 KB), Download : 32
Link #1 http://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commu07&wr_id=2123076
Subject [스포츠] 오늘 US 여자 오픈 챔피언쉽 최종 순위.


장소는 트럼프 내셔널 골프 클럽.
트럼프 대통령도 왔었는데 US 오픈을 코리아 오픈으로 만들어버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7/17 15:50
수정 아이콘
박성현 드디어 우승하네요!!
3라운드때 펑샨샨이 1위하고 있을때 역전 할수 있을거 같다라는 느낌이 왔습니다.
오마이걸팬입니다
17/07/17 15:53
수정 아이콘
KLPGA
덕베군
17/07/17 15:59
수정 아이콘
펑샨샨이 참 안정적인 선수인데 그렇게 무너지는건 또 첨봤네요
박성현은 안그래도 신인상 포인트가 압도적인데 사실상 확정이네요
작년 전인지 선수가 우승할땐 8억인덴데 올해는 10억 넘네요 덜덜
지지난해 김세영은 신인상은 물론 로열오더가 될뻔했고
작년 신인상 전인지 선수도 us오픈 메이저 우승이고
이제는17살 아마선수가 우승을 넘보다니 한국은 정말 괴물들의 나라같네요
최혜진 선수가 아마라 7억가까이 되는 상금을 못가져 가는데 다행히 우리나라 선수한테 갔네요
오랜만에 재미있는 메이저 경기봐서 즐거웠습니다 ^^
김연아
17/07/17 16:51
수정 아이콘
전인지의 US open 우승은 재작년입니다.
아직 LPGA 입회 전 KLPGA 투어 휩쓸던 시절에 US open에서도 우승한 거죠.
이 해 신인왕이 글에 쓰신대로 김세영입니다.

전인지는 작년에 에비앙 우승하고 신인상 탔습니다. 에비앙도 메이저죠.
올 시즌 전인지는 준우승만 4번한 콩라인이라는....ㅠㅠ
덕베군
17/07/17 17:16
수정 아이콘
신인상받기전에 이미 메이저 우승 경력이 있다는 말이었는데
지금보니 오해의 소지가 있네요 크크
이게 콩라인이라면 이건 완전 황금 콩이겠네요
많은 선수들이 평생 메이저는 물론이고 그냥 일반 경기 우승한번 하는것도 어렵죠
시간다 선수 경력이 얼만데 이번에 메이저 최고등수 찍었다능 ..ㅜㅜ
강가딘
17/07/17 16:02
수정 아이콘
한국여자오픈인줄....
수타군
17/07/17 16:10
수정 아이콘
이래서 외국에서 여자 대회가 남자 대회보다 인기가 없다던데 사실인가요? 동양인들 판이라?
17/07/17 16:25
수정 아이콘
영향이 없지는않겠지만 원래도 남녀대회 인기차이는 있었어요. 사실 남녀대회가 따로있는 스포츠에서 여자대회가 더 인기있는경우 자체가 드물기도 하죠.
수타군
17/07/17 16:52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스폰도 차이가 난다는 이야기도 들어서 그래서 세계적인 대회에서 활약하면 좋은거겠죠. 답변 감사합니다.
17/07/17 17:00
수정 아이콘
차이 엄청나죠. 미쉘위선수가 남자대회출전하고 컷오프탈락만 반복할때 수입이 여자대회 나갈때보다 높았다는 얘기가 있을정도니까요.
그룬가스트! 참!
17/07/17 16:52
수정 아이콘
사실 90년대 후반 세리 누님이 들어오기 전에는 전통의 강자들이 버티고 있었던 상황인데, 그 전통의 강자들이 하나둘 씩 은퇴하기 시작하니깐 서양 여자 골프계는 답이 없어졌죠.
특히 소렌스탐 누님이 은퇴하시고 나서부터는 미국 여자 골프계는 박살났다고 봐도 무방.
김연아
17/07/17 17:06
수정 아이콘
소렌스탐 누님은 스웨덴 출신이십니다. 여자골프는 랭킹 산정 자체를 굉장히 늦게 시작했긴 했지만, 어쨌거나 소렌스탐 은퇴랑 미국 여자 골프계 박살은 별로 상관이 없습니다. 소렌스탐 휩쓸 때도 당시 3강이 소렘스탐 - 캐리 웹 - 박세리 였는데, 다 비미국인이죠. 소렌스탐 이후 최강 역시 로레나 오초아로 멕시코 출신이고, 그 담에 크리스티 커, 신지애, 미야자토 등이 투닥거리다가 청야니 시대가 도래했고 그 다음이 박인비시대가 열리고 이 때부턴 진짜 한국을 필두로 한 아시아 시대가 열리죠. 박세리 이후로 한국 선수들이 전반적으로 상위권에 몰려 있었다지만 물량공세의 느낌이 강했고, 미국 선수들도 꽤나 상위권에 많이 활약했었죠.

