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5/29 09:58:28
Name 꽃비
File #1 KakaoTalk_20250529_095306830.jpg (474.1 KB), Download : 632
File #2 KakaoTalk_20250529_095306830_01.jpg (472.6 KB), Download : 632
Subject [질문] 수행능력은 늘었는데, 근육량이 안 늘어납니다.




2023년경 컨벤셔널 데드리프트(땅데드), 하프스쿼트 90~100kg 정도 하다가

지금은 두 개 모두 1RM 155kg 정도까지 올라왔는데

인바디상 근육량이 계속 32kg 내외로만 찍힙니다(최저 31.7~최대32.3)

다리는 실제로 굵어졌고 단백질 보충제도 적정량 챙겨먹고 있으며(보충제를 챙겨먹기 시작하면서 수행능력이 좋아졌습니다.)

횟수 등 수행능력도 좋아졌는데 이럴 수 있는지 궁금하네요.

이게 인바디의 오차인지, 노가다 요령이 생기듯이 밸런스가 맞아져서 정말로 근육량 증가 없이 수행능력만 좋아진 것인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HA클러스터
25/05/29 10:03
수정 아이콘
안쓰는 부분의 근육이 줄고 쓰는 부분의 근육이 늘어나서 총합은 그대로인 경우도 있습니다
25/05/29 10:17
수정 아이콘
그렇다기엔 요즘은 하체 위주로 하지만.. 상체까지 주 4~5일 할때도 근육량은 항상 비슷하더라고요.
이빨곰
25/05/29 10:13
수정 아이콘
프로그램이 근신경 위주라면 증량은 되는데 근비대는 안될 수 있습니다.
무게를 낮추고 볼륨을 더 높여보시는 게 어떨까요
25/05/29 10:18
수정 아이콘
볼륨을 높이라 하심은 횟수를 늘리라는 말씀이신가요?
슬래쉬
25/05/29 10:22
수정 아이콘
무게 x 횟수 가 볼륨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25/05/29 10:2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슬래쉬
25/05/29 10:27
수정 아이콘
파워리프팅은 협력근의 사용이 중요해서...
그리고 근육량이 늘어나려면 체중도 늘어나셔야 합니다...
25/05/29 12:37
수정 아이콘
그렇다기엔.. 체중이 1년간 6~7kg쯤 불었는데도 똑같습니다 크크
슬래쉬
25/05/29 12:45
수정 아이콘
앗... 
근비대 트레이닝으로 바꿔보세요
저 정도 무게 치시면 하체 하실때 볼륨 20000 키로는 나올것 같은데
랜슬롯
25/05/29 10:40
수정 아이콘
어우 중량 잘치시네요.

스포츠의학박사님의 의견을 본 기억이 나는데, 일단 그 중량에서 근신경계가 더더욱 발달해서 수행능력이 늘어나는건 어렵고,
본인이 느끼지 못했다 or 그게 수치로 드러나지 않았을뿐이지 어느정도 근육이 늘긴하셨을껍니다 (그 중량에서 수행능력이 좋아졌다면)

다만 체크해야할 부분은 윗분들 말씀대로

1. 자세점검 (써야할 근육들 위주로 썼는가, 고립)
2. 단백질 뿐만 아니라 칼로리 인테이크를 200~300이상 충분히 잘 먹고 있는가 (윗분 말씀대로 결국에 근육이 늘려면 반드시 어느정도 체중도 늘어나야해서)
3. 살짝 베리에이션 운동들을 가져가보기 (2분할일경우 하루가 프리웨이트 중심이라면 다른 하루를 머신위주로 해본다던가)

정도인거같습니다. 기본적으로 저정도 중량에 수행능력 늘어나고 있다면 사실 잘먹고 잘자고 스트레스 안받고 3가지만 하셔도 근육늘고 있다고 보는게 맞을겁니다.
25/05/29 12:34
수정 아이콘
요령이 늘어난 거 아닐까요? 그럼 같은 근육량으로 효율이 올랐으니 좋은 거 같은데...
25/05/29 12:50
수정 아이콘
무게는 충분하니 자극에 더 신경을 쓰시면 좋을것 같아요. 최대 수축 지점에서 잠시 멈춰주는 세트들도 섞는다든지
시무룩
25/05/29 13:18
수정 아이콘
저는 스쿼트는 100x10x10 훈련이 효과가 좋았습니다
근비대도 그렇고 증량도 도움이 됐구요
물론 이걸 처음부터 한번에 해내는건 불가능하고 될 때 까지 하면서 10x10 달성할 때 까지 하는거죠
다만 이게 굉장히 힘들고 지겨워서 좋아하는 훈련은 아닌데 여태 해본 모든 훈련 중 가장 효과는 좋았습니다 크크
저도 평소에는 중량 위주로 훈련을 하는데 익히 알려진대로 중량 훈련으로는 근육량이 거의 안늘더라구요
디스커버리
25/05/29 13:31
수정 아이콘
인바디는 기계마다 중구난방이라 눈바디가 더 맞다고 생각하는편입니다.
수행능력 증가에 의의를 두시는게 어떠신지요
Chrollo Lucilfer
25/05/29 14:15
수정 아이콘
그냥 단백질 좀 챙겨 먹는 정도로는 크게 기대 하기 어렵고
주위에서 운동 잘 모르는 사람이 볼 때,
얘는 운동 한다더니 무슨 쳐묵쳐묵만 하네 소리 나올 정도로
많이 먹어줘야 됩니다.

