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0/10/10 12:44:22
Name 아라가키유이
Link #1
Subject [스포츠] [NBA] 마이애미 히트 5차전 승리 시리즈 2승3패 (수정됨)

역대급 쇼다운 버틀러 vs 르브론..
버틀러는 47분가까이 뛰면서
35 13 12라는 파이널 두 번째 트리플더블을 기록했고
르브론은 40 13 7 그리고 제리웨스트의 파이널 1,500점 기록을
넘었네요. 오늘 르브론이 이겼으면 고트논쟁 여기저기서 타올랐을텐데 ..

갈매기 르브론 둘 다 터지고 지는 경기도 거의 못 본거같네요.
모리스의 마지막 턴오버로 6차전 갑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리듬파워근성
20/10/10 12:45
수정 아이콘
마지막 턴오버는 모리스입니다.
하아 그린...
20/10/10 12:45
수정 아이콘
갈매기 발목 부상 여하에 따라 시리즈 예측이 안되네요.
갈매기 빠지면 레이커스가 미끄러지는 그림이 나올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올해 버틀러가 마이애미 우승시키면 오랜만에 나오는 원맨옵션 우승일 듯...
도도갓
20/10/10 12:45
수정 아이콘
오늘은 지미 버틀러 아니고 지미 조던입니다 크크크

진짜 멋있어요 버틀러
된장찌개
20/10/10 12:46
수정 아이콘
하... 그린아..............................................................
오늘 이겼으면 릅 파엠 깔끔하게 받고 끝일텐데..
화성거주민
20/10/10 12:52
수정 아이콘
르브론이 기똥차게 빼준거였죠. 꼰대신의 모습을 또 보고 싶어서 히트 응원하면서 봤지만 르브론도 진짜 대단하다 덜덜 거리면서 봤는데...

골밑에 수비 4명 모아놓고 노마크 수준으로 빼준걸 3점 팅! 해버리네요. 대니 그린은 오늘 트위터 닫아야 할듯요.
20/10/10 12:46
수정 아이콘
엄청난 경기였습니다.
PolarBear
20/10/10 12:47
수정 아이콘
AD가.. 괜찮을지 모르겠네요.. 마지막에 빼고 넣을만한 선수가 없지는 않았을것 같은데...
와신상담
20/10/10 12: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미친 강심장입니다. 보면서 소름이 몇번 돋았는지 모르겠어요. 이제 제 머리속에 클러치의 왕은 지미 버틀러에요. 사실상풀타임으로 경기 뛰는데 메인 볼핸들러고 ad랑 르브론 매치업 하면서 자유투 100퍼센트 트리플 더블 하는 쓰면서도 말이 안돼는 짓을 했습니다. 조던의 재림입니다. 진짜 혼자 영화 만들고 있어요. 안 찾아봐도 알겠어요 이번 파이널 플레이타임 제일 많은게 버틀러에요. 근데 저렇게 합니다. 그냥 정신력이 육체의 한계를 넘어서 지배하고있어요
MyBloodyMary
20/10/10 12:48
수정 아이콘
그린이 못 넣는거야 그럴수 있는데 jr 모리스...
아라가키유이
20/10/10 12:48
수정 아이콘
47분도 넘었군요. 진짜 프로게이머 이재호 보는거같아요 묵묵하게 자기할거 다 하는 ..
20/10/10 12:48
수정 아이콘
모리스 시간도 많았는데 대체 왜 그런거야..
마스터카드
20/10/10 12:51
수정 아이콘
르브론도 멋있었고 ad도 투혼 멋있었습니다
근데 버틀러가 진짜 대박이긴 하네요..
슈퍼팀 결성도 안해.. 비지니스처럼 농구하는것도 아니고
오늘 50초도 안쉬고 뛰었다던데.. 그 열정이 정말 감동적이더군요..
