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4/11/03 08:09:46
Name a-ha
File #1 미국판_오징어_게임.jpg (177.5 KB), Download : 776
Link #1 인터넷
Subject [연예] 미국판 오징어 게임 제작 관련한 소문


미국판 오징어 게임이 제작되고 데이비드 핀처가 감독을 맡을 거라는 소문이 있다고 합니다. 네플릭스에서 공식적으로 확인해 준 내용은 아니고 그런 말이 현지에서 돌고 있다고 하는데 제 생각일뿐이지만 [오징어 게임 2]의 흥행여부가 미국판 오징어 게임 제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할수있습니다
24/11/03 08:27
수정 아이콘
세계각국에서 개최되고있다는 떡밥이 있어서 로컬적이나 글로벌판으로 이야기 풀어가기에는 나쁘지않을겁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4/11/03 08:45
수정 아이콘
각 나라 오징어게임 우승자들이 모여서 징드컵 열어보는 것도 괜찮을 거 같은데영 크크
24/11/03 09:07
수정 아이콘
데이빗 핀처가 만들면 원작 쌈싸먹을거같은데 기대되네요
샤르미에티미
24/11/03 09:28
수정 아이콘
막상 헐리우드 유명 감독들도 드라마 만들었을 때 오징어게임의 반이라도 흥행한 작품이 거의 없죠. 전문 드라마 제작진 다수가 참여해서 만들거나 원작이 대흥행한 작품이거나 해서 흥행한 작품이 대부분입니다. 이 경우에는 대흥행한 원작이 있으니 좋은 감독이 붙으면 일정 퀄리티와 재미는 보장되겠지만 오리지널보다 흥행할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다만 이러나 저러나 다른 국가 버전도 꽤 재미있을 듯하네요.
24/11/03 09:28
수정 아이콘
요즘 행보를 보면, 관여한다 하더라도 제작총괄로 프로덕션에만 참여하거나 파일럿 혹은 첫번째 에피소드만 연출할 가능성이 크겠네요.
사이먼도미닉
24/11/03 10:09
수정 아이콘
마지막에 전세계 우승자들이 모여서 하는 그랜드파이널로 유종애미를 거두는 시나리오로 갑시다
24/11/04 08:22
수정 아이콘
와우 누구 엄마인가요?
후루꾸
24/11/03 10:20
수정 아이콘
이게 루머였군요? 오피셜로 잘못 알고 있었네요
쵸젠뇽밍
24/11/03 10:33
수정 아이콘
이렇게 되면 미국만 제작할 게 아니라 차라리 동시에 여러 나라에서 제작해보는 것도.
24/11/03 12:49
수정 아이콘
실제 왜 아직도 안나오는거지 싶긴 하죠..
오겜2 이후로 좀 글로벌판 좀 나왔으면..
독서상품권
24/11/03 14:23
수정 아이콘
그냥 루머 같은데... 한국에서 브레이킹 배드 리메이크할거라는 소식이 나왔던 것도 지금은 사실상 없던일로 취급되는 마당에...
24/11/03 14:37
수정 아이콘
다른 나라 얘들 놀이도 재밌을거같은데
코기토
24/11/03 15:09
수정 아이콘
오겜을 보면서 느꼈던 것 중 하나는 오겜의 오리지널리티를 가지고 있는 카이지를 비롯한 기타 일본 만화들이
이미 서구권에도 소개되었을텐데 그동안 왜 미국에서 영화나 드라마로 제작되어 주목할만한 성과를 낸 케이스가 없을까 의아하긴 하더군요.
배틀로얄류의 작품은 꽤 있었지만 사실 시간 때우기용 액션활극이 대다수였고 주인공의 심리묘사나 내적 고뇌, 타참가자들의 사연이나 그들과의 갈등을
정면으로 마주한 작품은 없었던 것 같아요.
혹시라도 데이빗 핀처가 나선다면 뭔가 근사한 걸 뽑아내지 않을까 기대감은 드네요.
24/11/03 15:58
수정 아이콘
오겜의 오리지널리티가 일본 만화라는 전제부터가 이상하니 결론이 안나오죠.
코기토
24/11/03 18:30
수정 아이콘
원조가 카이지나 라이어게임류의 일본만화가 아니고 다른데 있다는 근거를 대면 받아들일 수 있어요.
근데 다짜고짜 아무 설명도 없이 니 의견은 전제가 잘못됐어 그러니 결론이 이상해 라고 하는건 뭐하자는건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뭔가 잘못생각하고 있는거 같은데 그 원조가 일본만화건 아니건 그건 상관이 없어요.
제 말은...이미 잘 알려진 익숙한 구조가 있는데 그걸 밀도있게 버무려낸 작품을 못봤다는거니까요.
과문해서 그런 작품을 모를 수 있으니 그걸 알려주면 고맙게 보겠습니다.
뭐 오겜의 기본 골격이 자체 독창성을 가지고 있다는 신념을 갖고 있다면 할 수 없구요.
