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7/02 17:58:20
Name 종합백과
Subject [질문] PC 견적문의 드립니다.

그래픽카드 ㅡ 5080 호은 5070 ti
Cpu - 9800x3d

이렇게 우선 고정으로 준비중인데
제가 한번사면 오래써서 지금 1080 ti에서
앞으로도 8년 10년 보고 구매하려고 합니다.

1. 그래픽 관련 질문
ㅡ 가성비는 5070 ti가 좋다고 하는데 돈이되몃 5080가라 5080은 vram이 24가 아니어서 별로다 슈퍼 나오면 사라 그래서 헛갈립니다
ㅡ 어느것을 추천하시겠는지요? 다른것도 괜찮지만 5090은 너무 비싸서 안되고... Ai관련 업무도하고 비디오 에디팅도해서 오래 쓸거라 성능 좀 필요합니다.

2. 그 외 구성관련 질문
ㅡ SSD
ㅡ RAM
ㅡ 메인보드
ㅡ 파워
ㅡ 수냉쿨러

추천부탁드립니다. SSD는 2테라, RAM은 64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러면 거진 다 질문드린거긴한데...

시간 되시는 고수님들의 조언 미리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anymaster
25/07/02 23:46
수정 아이콘
9800X3D는 게이밍 특화 CPU라 영상 편집에 있어 딱히 좋은 CPU는 아닙니다. 영상 편집에 기본적인 멀티 성능도 가격이 반도 안 하는 14600K 수준이고, 영상 편집 프리뷰도 인텔 내장 그래픽은 퀵싱크로 잘 돌리는데 라이젠 내장은 감속기 소리까지 듣는지라... 프리뷰 기능에 대해서는 이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ySplL5gkywc&t=792s )보시면 체감이 쉬울 듯 합니다.
부드러운 프리뷰는 필요없고 9800X3D 수준의 게이밍 성능이 필요하다면 9950X3D, 아니고 프리뷰가 중요하고 게임 성능 포기 가능하다면 265K를 갈만 합니다. 14700K는 게임 성능도 9800X3D 수준에는 못 미치지만 그래도 꽤 좋은 편이고 프리뷰, 멀티성능 다 좋지만 오래 쓰기에는 열화 이슈가 치명적일 수 있어서 추천드리기는 어렵겠네요.
종합백과
25/07/03 00:06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영상도 참조하겠습니다.
manymaster
25/07/03 02:43
수정 아이콘
일단 9950X3D에 5080으로 팍팍 넣어서 480만으로 짜봤습니다. 고성능 고발열 부품들은 수명이 그렇게 길지는 않습니다. 고성능이어서 혹여나 오래 버틴다면 프로그램들이 무거워져도 버틸 수 있는 것이지... 14700K는 그걸 감안하고도 열화 이슈로 인한 수명 감소 타격이 클 수 있긴 하지만요.