20/10/10 12: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오늘 르브론이 이겼어도 고트 논쟁은 안 타오르죠; 느바의 시스템상 준우승은 리그의 16위팀도 할 수 있는 구조라서 커리어에서 준우승 숫자는 아무 의미가 없다고 봅니다. 릅은 그 슈퍼팀을 디시전쇼 이후의 커리어 내내 만들면서 겨우 우승 세 번, 이번에 이기면 네 번을 하는데 어디 고트 욕심을 내나요.
아라가키유이
20/10/10 12:55
수정 아이콘
이미 매니아는 타오르던데요..
20/10/10 12:56
수정 아이콘
거기야 르브론매니아니까 그런거죠.
엔터력
20/10/10 13:05
수정 아이콘
느바갤러리도 안그렇던데요?
손금불산입
20/10/10 13:40
수정 아이콘
타사이트 언급하긴 조심스럽지만 그 사이트는 대형화되면서 단순 여론의 전문성은 오히려 낮아진 케이스죠. 뭘로보나 그냥 농구계의 엠팍입니다. 매니아진 게시판은 어지간한 유로기사 뺨칠정보로 글의 수준이 올라왔는데 바로 옆 버튼에 있는 메인게시판은 오히려 퀄리티가 거꾸로 내려가는... NBA의 특성상 논리보다 명분이나 감성이 더 중요시되기도 하고요.
러프윈드
20/10/10 12:57
수정 아이콘
다 맞는말인데 조던이 현 CBA 룰이라면 6회우승 쉽지 않았을겁니다.

물론 그럼 은퇴도 안했으니 6회우승은 했겠네요..
미야와끼사쿠라
20/10/10 13:13
수정 아이콘
그래서 맨날 샐러리 막힐때쯤 팀옴겨서 새판짜잖아요
20/10/10 13:18
수정 아이콘
선수가 팀 옮겨서 더 강한 팀 찾아가는거야 그럴 수 있는데, 첫 이적 이후 매번 팀 옮겨서 올인 하고 샐러리 막혀서 풀 한 포기 안 날 때쯤 되면 또 슈퍼팀 만들기 좋은 팀으로 옮겨서 우승하자고 리쿠르팅하는걸 반복하고, 그랬는데 우승 세번(혹은 네 번)은 심하게 모냥 빠지죠. 저는 릅이 비교불가의 no.2라고 생각합니다만, no.2자리가 비교불가인 만큼 본인 역시 no.1과는 비교불가죠.
20/10/10 13:00
수정 아이콘
커리어 내내 슈퍼팀?? 클블1기는?? 하려고했는데 수정하셨네요.. 근데 마앰때 슈퍼팀 빼고 클블2기도 파이널가면 르브론은 항상 언더독이었던거같은데요. 올해도 시즌전 예상에 레이커스 우승은 있지도 않았죠.
미야와끼사쿠라
20/10/10 13:16
수정 아이콘
마엠때 임팩이 너무 크죠...전력 압도적으로 우세한 댈러스에 따이고...샌안에도 1:1...
20/10/10 13:26
수정 아이콘
시즌전 예상에 무슨 레이커스 우승이 없었나요? 처음 들어보는 이야기네요. 못해도 우승후보 3~4위권안에는 있었습니다.
20/10/10 13:31
수정 아이콘
https://mania.kr/g2/bbs/board.php?bo_table=nbatalk&wr_id=7612937 ESPN은 레이커스 우승가능성이 없다고 봤네요
20/10/10 13:34
수정 아이콘
eapn빼고는 다 순위권에 들어있고 농알못이봐도 저거는 잘못된거죠. 그리고 저거 하나로인해 다른 매체예상은 없는건가요?
20/10/10 13:39
수정 아이콘
글쎄요 제가 시즌전 분위기를 기억하는데 랄이 슈퍼팀 노리다가 카와이 영입 터지고 버틀러 영입 터지고 랄이 대니그린 패닉바이하고 부상 커즌스 사고 선수들 긁어모을때 폐지 스쿼드라고 조롱했을지언정 랄 우승 소리는 안나왔던거같은데요. 갈매기도 랄에서 증명해야된다고 했지.. 주목은 전시즌 파엠 카와이하고 전시즌 시엠 쿰보 밀워키가 가져갔고 저런 예상이 나올 만한 분위기였습니다.