매끼니와 간식 때 단백질은 기본이고, 탄수화물도 충분히. 지방도 필요한만큼. 영양 배분 및 간식 포함해서 하루에 대략 4~5끼를 먹어줘야 돼요. 운동보다 챙겨 먹는게 더 힘들 정도로.
25/05/30 03: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보통 근신경이 발달하면서 근육량 증가 없이 수행능력이 증가하는건 초보자 시절에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라 알고 있는데 이 정도 무게에서 특히 고중량 저반복을 하시는데 나타나는건 좀 특이해 보이네요. 데드리프트는 아마 악력이 느셔서 그런 걸 수도?

저라면 근비대를 노린다면 현재 프로그램에서 웜업용 저중량 부분의 반복 횟수를 줄이고 스트롱리프트 식으로 고중량의 횟수와 세트를 좀 늘리는 시도를 할 것 같긴 합니다.
25/06/01 01:26
수정 아이콘
눈바디로 더 굵어졌으면 인바디는 의미 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0880 [질문] 차 앞 유리 얼룩제거 [7] Right1980 25/06/16 1980
180879 [질문] 이메일주소에 점 넣어도 아무 문제가 없나요? [14] beloved2582 25/06/16 2582
180878 [질문] 요한요소해석(Silvaco)에 사용할 워크스테이션을 추천부탁드립니다 [8] Photonics1528 25/06/16 1528
180877 [질문] 리듬게임 질문드립니다. [10] 김카리1492 25/06/16 1492
180876 [질문] 스타 해설 멘트중 제일 웃겼던거 뭘로 기억하시나요??? [34] FlutterUser2232 25/06/16 2232
180875 [질문] 동호회에 나가고싶어요(데이클래스) [7] 기술적트레이더2169 25/06/16 2169
180874 [삭제예정] 삭제합니다ㅠ [3] 삭제됨3100 25/06/15 3100
180873 [질문] 배관매립형 아파트에 일반배관 에어컨 구입 괜찮을까요? [2] 디에아스타2854 25/06/15 2854
180872 [질문] 자전거 라이딩 문화 질문입니다 [13] 니체3771 25/06/15 3771
180871 [질문] 백일때 부모님 친지들 모시고 갈만한 부산 남구 해운대 식당 좋은곳 있을까요 [4] 옥동이2996 25/06/15 2996
180870 [질문] ios26 시각지능지원을 다운로드 중입니다 [4] 영호충2608 25/06/15 2608
180869 [질문] LPL 스플릿 1,2는 우승으로 안친다는 말이 있는데 진짜에요? [8] 마술의 결백증명2645 25/06/15 2645
180868 [질문] 컴퓨터 전원부가 너무 헐겁습니다 [2] 밥과글2863 25/06/14 2863
180867 [질문] 야구에서 구종의 피안타율의 분모는 무엇인가요? [3] SaiNT2594 25/06/14 2594
180866 [삭제예정] 여친이 귀찮을 때 어떻게 하시나요? [23] 삭제됨5040 25/06/14 5040
180865 [질문] 무과금으로 할만한 모바일 rpg류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55만루홈런5247 25/06/13 5247
180864 [질문] 일반 스피커에 비해 듀얼 센스에 있는 스피커를 사용하면 게임에 있어 이점이 있나요? [3] 카페알파4093 25/06/13 4093
180862 [질문] [해축] 이번 시즌부터 이피엘, 챔스 둘다 보려면 이중 지출 맞나요? [9] WhiteBerry3575 25/06/13 3575
180861 [질문] [축구] 손흥민은 세계 모든 나라에서 국대가 될 수 있을까요? [18] IPhone 17 pro4967 25/06/13 4967
180860 [질문] [KBO] 이 두 팀중에 페넌트레이스 리그 기준으로 누가 더 강팀이었나요? [7] 요하네스버그2850 25/06/13 2850
180859 [질문] 공유기 질문 드립니다. [3] LightBurn1941 25/06/13 1941
180858 [질문] 스위치2 사신분 악세사리 뭐 사셨나요?? [16] 본좌2310 25/06/13 2310
180857 [질문] 이별한 사람을 좋게 기억하기 VS 나쁘게 기억하기 [20] Polkadot3237 25/06/13 32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