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6/25 10:30:23
Name 지나가는사람
Subject [질문] 안전한 투자에 관한 질문입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투자를 한다고 했을 때

1. 원금은 보장되어야 함
2. 자금은 언제든지 뺄 수 있어야 함.
3. 투자액수는 3~5억
4. 이율은 최대한 높은 걸로

챗GPT에서는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장 적합한 것이(이율 등)
RP형 CMA라고 답을 하는데요 (이율 약 2%대)

이것 외에 다른 적합한 투자가 있을까요?
그리고 RP는 예금자보호도 되어있지 않는데 해당 회사가 망해도 원금보장이 되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바위꿈틀
25/06/25 10:37
수정 아이콘
1,2번 조건을 만족시키려면

저축은행 예금자보호한도로 정기예금 1년만기 4700씩 나눠 넣어놓는게 제일 안전합니다

아니면 그냥 이율높은 파킹통장
25/06/25 10:41
수정 아이콘
잘 모르지만 은행에서 주체하는 파킹형 통장 3%대로 알고 있는데 확인해 보시죠~
25/06/25 10:42
수정 아이콘
저축은행 수시입출금 계좌는 지금도 2.5%~3.0% 수준이니 예금자보호한도만큼 나눠서 가입하면 되긴 합니다. 계좌개설이 텀이 필요해서 여러개 만들려면 시간이 걸리겠지만요. 9월부터 예금자보호한도가 1억원이되니 3~5개만 가입하면 되겠네요.

개인적으로는 원금보장조건 이게 끼면 수익성이 리스크제거하는 효용대비 너무 떨어진다고 봐서 전액 예금몰빵은 추천안드리긴 합니다만은..
어쨋든 금융상품조건을 넘어 회사망하는것까지 고려하는 원금보장을 원하면 국가가 보장하는 상품밖에 없죠.
로즈엘
25/06/25 10:43
수정 아이콘
언제든지라는 조건이 약간 널널하다면 미국 단기 채권 etf도 고려할만하다고 봅니다. 금액 변동 거의 없고 배당금은 CMA 통장보다 약간 높은 편이니. 근데 환율 리스크가 있겠네요.
덴드로븀
25/06/25 10:48
수정 아이콘
1번을 포기할수없으면 [정기예금]말곤 딱히 답이 없죠.
RedDragon
25/06/25 10: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정기예금 금리보다 조금 더 받을 수 있는 초단기 채권 ETF 추천드립니다.
KODEX 단기채권PLUS 1년 기준 약 3.5% 정도 됩니다. 제시해 주신 조건 다 만족하면서 정기예금보다 약 0.8 ~ 1% 정도 금리가 더 높다고 보시면 됩니다.
https://finance.naver.com/item/main.naver?code=214980#

혹은 위에 로즈엘님 처럼 미국 초단기 채권도 괜찮습니다. 미국이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기 때문에 대표 초단기 미국채인 SGOV 기준으로 4.5% 정도 됩니다.
https://kr.investing.com/etfs/sgov

KODEX 단기채권은 가격에 반영되고 (수수료가 거의 없다고 보면 됨), SGOV는 배당으로 줘서 배당 이자세가 나오기 때문에 실제로는 4.5% 에서 15.4% 의 세금을 띠고 입금이 됩니다. 그리고 달러로 사야되기 때문에 환율 변동으로 실제 이익이 바뀔 수 있습니다.

이거저거 신경 안쓰실거면 국채 초단기 채권 ETF 사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두지모
25/06/25 11:11
수정 아이콘
위에 분은 채권을 추천하셨고 저도 저라면 채권을 사겠지만 원금보장을 100%원하시면 채권은 하지마세요. 원금 보장을 100%원하시면 예금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채권은 안전한 채권을 할 경우에 99%이상은 되겠지만 100%는 아닙니다.
엘브로
25/06/25 11:16
수정 아이콘
해당 지역에서 사람들이 선호하는 아파트 투자가 나을듯 합니다.
지금만나러갑니다
25/06/25 11:27
수정 아이콘
채권도 100%가 아니니 CMA나 채권도 답은 아니고, 그럼 그냥 저축은행 예금 밖에 없습니다.
그건 투자가 아니죠.
파고들어라
25/06/25 11:51
수정 아이콘
1과 2를 동시에 만족 시키면 이자율이 급감해서 문제네요.
그리고 3~5억이면 이자로 인한 세금 문제도 생각하셔야겠는데요?
보통은 국채가 (ETF말고 실물) 베스트겠지만 이것도 길게 봐야 하는 물건이고 즉시 인출이 어렵다는게 문제.
25/06/25 12:29
수정 아이콘
1번이 투자랑 반대되는 개념이라서요 크크크크
1번 비중이 문젠데 원금이 절대적으로 보장 되어야한다면
진짜 정기예금말곤 없을겁니다.
로하스
25/06/25 13:36
수정 아이콘
222 원금이 보장되는 투자라는건 흐흐
25/06/25 12:35
수정 아이콘
1-2-3번을 모두 충족하는건 사실상 정기예금 뿐인데

5천씩 나눠서 증권사 RP CMA에 넣는게 베스트가 아닐까 합니다

RP CMA 도 5천까지 보호될꺼에요 아마
유료도로당
25/06/25 13:37
수정 아이콘
USDT가 망하지 않을거라고 믿는다면 좀더 높은이율(9%정도?)의 예치가 쉽게 가능하긴한데 이 역시 해당 거래소 망함 이슈가 있긴하지요. 더 현실적인 리스크는 환율 하락이긴 하고요 흐흐