뭐랄까 그냥 LPGA 자체가 미국에서 그닥 인기가 없습니다. 소렌스탐을 기준으로 하기 보다는, 청야니 시대부터 조짐을 보이다가, 박인비 시대 부근을 기점으로 LPGA의 헤게모니가 한국을 필두로 한 아시아권에게 완전히 넘어갔다고 보는게 맞아요.
덕베군
17/07/17 17:18
수정 아이콘
그냥 미쉘위가 년에 우승 한 두번하고 컷옵없이 계속 얼굴만 비쳐도 시청률은 올라갈껍니다
실제로 그랬구요
루이스가 성격이 좀 모나긴 했어도 작년같이 미국선수 달랑 2승하는 수모도격는
천조국에서 박인비한테서 올해의 선수상도 뺏어 오고 했었는데 미쉘위한테 턱도 없었죠
루이스 잘나갈때그 불같은 성질에도 미쉘위 성적이 잘나와야 흥행한다고 말했을 정도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90 [스포츠] 비디오판독센터 오심이 계속 발생하는 이유 [12] 키르5315 17/07/21 5315 0
9589 [스포츠] 대한민국 역대 최고더위라는 94년 날씨로 알아보는 이종범의 위엄.jpg [19] 살인자들의섬8239 17/07/21 8239 0
9587 [스포츠] KBO, '홈런 오독' 김호인 센터장에 10일 출장 정지 [43] Xeri5622 17/07/21 5622 0
9582 [스포츠] 미국 투어 프리시즌 맨유 vs 맨시티 골장면.gif [19] 낭천5216 17/07/21 5216 0
9580 [스포츠] [해외축구] 바르셀로나의 쿠티뉴 72M파운드 거절, 그외 [19] V.serum3989 17/07/21 3989 0
9579 [스포츠] 스트존 기계 판독 도입이 어려운 이유 [41] 톰가죽침대5587 17/07/21 5587 0
9576 [스포츠] 어제 기아팬들 일제히 팬티에 지린 순간.jpg [12] 삭제됨5245 17/07/21 5245 0
9572 [스포츠] [KBL] 1718 외국인선수 드래프트 결과 [13] ll Apink ll2958 17/07/21 2958 0
9565 [스포츠] 현재 네이마르 파리행에 관해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것들[추가] [37] 가이다이5910 17/07/21 5910 0
9560 [스포츠] 신빙성 보장 못하지만 흥미로운 2015년 잠실야구장 광고 단가 [8] 어리버리4550 17/07/20 4550 0
9558 [스포츠] 도둑맞은 홈런, 도둑맞은 승리 [32] VKRKO6399 17/07/20 6399 0
9557 [스포츠] [MLB] 최지만 DFA [6] 김치찌개3133 17/07/20 3133 0
9556 [스포츠] 날밤새서 술먹고 야구해도 욕안먹음.jpg [43] 살인자들의섬7574 17/07/20 7574 0
9551 [스포츠] 뺨 후려치고.. 발로 머리 차고.. 대학 야구감독의 무자비한 폭행 [17] tannenbaum5931 17/07/20 5931 0
9548 [스포츠] [KBO] 내맘대로 프로야구 新꽃미남 특집. [41] tannenbaum5477 17/07/20 5477 0
9544 [스포츠] [KBO]전설의 One season? No,one day. 경기 [28] 삭제됨4274 17/07/20 4274 0
9540 [스포츠] 당연히 오른쪽이 볼 이겠죠? [77] 박민하6181 17/07/20 6181 0
9535 [스포츠] [거피셜] 알바로 모라타 첼시행 던딜 [55] 미나사나모모5410 17/07/20 5410 0
9534 [스포츠] 넥센 기아전 프리스틴 나영 로아 시구시타 [11] 삭제됨3281 17/07/19 3281 0
9533 [스포츠] [해축] 93분 두들겨맞다가 한방.gfy [9] 손금불산입5221 17/07/19 5221 0
9532 [스포츠] 오늘자 조나탄 골 영상 [8] Korea_Republic3844 17/07/19 3844 0
9524 [스포츠] [MLB] 드디어 집에 간다 ㅠㅠ [9] SKY925788 17/07/19 5788 0
9521 [스포츠] [MLB] 오늘자 성사된 트레이드 2건 [8] SKY924693 17/07/19 469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