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4/12/04 19:32:23
Name Davi4ever
Link #1 네이버
Subject [스포츠] [KBO] ABS 스트라이크존, 내년에 약간 낮아진다...피치클락 시간 확정 (수정됨)
ABS 스트라이크존, 내년에 약간 낮아진다...피치클락 시간 확정
https://m.sports.naver.com/kbaseball/article/018/0005899117


내년 시즌 ABS 스트라이크존과 피치클락 시간에 대한 내용이 공개됐습니다.

ABS 스트라이크존은 선수단 설문조사 등의 의견을 청취한 결과
기존 스트라이크존보다 ABS 존이 높게 형성됐던 부분을 반영,
타자의 신장에 비례해 상단 56.35%, 하단 27.64%에서 상단 55.75%, 하단 27.04%로 조정한다고 합니다.
(존의 크기는 동일한데 올해보다 약간 낮게 조정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피치클락은 타석 간 간격 33초, 투수의 투구 간격은 주자 없을 시 20초, 주자 있을 시 25초로 확정했고
타석당 타자의 타임아웃 횟수는 2회까지 허용됩니다.
처음 도입되는 만큼 다른 리그들과 비교했을 때 너무 타이트하게 시간을 잡진 않은 듯 하네요.

그 외에 이닝 교대 시간, 투수 교체 시간, 체크스윙 비디오판독, 1루 스리피트 규칙 등에 대한 내용도 나왔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12/04 19:39
수정 아이콘
예전에 협의할때 불만인 선수들 안나타나서 짜증나긴 하지만 그래도 KBO 소통하는 모습은 보기좋네요
김유라
24/12/04 19:52
수정 아이콘
이 정도면 KBO는 할 일을 다 했죠 크크크
이래도 꿍얼대면 진짜 허구연한테 머리 한 대 세게 맞아도 할 말 없음...
TWICE NC
24/12/04 19:58
수정 아이콘
피치클락은 올해보다 1~3초 늘려 적용하네요
24/12/04 20:15
수정 아이콘
카디네스 기대해보겠다
Zakk WyldE
24/12/04 20:29
수정 아이콘
나성범 기대해보겠다.
클로우해머
24/12/04 20:38
수정 아이콘
높은공이 너무 후한 판정이기는 했어요.

꾸준히 의견듣고 개선하며 보완하는 모습 좋네요.

피치클락 시간도 저정도면 투수에게 과하게 부담가지 않을 것 같고..

공 반발계수만 좀 조정하면 될 듯... 올해 홈런이 너무 많았어요.
24/12/04 20:58
수정 아이콘
다른 기사 보니까 180cm 타자 기준 스트라이크존 상하단을 1cm 낮춘다고 보면 된다 하네요. 1cm가 어떤 변화를 불러 일으킬진 모르겠지만, 그리 아시면 될 거 같습니다.
비맞은 비익조
24/12/04 21:01
수정 아이콘
꼭지점 부근도 좀 깎았으면 했는데 아쉽네요
그런거없어
24/12/04 21:25
수정 아이콘
이미 타고라 여기서 더 깎으면 투수들 죽어나죠.
투수도 숨쉴 구멍을 줘야 합니다
24/12/04 22:53
수정 아이콘
궁금한 게 직사각형이 아니라 꼭지점 부근을 깎는 게 기술적으로 가능한가요?
24/12/05 23:29
수정 아이콘
존은 그렇게 설정도 가능하겠죠.
사람이 그렇게 던질 수 있냐가 문제지

