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7/17 20:28
보통 웹소설 무료연재는 문피아에서 시작합니다.
무료연재 때 어느 정도 성적이 나오면 웹소설 출판사에서 컨택이 오고, 그럼 그 출판사랑 계약하는 식이에요. 네이버 시리즈, 리디북스, 카카오페이지는 공모전 같은 예외가 아니면 출판사랑 계약하고 심사를 통과해야 런칭할 수 있습니다. 보통 표지는 계약한 출판사에서 만들어 줍니다.
25/07/17 20:30
그런데 웹소설을 '유료' 연재한다는 건 굉장한 노동량이 필요하거든요....
한 화 공백 포함 5000자 이상, 최소 주5일 연재를 완결날 때까지 지속하는 게 업계 표준입니다. 그냥 취미 삼아 쓰시는 거면 아예 완결을 내신 다음 출판사에 투고해서 계약한 다음 단행본 형식으로 내는 걸 추천드립니다....
25/07/17 21:08
초출이면 사실상 문피아밖에 없습니다. 무료로 연재하다 성적 괜찮으면 에이전시에서 컨택 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다가 유료화도 하고요.
완전 MZ 씹덕테이스트면 노벨피아란 선택지도 있긴 한데... 아마 안맞을 거에요.
25/07/18 08:53
보통 문피아에서 슬슬 연재하면서 반응보고 별로다 싶으면 연중, 괜찮다 싶으면 유료 전환, 타 플랫폼 연재 이런 수순으로 가는 것 같습니다.
25/07/18 10:41
놀랍게도 카카오 스테이지라고 카카오쪽도 투고 사이트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무도 모르고 있다가 얼마전에 아무도 모르게 사라져버렸죠.
시리즈는 문피아에서 발굴합니다. 네이버가 문피아를 인수해버려서 통합하나? 하는 말도 있었는데 통합은 안하고 공모전 같은걸 같이 했다고 들었습니다. 리디는 PGR 에 물어보는 시점에서 아웃 같은데...BL 이나 로맨스 장르가 아니라면 굳이 투고하실 필요가 없거든요. 마찬가지로 조아라도 아웃. "현 주류 웹소설은 내 작품의 광기를 감당할 준비가 안 됐다!" -> 노벨피아 정석대로 간다! -> 문피아 3. 표지의 경우 노벨피아는 AI를 엄청 많이 쓰더라고요. 표지 + 인물 설정화는 AI 로 올려주는게 거의 기본이 되었습니다.
25/07/18 11:38
현직 입장에서 말씀드린다면 웹소설을 써서 뭔가 돈을 벌어 보고 싶다, 혹은 사람들이 내 글을 보면서 열광하는 걸 보고야 말겠다 -> 문피아에 연재하면서 올리고 망하고 패인 분석하고 다시 구성해서 올리고 반복(웹소설을 많이 보는 것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시장 주류의 재미 구조를 모르는 상태에서 쓰면 성공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냥 난 취미로 쓰고 싶다, 조회수가 1이 나오건 0이 나오건 상관없다 -> 편하게 정도의 차이이지 않나 싶습니다.
25/07/18 16:41
벽보고 쓰겠다 -> 5만자~10만자 써서 투고
독자 댓글 읽고 작가의 말도 쓰면서 피드백 받고 상호작용하며 쓰겠다(나는 멘탈이 강하다) -> 문피아 문피아 자유연재는 독자가 거의 안붙으니 15편 이상 올린 후 일반연재로 승급하셔야 합니다
25/07/18 17:22
문피아 노벨피아 양자택일입니다
내 글이 좀 틀내가 나오 이러면 문피아 가야 하고 MZ씹덕테이스트>노벨피아 쉽게 말하면 글을 라노벨처럼 썼으면 노벨 아니면 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