20/10/10 13:40
수정 아이콘
https://mania.kr/g2/bbs/board.php?bo_table=nbatalk&wr_id=6617745&sca=&sfl=wr_subject&stx=배당&sop=and&spt=-438293&scrap_mode=&gi_mode=&gi_team_home=&gi_team_away=

그럼 이 배당은 어떻게 보시는지요? 배당 기준으로는 우승 가능성이 두 번째로 높았는데요.
20/10/10 13:44
수정 아이콘
뭐 르브론이 있으니까요. 18-19 부상이어도 바로 직전 1718시즌에 보여준 캐리를 믿는 대중도 있었겠죠. 그 글 쓰신분도 레이커스가 생각보다 많이 높다고 하시네요. 그게 당시의 분위기 아닐까요?
20/10/10 13:45
수정 아이콘
분위기가 어쨌건, 사람의 기억이 어쨌건 카와이와 폴조지 트레이드 이후에도 랄의 우승 배당은 일관되게 클맆 벅스 다음 수준이었습니다. 시즌 전 예상에 있지도 않았다는건 명백하게 틀린 이야기입니다.
20/10/10 13:47
수정 아이콘
GogoGo 님// 음 그럼 ESPN 시즌 전 예상엔 랄 우승이 없었다고 정정할게요
콰트로치즈와퍼
20/10/10 15:25
수정 아이콘
르브론만 있는게 아니라 ad도 mvp급 선수인데 클리퍼스한테 상대적으로 불리하지 않을까 하는 예상이 있었지만 강력한 우승후보였습니다.
상록수
20/10/10 13:08
수정 아이콘
준우승도 컨파우승인데 왜 의미가 없죠? 말씀대로라면 리그 16위팀도 우승할 수 있는 구조인데요
20/10/10 13: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리그 16위 팀은 우승 못하죠. 우승을 위해서는 자기 컨퍼런스에서 가장 강해야 하고(아래에 14팀이 있어야 하고) 상대 컨퍼런스의 가장 강한 팀을 이겨야 하죠(아래에 15팀이 있겠죠.) 그래서 강자가 무조건 이긴다면 토너먼트의 우승팀은 가장 강한 팀이죠.

토너먼트에서 우승팀은 가장 강한 팀이지만, 토너먼트의 준우승팀은 그저 가장 강한 팀을 가장 마지막에 만난 팀일 뿐입니다. 특히나 근년의 느바처럼 서고동저가 부정할 수 없는 수준이라면, 준우승 횟수는 동부의 지배자라는걸 보여줄지언정 리그에서 두번째로 강한 팀이라는건 전혀 보장해줄 수 없죠.
카푸스틴
20/10/10 16:38
수정 아이콘
솔직히 궤변같습니다. 2위는 어차피 1위를 이길수 없으니 나중에 1위를 컨파에서 만나는게 의미가 없다는 얘기하시는건가요? 그럼 디트로이트는 어떻게 우승했을까요
20/10/10 18: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뭔소리신지...느바의 구조상 동부팀은 결승까지 서부팀을 만나지 않습니다. 그 얘기는 30개팀 중 1위부터 15위까지가 서부, 16위부터 30위까지가 동부에 있으면 리그 전체에서 16위의 전력이어도 파이널에 가서 준우승을 하는게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파이널에서 패배한 동부 우승팀은 동부에서 가장 강한 팀이지, 느바 전체에서 두번째로 강한 팀이 아닌거죠. 우승했다면? 그냥 제일 잘해서 우승을 한거구요. 결론은 르브론의 6회 준우승은 커리어 내내 동부 패왕이었다는거지, 서고동저의 구조에서 뭐 별날거 없는 기록이라는겁니다.
