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5/07 14:44:50
Name 콩알이
Subject [질문] 자동차 구입 문의 (수정됨)
50대 아재가 (아마도 마지막) 차량을 구입하고자 합니다. 70대 되면 면허반납 해야겠지요...
현재 타는 차는 선친께서 물려주신 SM5 인데, 20년이 넘어서 언제 퍼질지 쪼끔 불안하더라구요.

승차감, 하차감 별로 따지지 않고,
그냥 (차에 대해 신경 쓰고 싶지 않아서) 무난한
소나타/그랜져/K5/K8 중에서 하나 고르려고 합니다.
예산은 4000~4400만원 정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외곽이라 차 없이는 생활하기 불편하고, 년5000~7000km 정도 운행합니다.

궁금한 점은 ;

1. 차를 살 때는 전시장 찾아가서 "안녕하세요, 그랜저 한 대 주세요~" 이러면 되는 건가요?
   (아는 영업사원도 없고, 차를 처음 사봐서요...) 특히 주의할 점은 뭐가 있을까요?

2. 기아가 현대에 비해 정비 편의성이 떨어지나요? 차이가 클까요?
    (르노는 서비스 센터가 적어서 불편하더라구요)

3. 구입후, 소나타/K5(2000cc)와 그랜져/K8(2500cc) 사이에 유지비 차이가 많이 날까요?
   (매년 내는 자동차세는 13만원 정도 차이 나네요)

4. 현재 타는 차가 워낙 구려서 그런지 옵션이 별로 필요없어 보이던데,  깡통으로 사면 후회될까요?

일해라~ 절해라~ 마구마구 참견해 주세요.


- 추가 사항 -

1. 가족은 이제 마눌님만 모시면 됩니다.
2. 근처에서 장보거나,
   경기도 외곽에서 서울 어머님 댁에 갈 때 가장 많이 차를 사용합니다(편도 50km, 시골길+시속60~70km정도+서울시내 각 1/3정도).
3. 캠핑은 안 갑니다. (지금 사는 곳이 촌이라서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정채연
25/05/07 15:09
수정 아이콘
가족분이 있으신지, 고속도로 위주인지 시내주행 위주인지, 캠핑은 하시는지 등등 얘기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콩알이
25/05/07 15:20
수정 아이콘
내용 추가했습니다.^^
덴드로븀
25/05/07 15:10
수정 아이콘
1. 네. 그런데 대리점에서 바로 사면 혜택/할인 등을 잘 안챙겨줄수있어서 보통 신차살땐 다나와 자동차, 까페, 뽐뿌 등등에서 인터넷 영업사원들에게 견적을 요청해서 할인이나 서비스를 비교해보고 고르는 편입니다.
2. 비슷합니다.
3. 연간 1만km 가 안된다면 연비로 인한 유류비 차이는 몇십만원 정도라 무시해도 되는 수준이긴 합니다.
4. 깡통사도 후회할일은 크게 없긴 한데 [이왕이면] 병을 회피하고 [왜그거뽑았냐] 오지라퍼 흘리기 처리 난이도가 상당히 높아집니다.

5. 어차피 10년이상 탈거면 깡통보단 인스퍼레이션 / 캘리그래피 트림을 고르는게 좋긴 합니다.
깡통 대비 천만원 차이여도 10년으로 나누면 연간 백만원만 내면 되는거라는 기적의 계산법(...)이 가능하니까요.
콩알이
25/05/07 15:2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1. 인터넷 견적요청을 알아봐야 겠습니다.
2. 기아차도 무난하군요.
3. 네
4. 제가 친구가 별로 없어서 큰 문제 없을 거 같습니다.
5. 고려해 보겠습니다.
시무룩
25/05/07 15:16
수정 아이콘
2. 거의 비슷합니다
집이나 회사 주변에 오토큐가 많냐 블핸이 많냐로 좀 갈릴 수는 있는데
현대랑 기아랑 차 구조도 비슷하고 부품도 공유하는게 워낙 많고
판매량도 비슷하다보니 수리 관련해서는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현대차를 오토큐에서, 기아차를 블핸에서 수리하는 것도 가능하구요
제 차도 현대차인데 간단한 수리 정도는 회사 앞에 오토큐에서 받아주더라구요

3. '많이'의 기준이 사람마다 달라서... 모르겠네요
개인적으로 연 5천이면 유류비 차이는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수준이라 생각해서 저라면 그랜저를 사겠습니다