CPU: [AMD] 라이젠9 그래니트 9950X3D (16코어/32스레드/4.3GHz/쿨러미포함) [정품박스] 1,130,000원
앞서 많이 말씀드렸기 때문에 여기서는 말을 줄이겠습니다. 게임 성능이 필요하고 거친 프리뷰여도 상관 없다면 이 9950X3D를 가시면 되겠습니다. AI는 CPU가 관여하는 부분이 거의 없습니다.
CPU 쿨러: [NZXT] KRAKEN PLUS 360 RGB [CPU쿨러] [블랙] 333,000원
수랭 중에 가장 안정적이라는 크라켄 360입니다. 9950X3D 발열도 거뜬히 커버합니다. 가격이 부담스럽다면 발키리 GL360 보시면 되겠습니다. 265K는 공랭으로도 커버 가능한 CPU라 위 두 수랭은 당연히 커버 가능합니다.
메인보드: [GIGABYTE] X870E AORUS PRO 제이씨현 (AMD X870E/ATX) 448,000원
AM5 소켓 메인보드는 이 이상 바라볼 이유가 없습니다. 전원부도 드라이버 모스펫 1280A에 방열판도 빵빵해서 9950X3D도 여유있게 커버하고, M.2 슬롯도 넷에 모두 방열판이 제공되며, 랜도 이슈 덜한 리얼텍 랜에 2.5기가이고, 오디오 칩셋도 악명 높은 싸구려 897급이 아니고, 풀 사이즈 보드라 두꺼운 글카도 커버 가능한 등... 보드가 좋으면 확장성과 편의성이 좋아집니다. 가격이 부담스럽다면 B850 터프 플러스로 내려오셔도 되긴 합니다.
265K용 보드는 본 적이 거의 없어 함부로 추천하기 어렵겠네요. 튜닝램 안 본다면 ROG STRIX B860-G GAMING WIFI 이 정도 추천하는 걸 봤습니다.
메모리: [G.SKILL] DDR5 PC5-48000 CL30 FLARE X5 J [96GB (48GB*2)] (6000) 499,000원
영상편집용 글카로 5070 Ti냐 5080이냐를 고민하시는 분이라 메모리도 64기가로 모자를 가능성도 있어보여 96기가로 올려봤습니다. 48기가 단일 모듈 시금치가 컴퓨존에는 그 비싼 하이닉스 밖에 없어보여 튜닝램으로 알아보았습니다.
튜닝램은 램 제조사에서 오버해놓은 램인데, 램 제조사에서 명시한 특정 CPU와 보드와 조합한다면 해당 오버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도 램 보증을 해 줍니다. CPU 메인보드 컨트롤러와 보드 품질에 따라 해당 오버가 안 먹을 수도 있거든요. 6000(48000)에 CL30이 라이젠 하의 램 오버 중에서는 무난하다고 합니다.
96기가로도 영상 편집시에 메모리를 70퍼 이상 먹는다고 나온다면, 램 증설을 고려하실 수 있을텐데... 램 오버는 램 증설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어있는 만큼, 램오버는 풀어주셔야 합니다. 그러고도 DDR5 특성상 램 클럭이 더 떨어지는데, 이렇게 되면 게임 성능은 꽤 떨어질 수 있습니다. CPU의 대용량 캐시가 벌충은 될 껍니다.
96기가까지는 필요없다 생각되신다면 에센코어 5600 32기가 보시면 되겠습니다. 2개를 주문하셔서 같은 용량 2개를 달아야 64기가로 램 용량도 확보하고 '듀얼 채널'도 적용되어서 4차선 노반에 2차선 도로만 까는 꼴 만들어서 성능 손해보는 일도 없겠죠.
그래픽카드: [Colorful] iGame 지포스 RTX 5080 ULTRA OC White D7 16GB 1,801,280원
비디오메모리는 16기가 정도면 게이밍에 문제 없다는 말도 많고, 영상편집에서는 더더욱 문제 없습니다. AI는 비디오메모리 많이 먹는다고 하니 중요하게 여기신다면 반년 정도 기다려서 슈퍼 볼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5080은 게이밍적으로는 대부분의 AAA급 게임에서 옵션 타협 어느정도 하면 4K라 할지라도 쾌적하게 즐길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5070 Ti라면 4K면 옵션 타협 세게 해야 하고, QHD는 옵션 타협 없이 쾌적하게 즐기실 수 있기에, 게이밍을 중시하고 모니터가 QHD라면 5070 Ti를 보실 수도 있겠습니다. 물론 그 쾌적하게 즐긴다는 게 이슈가 없다는 기준이지만요... RTX 50 시리즈 전체적으로 드라이버가 계속해서 말썽을 부리고 있어서... 성능에 있어서는 라데온도 대체가 안 되어서 그렇지.
5080 중에서는 좀 급 되는 것도 고를 수 있지만, 이 글카는 방열판 자체가 빵빵하고 이름값도 하급은 아닌데 가격이 하급이어서 주워봤습니다. 5070 Ti는 펠릿 게이밍 프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번 RTX 50은 최소한 INNO3D, 긱바, MSI 이 세 회사만 피해도 폭탄은 피한다고 하더라고요.
SSD: [솔리다임] P44 Pro M.2 NVMe 2280 [2TB TLC] 벌크 197,000원
P41의 벌크판 P44 Pro입니다. 안정성도, 속도도 무난하다는 소리 듣는 SSD 가운데에서는 가장 쌉니다. 여기서 속도가 무난하다 함은 용량 차면 활용하기 어려운 SLC 캐시 뻥을 걷어내고도 어느정도 속도가 나온다는 뜻입니다. 나래온 더티 테스트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SN850X, P41 정품, 990 Pro까지는 보실 수 있겠습니다.
파워: [SuperFlower] SF-1000F14XG LEADEX VII GOLD ATX3.1 (ATX/1000W) [블랙] 207,230원
9950X3D나 265K에 5080이면 850W로도 가능하다는 말이 많지만, 1000W로 여유있게 보시는 것을 더 추천드립니다. 5070 Ti는 850W 달아도 여유 있습니다.
16핀 케이블은 하도 이슈가 많아서 파워도 내실이 매우 좋은 안정적인 것으로 이슈 최소화 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슈퍼플라워 리덱스 VII 외에도 시소닉 포커스 골드 V4나 FSP HYDRO G PRO를 보실 수 있습니다.
케이스: [darkFlash] DLX21 RGB MESH 강화유리 [미들타워] [블랙] 98,000원
고사양 케이스로 무난하게 잘 추천되는 DLX21입니다. 글카 길이, 16핀 케이블용 여유폭 여부, 360 수랭 장착 여부, 파워 깊이 등 확인해봐도 호환 문제는 없습니다. 좋은 케이스는 강판 두께도 두꺼워서 공진음 등 각종 잡음도 잘 잡아주고 잘 안 찌그러지며, 여러 번 조립했다 해체해도 문제가 없으며, 팬 성능이나 안정성, 전면단자 품질까지 좋아진다고 그러더라고요.