약설가
20/10/10 13:13
수정 아이콘
저도 르브론이 위대한 선수로서의 족적을 남길만한 해라고 생각하지만, 그와는 별개로 고트 논쟁이 타오를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타오른다면 르브론에게 후한 사람들이 불을 지피는 거겠죠.
20/10/10 13:16
수정 아이콘
르브론팬말고는 고트 논쟁안하죠. 막말로 논쟁할려면 6우승 6파엠 맞추고 와야하죠
봄바람은살랑살랑
20/10/10 14:08
수정 아이콘
릅 고트는 마이애미에서의 실패로 이미 논쟁할 가치도 없다고 보는데 아직도 얘기가 나오긴 하나보네요;
올라이크
20/10/10 16:09
수정 아이콘
스포츠도 어떻게 보면 취향의 영역이지만, 현 시점에서 농구의 고트에 그 분 말고 다른 이름을 들이대는 것은 [절대적으로 틀린 겁니다.] 농구를 모르거나, 잠깐 뭐에 씌웠거나, 여타 다른 이유로 사실과 다른 이야기를 하는 거에 불과하죠.
카푸스틴
20/10/10 16:35
수정 아이콘
슈퍼팀 만든 이후 우승 세 번에 결승 이정도 갔으면 대단한거죠.
20/10/10 18:01
수정 아이콘
동부 패왕인거야 말할 필요가 없죠.
번개크리퍼
20/10/10 12:55
수정 아이콘
버틀러 진짜 어우
히트가 우승하면 좋겠어요
소울니
20/10/10 12:55
수정 아이콘
이게 파이널이죠~ 경기 존잼 크
그와중에 버틀러 1분 쉬엇네요... 그저 경이롭습니다.
EffortLucks
20/10/10 13:20
수정 아이콘
실제론 47분 11초 뛰었다네요 크크
위르겐클롭
20/10/10 12:58
수정 아이콘
갈매기 절뚝거리던데 무리해가면서 다뛰었는데 마지막에...
루크레티아
20/10/10 13:04
수정 아이콘
갈매기는 아무리 봐도 본인이 출전 강행한 것 같은데 이건 아무리 봐도 독이네요.
그리고 크라우더 하는 꼴 보면서 쌍욕 박고 봤는데 그린이 더한 짓거리를 크크크
이혜리
20/10/10 13:05
수정 아이콘
4Q 8분 대 역전하는거 보고, 아 버틀러 빠잉. 했는데 생각해 보니 역전도 대니 그린의 3점으로 시작했네요.
마지막에 진짜 5명 달고 뛰면서 내준 와이드오픈 3점 그건 진짜 넣어줬어야 하는게 아닌가..

릅이 누적스탯도 스탯이지만 이런 평가를 받는데 가장 큰 업적이,
골든스테이트 쓰리핏 3:1에서 뒤집은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이왕 이렇게 된거 버틀러 너도 한 번 해보자.
20/10/10 13:11
수정 아이콘
그 역전한 뒤로 마이애미가 랄한테 오픈찬스 뻥뻥 내줬는데 죄다 벽돌쐈죠
R.Oswalt
20/10/10 13:09
수정 아이콘
우리꼰! 제발 우승해서 파엠 먹고, 빅페이스커피 글로벌 런칭 가자~~~
미야와끼사쿠라
20/10/10 13:11
수정 아이콘
전력 차이는 최근 파이널경기중 제일 압도적인거 같은데 크크 이걸 질징 끄네요
삼비운
20/10/10 13:36
수정 아이콘
최근은 아니지만 제가 본 최고의 전력차는 아이버슨 vs LA 였습니다
화성거주민
20/10/10 13:51
수정 아이콘
01년 파이널에서 한경기 따낸 것만 해도 앤써좌 소리를 들을 만 하다고 봅니다크크
파비노
20/10/10 14:19
수정 아이콘
18년만 해도 골스 vs 클블
20/10/10 14:23
수정 아이콘
도박사들 배당률로는 그때 클블보다 지금 마이애미가 더 언더독입니다
미야와끼사쿠라
20/10/10 17: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클블은 그래도 빅3팀이고 올스타 플레이어가 3명아나 있어요 크크 충분히 이변이 일어 날 수 았다고 생각할만허죠
지금 마엠은 에이스가 서드 수준이고 드라가치 마저 아웃 상태입니다. 그럻다고 롤플레이어들이나 벤치자원이 엄청 튼튼한것도 아니고요
파비노
20/10/10 17:32
수정 아이콘
파이널만 보면 어빙 없고 러브도 없었으니깐요.
