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8/03 18:01:54
Name 8억빠
Subject [질문] 저혈당증상?이 잦은데 치료해야하나요.
끼니를 거르거나 하면 급격하게 배고파지고 식은땀나면서 가슴이 미친듯이 두근거립니다. 급하게 빵같은걸 먹어야 괜찮아지네요.

주로 밥 거르고 아메리카노 먹었들때 증상이 오네요.

술담배 전혀 안하고 173에 67키로 정도로 체중도 20년 가까이 유지중입니다. 최근에 당화혈색소 5.7 나와서 당뇨 조심하라고 하긴 했습니다.

바로 뭘 먹으면 괜찮아지긴 하는데 어지러워서 쓰러질것같은 느낌이나서 의험한건가 싶기도 하네요
건강검진도 꾸준히 하는데 간수치 높은거랑 당뇨조심하라고만 나오고 별 이싱소견은 없었습니다.

이런경우 따로 치료나 약물복용을 해야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민들레
25/08/03 18:13
수정 아이콘
건강검진 꾸준히 하시니 그때 한번 문의를 해보시는게..?
25/08/03 18:31
수정 아이콘
지난달에 받았는데 내년에나 받을 것 같아서요.
오늘 또 비슷한 증상 겪어서 질문 글 올려 봅니다.
성야무인
25/08/03 18:46
수정 아이콘
심하면 갑자기 쓰러집니다.

병원에 가서 진료 받으시고

약국에 가면 당캔디가

따로 있으니 그거 사셔야

당 떨어졌다 싶으면 복용하세요.
25/08/03 18:50
수정 아이콘
진료를 받는건 꾸준히 치료 받아야 되는건가요?
당캔디는 알아봐야겠네요
성야무인
25/08/03 19:29
수정 아이콘
네 당연히 진료 받아야 합니다.

당캔디의 경우

긴급상황에 먹어야 되는 겁니다만

그리고 카페인은 모르시는 분들이 계시겠지만

당대사에서 혈당을 급격하게 내릴수 있는 물질중에 하나입니다.

혈당관련 이시라면 개인적으로 추천 안드립니다.
타츠야
25/08/03 20:13
수정 아이콘
공복에 카페인은 반대로 일시적으로 혈당 올리는 거 아닌가요? 인슐린 작용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고 있어서요.
성야무인
25/08/04 06:39
수정 아이콘
아뇨 카페인 자체가 지방세포에서 당대사를 도와 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인도 사람들이나 중국 사람들이 차를 많이 마십니다.
The Normal One
25/08/03 18:52
수정 아이콘
의사랑 상담하시길 바랍니다. 가장 최근 건강검진 결과표 들고 근처 내과 가시면 상담가능하실거에요.

식사를 거름 -> 저혈당 -> 빵 같은 음식으로 회복
이 패턴은 상당히 좋지 않아보입니다.
저혈당 증상이 해소되니 회복했다고 느끼실텐데, 단순 탄수 섭취로 인해 혈당 피크가 일어날 수 있고, 췌장이 급작스럽게 무리하고 있을 확률이 있어보여요.
식사 거르지 마시고, 견과류를 섭취한다거나, 거꾸로 식사법등 유투브 잠깐만 찾아보셔도 도움되는 자료가 많으니 한번 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타츠야
25/08/03 20:09
수정 아이콘
공복 상태에서 아메리카노 먹었을 때 주로 일어나는 거면 카페인 부작용쪽이 더 커 보이는데요.
디카페인 먹었을 때도 그런지 한번 확인해보세요.
25/08/03 21:1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내과부터 가봐야겠네요. 카페인문제는 아닌것 같은게 당진단 받기 전에는 몬스터를 매일 마셨었는데 그때는 비슷한 증상이 없었습니다. 항상 식사를 안할때만 나타나더라고요.
CoMbI COLa
25/08/04 12:32
수정 아이콘
카페인에 의한 부작용은 단순히 카페인 함량에 따라 결정되는게 아닙니다.
당분, 비타민, 농도 등에 따라서 흡수 속도가 달라져서 몬스터는 괜찮은데 커피는 안 그럴 수 있어요.

다른 것도 아니고 본인 건강에 대한 부분인데 가볍게 이건 아님 하고 넘어가지 마시고 진료 받으실 때 커피랑 몬스터가 영향을 주는 지도 한 번 물어보세요.
2024헌나8
25/08/04 12:33
수정 아이콘
몬스터는 그자체로 당류 포함된거 아닌가요. 빈속에 아메리카노 먹는거랑은 당연히 혈당곡선이 달라지겠죠
설탕물
25/08/03 21:51
수정 아이콘
제가 알기론..