원화 예치는 더 열심히 찾아보기 귀찮아서, 연 2.3%이자를 주는 케이뱅크 파킹을 애용합니다.
꿈트리
25/06/25 14:00
수정 아이콘
증권사 발행어음이 이율이 좀 더 높을겁니다.
미래에셋 같은데가 망할 일은 없을테니까요.
25/06/25 15:28
수정 아이콘
수익률은 리스크에 비례하는데 1항 2항에서 리스크를 0으로 설정하셨으니 인플레이션 포함 기대수익률 0 이상의 상품은 없을 겁니다
Chandler
25/06/25 16: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연금저축펀드하고 irp에 1년에 돈 600 300씩 넣으시고 소득세액공제받으세요 이거만 해도 바로 수익률 10퍼센트 보장

근데 대신 저 돈은 55세 이후에 5.5퍼센트 연금소득세 내고 꺼낼 수 있는 돈이 됩니다

저 계좌 안에서 원금보장형 상품하시면 되죠. irp는 저축은행 예금 가능하구요 연저펀에선 금리형 etf 상품들(cd금리)사면 되죠
25/06/25 16:46
수정 아이콘
제가 발행어음 달러로 하고 있긴합니다만 원금 보장은 아닙니다.
이오니
25/06/25 18: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2 만족하는 게 정기예금...이죠.
3년은 계산하기 힘드니까....

그냥 1년으로 계산했을 때, 얼마를 이자로 받고 싶으신가요?(세전기준)
무로이
25/06/25 20:02
수정 아이콘
우체국 정기예금 추천합니다.
25/06/26 09:20
수정 아이콘
예적금빼고 원금보장되는게 있나요? 채권 rp도 원금보장이 안되는데
지나가는사람
25/06/26 10:43
수정 아이콘
모두들 답변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대로 1,2번이 들어가면 투자가 될수 없네요
사실 이율도 2프로만 넘어도 괜찮을 것이라 생각되어서요
수시입출금이 가능하려면 파킹통장이나 cma가 적합한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1128 [질문] 노트북에 터치스크린이 있으면 유용한가요? [8] + Karolin510 25/07/14 510
181127 [질문] 무이자 할부 많은 카드 추천 부탁 드립니다. [3] + 무명헌터479 25/07/14 479
181126 [질문] PPT 특화되어있는 AI? 종류 추천 부탁드려요! [5] + 요아정1153 25/07/14 1153
181125 [질문] 헬로우 애너하임! [4] 단지우유1664 25/07/13 1664
181124 [질문] 부모님이 쓰시기 좋은 튼튼한 유선 이어폰 추천 해주세요. [6] + 44년신혼2년1653 25/07/13 1653
181123 [질문] 8월에 일본 삿포로 여행을 3박 4일로 가는데요 [5] + 아이폰15pro1857 25/07/13 1857
181122 [질문] 갤25 플러스, 단통법 폐지 전에 살까요, 폐지 후에 살까요? [1] 광개토태왕1912 25/07/13 1912
181121 [질문] 화면을 꺼도 작동하는 카메라앱 추천 부탁드립니다. [1] + 콩돌이1192 25/07/13 1192
181120 [질문] 핸드폰 교체 / 고가요금제 3개월 유지 조건 [6] Azure_856 25/07/13 856
181119 [질문] 폴드7, 사전예약이 좋을까요 단통법 철회 이후에 구매가 나을까요? [3] 시린비1017 25/07/13 1017
181118 [질문] 보르조이의 아오오니영상을 찾고 있습니다 [1] 카오루906 25/07/13 906
181117 [질문] LCK나 혹은 국제대회 도핑테스트는 어떻게 하나요? [2] 클레멘티아1128 25/07/13 1128
181116 [질문] XBOX PC 게임패스 다운로드 속도 문의(0x800704C6) sangbung2834 25/07/13 834
181115 [질문] 걸그룹 탑티어 보컬은 누가 있을까요? - 2000년생 이후 조건 [12] + MoonWatch1807 25/07/13 1807
181114 [질문] 매장에서 사용할 핸드폰을 구입하려고 합니다. 고요1694 25/07/13 1694
181113 [질문] 5살 아이랑 겨울 여행 나트랑 vs 푸꾸옥 어디를 더 추천하시나요? [8] 기억의습작1703 25/07/12 1703
181112 [질문] 탈원전과 함께 에어컨 사용 금지법이 시행된다면? [11] 수지짜응2230 25/07/12 2230
181111 [질문] 요리 빡고수분 계신가요(김치질문) [7] 불대가리2925 25/07/12 2925
181110 [질문] 운전자 보험은 새로 드는 게 좋나요? [9] 빼사스3973 25/07/12 3973
181109 [질문] [POE1] 아틀라스 노드 관련 질문입니다! 일월마가2727 25/07/11 2727
181108 [질문] 컴퓨터를 새로 맞추려고 합니다 [2] 아기호랑이3075 25/07/11 3075
181107 [질문] 공부 잘 하는 법 있을까요? [20] 사계4921 25/07/11 4921
181106 [질문] 영화 슈퍼맨 9살 아이와 봐도 될까요? [6] 황신강림3218 25/07/11 32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