20/10/10 17:34
수정 아이콘
18년엔 어빙 없었어요 러브는 있었는데 어빙 틀드 망하고 데드라인 틀드도 망해서 동부에서도 고전해서 르브론빨로 파이널 겨우 올라왔죠 그때 배당이 마이애미보다 더 언더독이었어요 커탐듀그 골스가 워낙 초강팀이기도 했고
미야와끼사쿠라
20/10/10 19:43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르브론도 전력차 심하면 맥없이 지는데 버틀러와 마이애미가 진짜 대단하네요
20/10/11 06:36
수정 아이콘
르브론은 지금까지 보여준게 많으니까 기대나 예상이라도 할 수 있었지..
버틀러는 그냥 충격과 공포 수준입니다 플옵 버틀러는 다르다는걸 작년에도 어느정도 보여주긴 했지만..
파이널에서 아예 차원이 달라서 ;;; 한경기도 아니고 계속 르브론 씹어먹는 활약을 할줄은 상상도 못했어요
5경기 42.7분 29득점 10.2어시 8.6리바에 야투율 55.8% 자유투 92% TS 67.1% PER 35인데...
스탯 적으면서도 믿기지가 않네요 와
언니네 이발관
20/10/10 13:27
수정 아이콘
마이애미 우승하고 버틀러 mvp 받았으면 좋겠네요.
20/10/10 13:40
수정 아이콘
미네가 버틀러 트레이드가 이해갔는데 불스떄는 대체 왜 트레이드 했는지...불스의 심장이 될거라 봤는데...
불스가 불스 한건가...
화성거주민
20/10/10 13:48
수정 아이콘
찾아보시면 알겠지만, 불스 막판에 팀 케미 이슈가 터졌죠. 인터뷰로 팀원들 더 열심히하라고 저격하고, 버틀러+웨이드 VS 나머지 팀원들 구도가 되었죠.
20/10/10 13:52
수정 아이콘
아 그러긴 했죠 그때도 이해 안갔던건 이럼 불스 프런트에서도 버틀러 남기고 올리셋 하는 방향이 더 나았을것 같은데 역시 쪽수는 못이긴하죠... 미네랑 다른건 미네는 어쨋든 기둥이 있으니 이해가 갔는데 불스는 뭐도 없으면서 저랬다는게...불스 프런트는 이해 안하면 편하긴하다만..크크크..
노령견
20/10/10 14:17
수정 아이콘
버틀러 막판에 파울당하고 짬내서 고개숙여 쉴때 전율이 일었습니다. 이번 플옵 노잼일 줄 알았는데 덴버랑 마이애미가 감동을 선사해주네요
20/10/10 15:03
수정 아이콘
역대 2위 고정 이런 것도 아니고 고트논쟁이라니;;; 순간 르브론매니아 온 줄
20/10/10 15:34
수정 아이콘
그냥 원빈보다 잘생긴 본인이 한번 불타오르겠습니다
자몽맛쌈무
20/10/10 16:07
수정 아이콘
지미 조던..
천혜향
20/10/10 17:02
수정 아이콘
르브론 갈매기로 파엠 박터지게 싸웠지만 사실 파엠은 지미버틀러였고..