4. 저도 이전 차량이 오래됐고 옵션도 거의 없다보니 그렇게 생각했는데 옵션 괜찮게 달린 차를 사보니 생각이 확 달라지더라구요
확실히 있어도 안쓰는거랑 없어서 못쓰는건 천지차이니 무리해서 추가하는거만 아니라면 옵션 많이 다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나중에 중고로 팔 때도 옵션 많은게 더 유리하구요
콩알이
25/05/07 15:25
수정 아이콘
2. 기아도 적극 고려해봐야겠습니다.
3. 네
4. 경험담 감사드립니다.
마카롱
25/05/07 15:19
수정 아이콘
3. 요새 ai가 이런 비교는 잘합니다. 대략 년 81만원 정도 유지비 차이가 발생합니다.
콩알이
25/05/07 15:2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월7만원 정도네요.
붉은벽돌
25/05/07 15:20
수정 아이콘
자동차 편의 옵션이라는게 없다가 있을 때는 잘 모르는데 있다가 없으면 역체감이 심하긴 합니다.
생각하고 계시는 차종들은 풀 옵션 선택하지 않고 중간 트림 + 안전 위주 추가 옵션만 골라도 옵션 값은 할 것 같습니다.
콩알이
25/05/07 15: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지금도 주차할 때는 창문 열고 고개 내 밀어서 하는데,
비 오는 날은 불편하더라고요.
그런데 이게 또 일년에 두세번이라, "서라운드 뷰" 이런게 필요할 까 싶기도 하고 ...
고민의 연속 입니다.
감사합니다.
카페알파
25/05/07 16:45
수정 아이콘
운전자 분들의 운전 스타일이나 실력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개인적으로 저는 '써라운드 뷰' 는 다음에 차를 바꾸게 되더라도 꼭 넣고 싶은 옵션입니다. 주차할 때 뿐 아니라 좁은 곳을 빠져나갈 때도 요긴하고요. 특히 건물에 따라 지하 주차장 나선형으로 내려갈 때 좀 좁은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도 유용합니다. 저도 몇 번 도움을 받았고요. 반대로 HUD 는 다음에 차 바꿀 때 고민을 많이 하게 될 것 같습니다. 처음 해보는 거고 칭찬들이 자자해서 넣어 봤는데, 그렇게 유용한 줄 모르겠더군요. 뭔가 그럴 듯해 보이긴 하는데, 제겐 그게 답니다. 차라리 계기판이나 내비 보는 게 더 편하고 정보도 더 많이 주고요. 뭐, 어쨌든 있던 게 없으면 허전하니 차를 바꾸더라도 넣을 가능성이 크긴 하겠는데, 후순위로 미룰 것 같습니다. 그리고 뭔가 가까이 접근했을 때 알려주는 장치도 필수인 것 같습니다. 솔직히 너무 멍청하고 예민해서 짜증날 때도 있는데, 그래도 최소 1~2번 정도 이상은 그 장치 덕에 사고를 면한 것 같아서......
붉은벽돌
25/05/07 19:32
수정 아이콘
그랜저 최저 트림인 프리미엄 기준으로 서라운드 뷰를 넣으려면 서라운드 뷰만 추가하는게 아니라 패키지로 측방 주차 경고, 후방 주차 충돌 방지 등의 안전 옵션이 함께 들어갑니다.
서라운드 뷰 같은 옵션이 필수는 아니지만 어쨌든 있으면 편하고, 함께 들어가는 안전 옵션은 사고 한번만 막아줘도 돈 값 하는 거니까 충분한 예산으로 중형~준대형 차량 보고 계시는 상황에서는 굳이 깡통으로 가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저희 아버지도 10년 넘게 SM5 모시다가 환갑 맞으면서 그랜저로 차를 바꾸셔서 남 얘기 같지가 않네요.
가끔 아버지 차를 몰 일이 생기는데 SM5보다는 그랜저가 확실히 커서 차 바꾼 직후에 보조 옵션 없었으면 꽤 피곤했을 것 같긴 합니다.

모쪼록 맘에 드는 차 오래오래 타셨으면 좋겠습니다!
콩알이
25/05/07 20:02
수정 아이콘
경험담 적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꼬마곰돌고양
25/05/07 15:27
수정 아이콘
그랜저 풀옵 하셔서 오래 타세요.
너무 크다 싶으면 K8 풀옵
콩알이
25/05/07 15:3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5/05/07 18:24
수정 아이콘
그랜져보다 K8이 지금 더크다는..
25/05/07 15:31
수정 아이콘
0번 해당차종 카페를 돌면서 정보 수집 및 모델, 옵션 선택

서비스 수준 검색후 본인에게 맞는 서비스(?) 선택

1. 현대, 기아 검색하면 지점 인지 대리점인지 나옵니다. 
대리점을 찾아가셔서. 쇼부를 보시면 됩니다. 