혈당이란게 몸의 대부분이 그렇듯 너무 높아도 낮아도 좋지 않습니다. 근데 당화혈색소란게 편하긴 한데 평균수치 내는거라, 높았다 낮았다 하면 안좋을 수 있죠. 그런 증상이 있다고 얘기하고 검사 받아보심이 어떨지요. 당뇨가 혈당 높은거만 문제가 아니고 낮아지기도 한다고 알아요.
다이어트
25/08/03 22:09
수정 아이콘
저랑 비슷한 증상인거 같은데 저는 역류성 식도염 쪽이라 생각해서 아침 거르고 커피 먹어서 늘 힘들어져서 요즘은 아침이나 점심 이후에 마십니다
인스네어리버
25/08/04 07:59
수정 아이콘
커피 때문이신듯.. 커피 줄여보세요
25/08/04 08:09
수정 아이콘
당뇨가 혈당이 높아서도 문젠데, 말씀주신것처럼 핑퐁치는 게 큰 문제라서요.... 173/67이면 정상몸이신거 같은데
2형이 아니라 1형 당뇨일 수도 있으니 내분비내과 쪽에 가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수치상으로 정상이시면 건강검진에서는 보통 3끼 다 조금씩 건강히 드시고, 운동하시고 이런식으로밖에 말씀 안해주실거에요
부대찌개
25/08/04 09:54
수정 아이콘
혈당체크해보지 않으면 저혈당인지 알수는 없지 않나요?
저혈당이 아니라 커피때문일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개인의선택
25/08/04 10:15
수정 아이콘
당혈 5.7이면 저혈 문제는 아니실거 같은데 일단 체크를 해보셔야 할것 같슴다
25/08/04 10:21
수정 아이콘
평소 식습관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혈당을 빠르게 올랐다 내려갔다하는 식사 (정제된 당류..)를 주로 하면 몸이 거기에 익숙해져 있어서 식사를 걸렀을 때 혈당이 빠르게 떨어지면서 그런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도 들었어요.

저혈당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혈당 변화가 커서 그렇게 느끼는거고 그게 저혈당이면 이미 쓰러져야 한다고..

식습관을 흰쌀밥 보다는 현미밥으로, 그리고 고구마 같이 혈당이 천천히 올라가는 것으로 드셔보시고, 과자나 음료는 덜 드시는 방향으로 개선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아침에 대충 라면만 먹고 출근했을 때 오히려 점심 때 어지럼증, 식은땀이 나더라구요.
2024헌나8
25/08/04 12:38
수정 아이콘
진짜 저혈당증상이 맞다는 전제하에
당뇨환자들 식사하는대로 따라하시면 도움되겠네요. 혈당스파이크 안치고 혈당 유지될수있도록. 유튜브 이런데서 보고 흉내내보세요.
아니면 저혈당 계속 겪으면서 무감각해지는 방법도 있긴 한데요. 단기적으로도 위험하고 장기적으로 건강에도 안좋으니까 비추천입니다
25/08/04 13:31
수정 아이콘
답변이 많이 달렸네요
하나하나 답변 못드려서 죄송합니다.
병원 다녀와서 후기남기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1625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4672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4449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7588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9447
181341 [질문] 패션관련질문 레오파드는 왜 매력적인가요? [1] 無欲則剛554 25/08/05 554
181340 [질문] LCK는 샐러리캡 제도를 운영하는 리그면서 왜 선수 연봉공개를 안할까요? [5] 업앤다운타운977 25/08/05 977
181339 [질문] 에픽하이 투컷.. 쇼츠로 봤던 영상을 찾고싶습니다 [4] 고기깡패1029 25/08/05 1029
181338 [질문] 온라인에서 자신이 저격당했다면 여러분은 어떻게 하실건가요? [10] ういビーム1485 25/08/05 1485
181337 [질문] 고구마말랭이 추천부탁드려요 [4] 테네브리움897 25/08/05 897
181336 [질문] 갤럭시 버즈 라이브 비슷한게 있나요? [12] dolce biblioteca1428 25/08/05 1428
181334 [질문] 여자를 어떻게 하면 만날수 있을까요 [11] 정 주지 마!2502 25/08/05 2502
181333 [질문] 약 복용(수족구) 관련 문의 드립니다 [6] 탐랑1659 25/08/04 1659
181332 [질문] 게임 브금인 것 같은데 혹시 찾아주실 수 있나요 [3] 내년에반드시결혼1751 25/08/04 1751
181331 [질문] 43인치 삼탠바이미 or 짭텐바이미 만족도 어떠신가요? [4] 루저1699 25/08/04 1699
181330 [질문] 네이버 가입 되나요? 지수1209 25/08/04 1209
181329 [질문] 길고양이 사체가 집 주차장에 있는데 처리하는 법 [4] 운동뚱1756 25/08/04 1756
181328 [질문] 목소리 바꾸는 법? 깃털달린뱀799 25/08/04 799
181327 [질문] 7월 초 신혼여행지는 어디가 좋을까요? [62] 김퐁퐁1752 25/08/04 1752
181326 [질문] 운전 중 방향지시등 질문 드립니다. [48] 이화1648 25/08/04 1648
181325 [질문] LOL 선수 커리어를 점수로 매긴 랭킹을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14] 쏘렌토1333 25/08/04 1333
181324 [질문] 상사와의 1:1 회의 녹음 할려고 하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14] 영길1791 25/08/04 1791
181323 [질문] 모바일 나무위키가 안들어가집니다. [2] WeakandPowerless838 25/08/04 83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