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8/11/18 11:32:55
Name 손금불산입
File #1 european_league_elo_1.jpg (252.8 KB), Download : 31
Link #1 직접 작성
Subject [스포츠] [해축] 가장 압도적인 유럽 축구 리그는 어디였을까? (수정됨)


위 그래프는 1971년도(정확히 말하면 70-71 시즌 종료 직후 시점을 기준) 이후 각 리그의 ELO 평균 점수를 표시한 그래프입니다. 원래는 저 6개 리그 말고도 러시아나 포르투갈, 터키, 벨기에 등 몇몇 리그들도 다같이 찍어봤지만 별 의미가 없어서 다 빼버렸습니다. 왜 1971년부터 찍어봤냐면 UEFA컵이 시작된 년도가 이때이고, 1971년도 발롱도르 수상자가 현대 축구의 토대로 불리는 요한 크루이프이기도 하며, 아직까지는 하나하나 일일이 찍어보는 제 인내심이 딱 거기까지라서이기도 합니다...

보시면 전통의 축구 종가 뻥글
차붐이 당시 세계 최고의 리그라고 이야기했던 분데스리가
7공주 시절로 유명한 세리에 A
밀레니엄 이후를 선도하고 있는 라 리가
그리고 깍두기의 네덜란드의 에레디비지에

가 데이터로 정확히 파악됩니다. 사람들이 느낌상으로 이야기 했던 말들이 근본없는 이야기는 아니었다는 말이 되겠죠. 물론 보시다시피 전부가 그렇지는 않습니다만..






왜 갑자기 단서를 붙여서 이야기를 하냐면 1971년 이후 평균 ELO 레이팅이 가장 높았던 리그가 바로 2007년 라 리가이기 때문입니다.

2007-spain.jpg

정확히는 2006-2007시즌 종료 시점이겠죠. 이 시즌 라 리가의 ELO 레이팅이 1793점으로 가장 높습니다. 감독들이 많이 짤려서 코치란에 빈칸이 많이 보이는건 함정. 정작 이 시즌에 라 리가는 챔피언스리그에서 꽤나 부진했었습니다. 디펜딩 챔피언이었던 바르셀로나는 16강에서 리버풀에게 탈락. 레알 마드리드는 바이에른 뮌헨과 난타전을 하다가 16강에서 탈락. 발렌시아가 8강에 올랐으나 첼시에게 제압당하며 탈락... 재미있게도 이 시즌이 흔히 사람들에게는 4강에 EPL 3팀으로 회자되는 소위 EPL 최전성기 시즌의 시작입니다. 이 시즌부터 무려 3시즌이나 잉글랜드 팀이 챔피언스리그 4강에 3팀을 연속 진출시키게 되죠. 하지만 이 시즌 빅이어는 카카의 발롱도르로 대표되는 밀란에게로..

대신에 스페인 팀들은 UEFA컵에서 실적이 화려했는데 4강에 에스파뇰, 오사수나, 세비야 3팀이 진출했으며 결승도 스페인 팀들끼리 대진을 가졌습니다. 여기 우승은 세비야.

2007-elo.jpg

바이에른 뮌헨 쭈구리 시절... 그리고 레바맨첼? ELO 레이팅 자체는 최고점을 찍었으나 잉글랜드 4팀의 강세가 확연했고, 리그간 점수 격차 자체도 큰 편은 아니었기에 압도적이었냐고 묻는다면 의문부호가 붙습니다.

이 시즌 라 리가 우승은 반 니스텔루이가 피치치를 먹으며 승자승 룰로 바르셀로나를 따돌린 레알 마드리드.








그 다음으로 최고 레이팅을 찍은 리그도 라 리가입니다. 이번엔 2001년.

2001-elo.jpg

이번엔 1786점이고, 첫 그래프에서 보시면 라 리가 이외에 나머지 4개 리그가 아웅다웅하던 와중입니다.

2001-spain.jpg

이번엔 그래도 Top 3가 전부 스페인 팀, 그리고 Top 5 중에 4팀이 스페인 팀일 정도로 확실하게 강력한 전력을 보여주고 있네요. 거기에 바르셀로나가 없다는게 흠좀무. 그리고 이 시즌도 스페인이 챔스 우승은 못했습니다. 심지어 UEFA컵도 못따냈었고...  결승에는 각각 발렌시아와 알라베스가 진출했지만 바이에른 뮌헨과 리버풀에게 패배하며 트로피를 헌납했습니다. 이 때의 특징은 압도적인 리그였지만 그 와중에도 리그 내 팀들끼리 양극화가 좀 보였다는 점?

이 시즌 우승도 레알 마드리드. 이 시즌에는 라울이 피치치를 타냈습니다. 참고로 이 시즌 라울은 라 리가와 챔피언스리그 득점왕을 동시에 석권. 득점만 따지면 라울이 가장 골을 많이 넣은 시즌이었습니다. 시즌 50경기 32골.








사실 돌아돌아 이 시즌을 이야기하려고 글을 쓴건데, 첫 그래프를 보시면 다른 리그를 가장 압도하는 시즌이 딱 보이긴 합니다. 1994년의 세리에 A. ELO 레이팅은 1974점으로 전체 3위를 기록한 시즌입니다.

1994-italy.jpg

세리에 7공주... 아니 이정도면 8공주가 아닐지.

1994-elo.jpg
여기서는 레알이 쭈구리네요. 보이지도 않고... 뭐 별다른 설명이 필요가 없습니다. Top 3 전부 점령. Top 10 내에 세리에 A 팀 7팀. 리그 내 12위인 제노아가 유럽 전체에서 22위를 하고 있는 상황.. 점수는 좀 딸릴지 몰라도 이 시즌이야말로 다른 리그를 가장 압도한 시즌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그야말로 세리에 미만 잡입니다. 바르셀로나와 맨유를 제외한다면 리그 6위인 인테르에게 다 정리되는 수준..