아우구스투스
20/10/10 18:12
수정 아이콘
다음 경기가 걱정될 정도의 투혼입니다ㅠ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4889 [스포츠] [NBA] 하든 결국 브루클린으로 가나보네요. [36] 아라가키유이5796 20/11/18 5796 0
54881 [스포츠] [GMS] 스콜스vs제라드vs램파드 : 19명의 전현직 축구선수에게 물었다 [27] 아라가키유이7298 20/11/17 7298 0
54785 [스포츠] [공식발표] 벤투호, 조현우,권창훈 등 5명 코로나 양성 [48] 아라가키유이12107 20/11/14 12107 0
54735 [스포츠] [해외축구] 크로스의 비판 “선수들은 FIFA와 UEFA 꼭두각시일 뿐” [7] 아라가키유이4294 20/11/12 4294 0
54641 [스포츠] [해외축구] [This Is Anfield] 펩 曰 : 이건 재앙임 [24] 아라가키유이6667 20/11/09 6667 0
54613 [스포츠] [해외축구] 솔샤르 생명연장은 진짜 귀신같네요 [20] 아라가키유이8488 20/11/07 8488 0
54548 [스포츠] [해외축구] 86월드컵 아르헨티나의 불가리아전 플레이.gif(약 데이터) [15] 아라가키유이4766 20/11/05 4766 0
54546 [스포츠] [해외축구 ][골닷컴] '또 무실점' 첼시, 철벽 구축한 실바-주마-멘디 트리오 [14] 아라가키유이4686 20/11/05 4686 0
54361 [스포츠] [해외축구] [골닷컴] 클롭: 리그측은 선수들이 갈리든말든 신경안쓰나봐 [14] 아라가키유이5315 20/10/30 5315 0
54310 [스포츠] [해외축구] 바르셀로나 vs 유벤투스 예상 라인업 [8] 아라가키유이4265 20/10/28 4265 0
54209 [스포츠] [해외야구] 와... [42] 아라가키유이9485 20/10/25 9485 0
54145 [스포츠] [해외축구] 요즘 보면서 천재라고 느끼는 선수 [16] 아라가키유이7629 20/10/23 7629 0
54126 [스포츠] [해외축구] 콘테 "조1위는 레알의 것" [15] 아라가키유이4041 20/10/22 4041 0
54034 [스포츠] [해외축구] [BBC] 버질 반다이크의 부상은 전방 십자인대 손상. [39] 아라가키유이5444 20/10/19 5444 0
54023 [스포츠] [NBA] ESPN에서 나온 조던 vs 르브론 설문조사 [97] 아라가키유이8276 20/10/18 8276 0
53880 [스포츠] [해외축구] 특이점이 온 발롱도르 올타임 드림팀 공미 부분 [28] 아라가키유이6550 20/10/13 6550 0
53778 [스포츠] [NBA] 마이애미 히트 5차전 승리 시리즈 2승3패 [72] 아라가키유이7099 20/10/10 7099 0
53747 [스포츠] [해외축구] 요즘 좀 많이 맞고다니는 선수 [32] 아라가키유이7490 20/10/08 7490 0
53639 [스포츠] [NBA] 마이애미 히트, 3차전 승리 시리즈 전적 1대2 [43] 아라가키유이7476 20/10/05 7476 0
53627 [스포츠] [해외축구] 오랜만에 나온 세비야 센터백 [2] 아라가키유이5530 20/10/05 5530 0
53534 [스포츠] [해외축구] 쿠만셀로나 파죽의 2연승 [8] 아라가키유이6172 20/10/02 6172 0
53452 [스포츠] [해외축구] 몇몇 팀 시즌 초반에 대한 감상 [48] 아라가키유이5575 20/09/29 5575 0
53376 [스포츠] [해외축구] 세르히오 라모스 웨이트 트레이닝 분석영상 [3] 아라가키유이5684 20/09/27 568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