24/11/04 15:08
수정 아이콘
사조참치
24/11/03 18:36
수정 아이콘
위 댓글의 반론도 그렇고, 오리지널리티의 개념에 대해 사람들이 생각하거나 정의하는 게 서로 다를 것 같습니다.
말씀하시는 오리지널리티가 단순히 '데스게임 룰을 토대로 한다'는 것이라면 일본만화가 아니라 서구권의 20세기 초중반 소설들(위키 등에 나오더군요)이 원조가 되어야겠죠. 개인적으로 기억나는 서구권 최근작은 헝거 게임 같은 게 있는데, 이것도 1960년대 소설과 연결되어 있다던데...
사실 말씀하신 내용 속에 답이 있는 것 같습니다. 심리묘사, 내적 고뇌, 상호 갈등 등을 데스게임 상황에서 정면으로 마주하는 것 자체가 흥행 요인이자 오겜의 오리지널리티인 셈이 아닐지...
RapidSilver
24/11/03 21:55
수정 아이콘
전 카이지를 오징어게임을 보고 나서 봤는데
솔직히 비슷하긴 하더라구요 크크 부정을 못하겠음
24/11/04 02: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메이즈러너라던지 이미 서구권에서도 흔해빠진 설정이라서..
이미 해당 장르자체는 성공한 장르 같은데요.
단일 작품 자체로 오겜정도 만든 작품도 없나보죠~
그렇군요
24/11/04 12:55
수정 아이콘
그런데 오징어게임이 셀 수도없이 많은 사람들이 자살하는 한국 현실 그 자체인지라... 절대 안보는 것이지요.
절대 국뽕찰 일이 아니라고 저는 생각................'한국인이니까 가능한, 한국에서만 제작할 수 있는 소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5973 [스포츠] [MLB] 2024 MVP AL 애런 저지 NL 오타니 쇼헤이 [33] kapH6607 24/11/22 6607 0
85971 [스포츠] 라스트 댄스를 보면서 드는 생각 중의 하나가 제리 크라우스 단장이 생각보다 대단하긴 하구나라는 생각도 듭니다. [18] petrus8009 24/11/21 8009 0
85970 [스포츠] KBO 추억의 외국인 선수 라이언가코와 스캇프록터 근황 [9] 비타에듀6826 24/11/21 6826 0
85969 [연예] 열 살 누나를 게스트로 맞이한 덱스 [11] Davi4ever10309 24/11/21 10309 0
85968 [연예] [QWER] FC온라인 OST 'Halftime' M/V [7] Davi4ever4910 24/11/21 4910 0
85967 [스포츠] [해축] 안 좋은 쪽으로 전설이 되어가고 있는 첼시의 리스 제임스 [11] Davi4ever6092 24/11/21 6092 0
85966 [스포츠] [KBO] 도입 확정적이라는 2026 아시아쿼터제 [34] 손금불산입10552 24/11/21 10552 0
85965 [연예] 김구라 과거 생각해 보면 시대 잘 만난 탈덕수용소 같은 느낌이기도 하죠. [51] petrus10088 24/11/21 10088 0
85964 [스포츠] 스포츠윤리센터 '홍명보 감독, 2위 득표자였다' [24] 빼사스7975 24/11/21 7975 0
85963 [스포츠] 로드리가 말하는 호날두 vs 메시 [16] EnergyFlow6731 24/11/21 6731 0
85962 [연예] 드라마 "무빙" 시즌2 공식확정 [36] 아롱이다롱이8360 24/11/21 8360 0
85961 [스포츠] [K리그] 2023 K리그 각 구단별 운영비 [26] TheZone8205 24/11/21 8205 0
85960 [기타] CGV 평택 1주년 이벤트 [4] SAS Tony Parker 4623 24/11/21 4623 0
85959 [스포츠] 단독: 황재균-지연 이혼 확정 [12] SAS Tony Parker 10446 24/11/21 10446 0
85958 [연예] 현재 불펜에서 실시간 타오르고 있는 VS [96] 럭키비키잖앙12519 24/11/21 12519 0
85957 [스포츠] [K리그] 화성FC, 내년부터 K리그2 참가한다...초대 감독에 차두리 '유력' [30] 及時雨6568 24/11/21 6568 0
85956 [스포츠] 이영표가 평가한 홍명보호 [35] 전기쥐9465 24/11/21 9465 0
85955 [스포츠] [MLB] 2024 사이 영 위너 NL 크리스 세일 AL 타릭 스쿠발 [17] kapH5281 24/11/21 5281 0
85954 [연예] 김원희 누님 리즈시절 [26] Croove6985 24/11/20 6985 0
85953 [연예] 디플 행사라 디즈니공주님 한번 노려봤다는 배우 박보영 [21] VictoryFood10484 24/11/21 10484 0
85952 [연예] 다비치 '그걸 사랑이라고 말하지마' M/V [6] Davi4ever5421 24/11/20 5421 0
85951 [연예] [트와이스] 나연 '저 너머로' (모아나2 OST 한국어 버전) M/V [6] Davi4ever4514 24/11/20 4514 0
85950 [스포츠] [NBA] 15연승 중인 클리블랜드 VS 보스턴 [11] 그10번6424 24/11/20 642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