챔피언스리그는 결승전에서 호마리우가 있던 바르셀로나를 4-0으로 대파한 밀란이, UEFA 컵은 베르캄프가 뛰던 인테르가 가져갔습니다. 컵 위너스 컵도 사실 파르마가 결승전까지 올라갔는데 아스날이 찬물을 끼얹으면서... 유럽 대회 재패를 막아냈습니다. 이 시즌 리그 우승은 밀란이 가져가면서 더블을 기록.

아마도 제목에 대한 답은 이 3번째 예시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보통 세리에 7공주 시절을 90년대 중반부터 00년대 초반으로 보는데, 사실 끗발은 초반에 다 있었던게 아닌가...









https://pgr21.net/?b=1000&n=28166

아 그리고 윗 글에서 이야기했던 챔피언스리그의 ELO 레이팅을 함께 표시하면 첫 짤과 함께 표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european-league-elo-2.jpg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라가키유이
18/11/18 12:11
수정 아이콘
이래서 라리가 여포라고하는게 엄청난 칭찬인거죠.
소속 팀만봐도

바르셀로나
레알마드리드
아틀레티코마드리드
세비야
빌바오
김연아
18/11/18 12:40
수정 아이콘
90년대는 진짜 세리아 미만잡 시절이었죠
거기에 레알, 바르샤, 맨유, 뮌헨, 아약스(!?)같은 명문 클럽 정도만 인정해주면 되는 분위기 크크
선수들 뜨면 보통 이탈리아로 다 넘어갔고.. 7공주 얘기도 나왔고..

그런데 지단이 레알로 가죠
그 때 언론들이 세계최고의 리그가 프리메라리가로 옮겨가고 있다는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했고
전 90년대말부터 스페인도 리그 뎁스가 좋아졌다지만 이게 무슨 소리야 했는데
제가 축알못이었...
18/11/18 13:19
수정 아이콘
진짜 칼치오폴리가 이탈리아 축구를 크게 말아먹었네요. 한국도 승부조작건이 있었습니다만..
건이건이
18/11/18 17:26
수정 아이콘
좋은 자료네여,,, 스크랩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291 [스포츠] [KBO] 선수들은 약을 빨고 싶어합니다 [16] 홍승식5662 18/12/11 5662 0
30288 [스포츠] WWE 2001년 12월 시카고에서의 스맥다운 메인이벤트 [7] SKY923213 18/12/11 3213 0
30285 [스포츠] 4년 125억 받은 양의지의 4년성적.jpg [30] 살인자들의섬6203 18/12/11 6203 0
30282 [스포츠] [해외축구] 예상라인업만으로도 화제가 되는 새벽 경기 [11] 아라가키유이5424 18/12/11 5424 0
30281 [스포츠] [갤럽] 2018년 올해를 빛낸 스포츠선수 [10] 홍승식4162 18/12/11 4162 0
30278 [스포츠] ???:이것은 케빈 러브의 몫 [11] 223882 18/12/11 3882 0
30277 [스포츠] [NBA] <미네소타 Vs 골든 스테이트> 하이라이스 [5] k`1902 18/12/11 1902 0
30276 [스포츠] KBO 한국프로야구 FA 금액 탑 20.txt [23] 살인자들의섬3384 18/12/11 3384 0
30275 [스포츠] 르브론 제임스 vs 드웨인 웨이드 마지막 맞대결 [5] SKY922923 18/12/11 2923 0
30274 [스포츠] 통증 참고 던졌다... LG 임지섭 [9] 읍읍5783 18/12/11 5783 0
30267 [스포츠] 태...택진이형? [7] 계피7251 18/12/11 7251 0
30265 [스포츠] 누군가 야구의 미래를 묻거든 [12] 김유라6248 18/12/11 6248 0
30264 [스포츠] [오피셜] NC, '최대어' 양의지 품다...4년 총액 125억원 [118] 기다10131 18/12/11 10131 0
30252 [스포츠] 신발장수 근황 [11] 108번뇌7887 18/12/11 7887 0
30237 [스포츠] [KBO] 역대 골든글러브 중 가장 깔끔한 해 [17] 내일은해가뜬다4885 18/12/10 4885 0
30234 [스포츠] KBO 역대급으로 한심한 골글 투표결과가 또 갱신 됐네요 [51] 차오루7299 18/12/10 7299 0
30232 [스포츠] 2018년 외야수들 WAR, WRC+ 성적과 골글 투표수.jpg [26] 살인자들의섬3188 18/12/10 3188 0
30231 [스포츠] 충격과 공포의 골든글러브 시상 결과 정리 [20] 내일은해가뜬다5280 18/12/10 5280 0
30229 [스포츠] [kbo]골든 글러브 수상자 [25] Fin.3186 18/12/10 3186 0
30228 [스포츠] EPL 감독들 표정묘사하는 유튜버 [10] swear3456 18/12/10 3456 0
30220 [스포츠] [해축] 아스날 미슐린타트와의 심층인터뷰 [8] 손금불산입3372 18/12/10 3372 0
30218 [스포츠] 주작 하니 새삼 떠오르는 경기.jpg [19] 라이츄백만볼트7920 18/12/10 7920 0
30216 [스포츠] [KBO]승부조작 기자회견 때문에 묻히는 안타까운 기사 [14] 내일은해가뜬다6489 18/12/10 648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