ABS 존 도입이전 눈으로 판단하던 시절에는
꼭지점이 조금 들어가고 상하좌우 각각 가운데 부분은 더 잡아주는 경향이 있긴 했어요.
VictoryFood
24/12/04 23:18
수정 아이콘
투수가 꼭지점에 넣었으면 타자가 못쳐야 하는게 맞죠.
약설가
24/12/04 21:07
수정 아이콘
ABS와 더불어 반드시 공 반발력도 손대야 투수들이 안 죽어나겠죠
피노시
24/12/04 21:30
수정 아이콘
기자가 취재한 바로는 kbo에서 반발력이 높은공을 쓰자 해서 쓰는게 아니라 공제조사 문제로 반발력이 일정하지 않은 모양이랍니다. 반발력 높은공 낮은공이 섞여 있데요 사실상 랜덤가챠 상태인건데 해결을 하긴 해야죠
약설가
24/12/04 21:59
수정 아이콘
mlb가 가장 낮고 kbo와 npb가 동일한 걸로 알고 있는데 아예 기준 반발계수 자체를 낮춰야 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대체로 일정한 제품을 사용하는 거 역시 해결되어야 하겠구요.
피노시
24/12/04 22:02
수정 아이콘
Mlb나 Npb가 투고타저인거보면 낮춰야 하는지는 모르겠네요 리그가 너무 투고타저가되도 별로 좋지않다고 생각해서 그냥 고지된 계수만 똑바로 지켜도 되지 않을까요?
약설가
24/12/04 22:20
수정 아이콘
상대적으로 kbo는 타자 기량에 비해 투수 기량이 낮다고 생각하고, ABS 존 조정도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투수 쪽에 유리한 방향이 필요한 듯 해서 그렇습니다. 갈수록 경기 시간을 줄이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기도 하구요.
24/12/05 22:21
수정 아이콘
타고투저면 여름에 투수들 다 죽어납니다. 강제혹사로 한국투수들 다 망가짐
24/12/04 21:18
수정 아이콘
좌우를 건드려야 맞지 싶은데
임작가
24/12/04 21:21
수정 아이콘
구장마다 존이 다른게 선수들 제일 큰 불만 아녔나요? 그 내용은 없나보네요
한가인
24/12/04 21:43
수정 아이콘
선수들에게 불만 있으면 만나서 애기해보자고 kbo에서 제안했는데 선수들이 아무도 안 나왔다죠
24/12/04 21:51
수정 아이콘
크보에서 조사한 바로는 구장별로 존 차이가 거의 없었다고 합니다
평균 4mm, 최대 6점 몇미리라서 이정도 편차면 체감이 불가능한 수준이라서
개념은?
24/12/05 08:52
수정 아이콘
내가 그렇게 느낌 말고는 아무런 증거가 없었죠. ABS 관련 불만중에 가장 추한 변명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카스가 아유무
24/12/05 00:19
수정 아이콘
ABS 적용되고 야구 보는게 꽤나 쾌적했었지만, 체크 스윙이 눈에 가시였는데 이것도 비판 진행하네요. 너무 좋아요.
마작에진심인남자
24/12/05 02:12
수정 아이콘
ABS 는 적응하니 너무 좋은 시스템.. 스트레스가 하나 줄어듦
이른취침
24/12/05 06:47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오류가 좀 있더라도 사람과는 비교불가 수준이고
사람에게 가던 원망이 기계에겐 그냥 운 정도로 받아들여지니까요.
경기시간도 짧아진 것 같고요.
24/12/05 08:37
수정 아이콘
222
QuickSohee
24/12/05 12:23
수정 아이콘
아오 깡통! 하고 말죠 크크크크
24/12/05 03:29
수정 아이콘
피치클락은 너무 보수적으로 적용하는거 같네요. 이건 좀 아쉽습니다.
Liberalist
24/12/05 10:37
수정 아이콘
피치클락이 장점이 워낙 우월하기는 하지만, 반면에 투수 갈갈의 한 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없지는 않아서(믈브 세이버쟁이들 사이에서도 아직 피치클락과 투수 부상관 상관관계가 명확하게 확인되지는 않았습니다) 이 정도면 만족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6456 [스포츠] [해축] 어쨌든 이겼으면 장땡.mp4 [7] 손금불산입7403 24/12/28 7403 0
86455 [연예] 오징어게임의 위엄 [20] 아롱이다롱이12130 24/12/28 12130 0
86454 [연예] 올리비아 핫세, 73세의 나이로 별세 [16] EnergyFlow9341 24/12/28 9341 0
86453 [연예] 2번 불발 고윤정 ‘슬전생', 드디어 의료파업 딛고 내년 편성 [종합] [34] 강가딘10360 24/12/28 10360 0
86452 [스포츠] [NBA]새크라멘토킹스 마이크브라운 감독 경질 [20] Mamba5207 24/12/28 5207 0
86451 [스포츠] [MLB]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다저스 3년 재계약 [3] 코라이돈4991 24/12/28 4991 0
86450 [연예] 오겜2 개인적 아쉬운점 (약스포) [10] 월터화이트5539 24/12/28 5539 0
86449 [연예] 경찰, ‘부실복무 논란’ 가수 송민호 근무기관 압수수색 [52] 유료도로당13888 24/12/27 13888 0
86448 [연예] 로켓펀치 멤버 4명, 울림과 계약 종료 [27] Davi4ever8840 24/12/27 8840 0
86447 [연예] (채 빼고) 오랜만에 한자리에 모인 혜미리예채파 [7] Davi4ever7603 24/12/27 7603 0
86446 [연예]  (스포) 피의게임 11화 감상 [141] 사이퍼9714 24/12/27 9714 0
86445 [연예] "오징어 게임" 시즌 2의 평가가 좋지만은 않은 것 같네요 [76] a-ha12954 24/12/27 12954 0
86444 [연예] 유아인 63억 단독 주택 새 주인은 ‘7세 어린이’…심지어 전액 현금 매수 [32] SAS Tony Parker 11021 24/12/27 11021 0
86443 [스포츠] [해축] 올해 크리스마스 선물은 리그 1위.mp4 [15] 손금불산입6346 24/12/27 6346 0
86442 [스포츠] [해축] 11월 이후로 진 적이 없는 첼시.mp4 [9] 손금불산입5115 24/12/27 5115 0
86441 [스포츠] [해축] 맨시티가 이번에는 이겼나요.mp4 [15] 손금불산입5960 24/12/27 5960 0
86440 [스포츠] [해축] ??? : 나를 경질한 토트넘을 부순다.mp4 [10] 손금불산입6377 24/12/27 6377 0
86439 [스포츠] [해축] 황희찬 맨유 상대 시즌 1호골.mp4 [16] 손금불산입5891 24/12/27 5891 0
86438 [연예] [아이유] 첫 음절만 듣고 노래부르기 게임.twt [2] VictoryFood5172 24/12/27 5172 0
86437 [기타] 오징어 게임2 스포일러 가득한 짧은 정주행 후기 [45] 한이연6903 24/12/27 6903 0
86436 [연예] 오징어 게임2, 도파민 과다 주입 후 쓰는 후기! (스포일러 소량 ) [14] 두부빵7085 24/12/27 7085 0
86435 [연예] [NFL 하프타임쇼] 역시 비욘세는 비욘세다 [5] 인사이더5895 24/12/26 5895 0
86434 [연예] [스포진짜 없음] 오징어게임 시즌2 시청 중간소감 [63] 풍경14878 24/12/26 1487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