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6/19 21:44
레버리지 있죠. 레버리지는 어떤상품이나 가능힙니다.
ETF 채권에 주로 있는건 채권금리 하락에 배팅해서 차익을 더먹는 건데요. 채권금리와 채권가격의 상관관계 한번 공부해보세요.
25/06/20 01:06
채권도 주식처럼 레버리지가 가능하냐고 묻는거라면 가능합니다.
레버리지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현물+선물, 현물+rp 계약 등이 있습니다.
25/06/21 09:42
돈을 빌려서 채권을 사고 만기때 따갚되 하겠다는 걸까요. 주식은 그나마 기본 개념은 어거지로 이해했는데 채권 너무 어렵네요; 말씀하신 키워드들 공부해보겠습니다..
25/06/20 10:10
맞지는 않겠지만 대충 이야기하면, 내가 가진 돈의 두배 세배 혹은 몇배를 투자하는 것입니다.
물론 빌려서요. 투자 실패하면 내가 오롯이 감당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죠.
25/06/21 09:43
레버리지 개념 자체가 따갚되, 못 따면 내가 갚아야하는.. 시스템일 것 같은데 채권에서의 개념도 아리송하고 왜 추천되는 건지는 더 아리송하네요
25/06/21 09:45
마법의 연금 굴리기에서는 K-올웨더라고.. 주식과 채권에 분산해서 자산배분하라는 개념을 제안하던데 주식은 제가 아는 것 중에는 가장 안전해보이는 S&P etf와 코스피 etf를 추천하던데 채권은 뭔가 위험해보이는 1.3배 레버리지 채권이어서 아리송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