9950X3D + 96GB RAM + 5080: https://www.compuzone.co.kr/form/estimate.htm?est=O-7848756&mest=82d3dbff4de4fa12658886beafa336c2
9950X3D + 64GB RAM + 5070 Ti: https://www.compuzone.co.kr/form/estimate.htm?est=O-7848758&mest=fb348d2b958c0f4528c7b5c73237b1d9
265K + 64GB RAM + 5080: https://www.compuzone.co.kr/form/estimate.htm?est=O-7848776&mest=4fdca04ea863f5ae4cdd6af75228a435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다른 분들 견적과도 비교해보시고, 만족할만한 컴퓨터 구매가 되었으면 합니다.
종합백과
25/07/03 09:12
수정 아이콘
대단하십니다. 전혀 기대하지 못했던 정성스런 답변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종합백과
25/07/03 10:46
수정 아이콘
물에서 구해줬더니 보따리 내놔라 격인것 같지만 혹시 시간이 허락하신다면 아래도 여쭤보고 싶습니다... ㅠㅠ

9950X3D + 96GB RAM + 5080: https://www.compuzone.co.kr/form/estimate.htm?est=O-7848756&mest=82d3dbff4de4fa12658886beafa336c2

혹시 5080 추천해주신 것의 동급으로 블랙 모델도 추천해주실 제품이 있으실까요?
나머지 구성이 다 블랙으로 잘 구성되어 있어서 여쭤봅니다.
manymaster
25/07/03 14:03
수정 아이콘
5070 Ti에서도 추천했었던 게이밍 프로( https://www.compuzone.co.kr/product/product_detail.htm?ProductNo=1207819 )가 괜찮아보이네요.
종합백과
25/07/03 15:15
수정 아이콘
잊지않고 추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karlstyner
25/07/03 16:42
수정 아이콘
DLX21도 좋은 케이스긴 한데 컴퓨터에 이왕 500가까이 들이는 김에 케이스에 30정도 투자할 수 있다면 리안리, 프랙탈디자인, 안텍, be quiet, NZXT 정도에서 디자인 마음에 드는걸로 골라보세요.

DLX21도 더 비싼 케이스에 크게 뒤쳐지지 않는 좋은 케이스지만 20~30만원대 케이스하고 같이 두고 보면 마감이나 재질차이가 좀 느껴집니다.
종합백과
25/07/03 17:37
수정 아이콘
아직 견적만 부탁드리고 마음의 준비가 안되어서 ㅜㅜ

일단 군침만 흘리고 있습니다. 거금이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0674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3670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3319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6425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8312
181047 [질문] 둘중 한명의 선수로 살아볼수 있으면 누가 더 매력적이세요? [4] 마르키아르222 25/07/03 222
181045 [질문] [사진첨부] 해당 나무의 이름이 뭘까요..? [1] 해버지799 25/07/03 799
181044 [질문] 원피스는 만화와 애니가 동시 진행일까요? [4] 회색사과903 25/07/03 903
181043 [질문] 위내시경 비수면으로 하면 큰일날까요....? [44] EnergyFlow2105 25/07/03 2105
181042 [질문] 사진보관용 외장하드에 대해질문드립니다. [9] 천우희1942 25/07/03 1942
181041 [질문] 뇌전증(간질) 약은 하루 12시간 간격을 꼭 지켜야하나요? 30분-1시간 정도 약 먹는게 늦어지면 위험한가요? [4] Succession2309 25/07/02 2309
181040 [질문] 정말 오래된 차인데 와이프 출퇴근용으로 타려합니다.이런 저런 질문즘 드립니다 [6] 하이킹베어2431 25/07/02 2431
181039 [질문] 선물용 양주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우엉징아리2339 25/07/02 2339
181038 [질문] PC 견적문의 드립니다. [9] 종합백과1620 25/07/02 1620
181037 [질문] 옷(브랜드) 관련 질문입니다. [15] AquaMarine1163 25/07/02 1163
181036 [질문] 인터넷 전화기에 블루투스 이어폰을 사용하고 싶습니다. [2] 귀여운호랑이575 25/07/02 575
181034 [질문]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 1인당 최대 30만원 환급 [6] 유포늄1739 25/07/02 1739
181033 [질문] 붕괴 스타레일 질문.. [4] 속보824 25/07/02 824
181032 [질문] PC에서 무선으로 쓸 게임패드 추천 부탁드려요! [18] 꽃이나까잡숴1274 25/07/02 1274
181030 [질문] 노래를 찾습니다. [2] JoyB1838 25/07/01 1838
181029 [질문] [연애] 도대체 거절 후 이런 문자를 왜 보내는걸까요? (장문 주의) [32] 쿠쿠다스5828 25/07/01 5828
181028 [질문]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있습니다. 아파요 흑흑 [8] 가이브러시2737 25/07/01 2737
181027 [질문] 세컨카로 캐스퍼 vs 베뉴 [13] 로켓2620 25/07/01 26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