모델 및 옵션까지 다 정하고 가셔서. 

썬팅이나 이런거 작업 따로 하실꺼 아니면 블랙박스 및 선팅 브랜드및 등급 까지 정해서 가시는게 서로 말 길게 할께없어서 괜찮습니다. 

차 계약 할려는데 서비스는 어느정도 까지 됩니까. 라고 대놓고 물어보시면 됩니다. 
콩알이
25/05/07 15: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0. 오늘 밤 해당차종 카페를 돌아보겠습니다.

1. 지점이 아니라 "대리점"을 찾아야 하는 거네요.
그렇다면 인터넷에서 견적 받고, 그 가격을 기준으로 대리점에서 "대놓고" 쇼부를 봐야겠습니다.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5/05/07 15:33
수정 아이콘
요즘 외산 부품 사용이 많아지면서 부품대가 올랐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국산차 수리비가 넘사벽으로 저렴한지라 보증 끝나고 나서도 큰 돈 들어갈일이 잘 없습니다..
보통은 자동차가 퍼지는 것보다 사람이 먼저 나가 떨어지는데 그마저도 기존 차량 길게 이용하셨다고 하니 기변증 오실 일은 없어 보이고요.

본문에서 언급해주신 예산을 보니 2.5 자연흡기로 가시면 차량 운행에 필요한 옵션들 왕창 가져가실수 있을거고
1.6 터보 하이브리드로 가시면 좀 많이 빠듯하거나 옵션 아예 못넣으실겁니다.

참고로 2.5나 1.6 터보 하이브리드나 중고속 순항 연비는 거의 차이가 없고, 시내 운전시에만 모터 어시스트로 인한 연비 및 주행 질감이 차이가 나는데
연 주행거리가 워낙 적으셔서 연비로 생기는 금전적 이득은 거의 없으실테니 둘 다 시승해보시고 결정하시면 됩니다.
콩알이
25/05/07 15:3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시승도 알아보겠습니다.
카페알파
25/05/07 15:39
수정 아이콘
순항 연비가 차이가 없나요? 그랜저 하이브리드 고속도로 주행시에 20 넘거나 조금 안 되게 찍히는 정도인데, 2.5 가 이 정도는 안 나오지 않나요?
25/05/07 17:05
수정 아이콘
2.5가 크루징 연비 생각보다 괜찮습니다.
막히면 7~9km, 안막히면 17~19km도 그냥 나와요.

다단화 변속기 때문에 그런것도 있지만 차 무게랑 배기량 생각하면 황당할 정도로 잘 나오죠.
대신 힘이 워낙 달려서 밟아도 안나가고 안밟으면 당연히 안나가는..
카페알파
25/05/07 15:37
수정 아이콘
1.일반적으로는 매장에 가시면 딜러분이 나오실 겁니다. 그러면 차에 대한 설명이라든지 구입시 혜택이나 그런 거 물어 보시면 되구요. 한군데 가시는 것보다는 2~3 군데 이상 알아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차종 선택에 있어서는, 택시 타실 기회가 있으시면 택시 운전자분에게 어떤 차가 좋으냐고 물어보셔도 선택에 도움이 되실 겁니다. 어쨌든 차를 모는 게 업이신 분들이니 택시 운전자분들이 입을 모아 좋다고 하는 차들은 최소한 성능이 기본 이상은 합니다. 윗댓글 써 주신 분 말씀대로 관심이 있으신 자동차의 카페나 그런데 가입하셔서 견적을 요청하시는 방법도 있긴 합니다.(차는 전국 어디서든, 누구에게서든 사도 상관 없습니다.)

3. 유지비 중에서 유류비는 "그랜져" 하이브리드가 젤 저렴합니다. 준대형 차량이긴 한데, 배기량이 가장 적은(1.6 터보), 그것도 하이브리드 엔진이라서 연비가 가장 좋구요. 자동차세도 가장 쌉니다. 그 외에도 엔진이 작다 보니 간혹 "어? 준대형인데, 이게 된다고?' 하는 경우가 좀 있습니다. 물론 기본 차량 가격이랑, 보험료, 그리고 각종 부품 가격 생각하면 그랜져가 더 비용이 들긴 하겠지만요. 말씀하신 가솔린 차량으로만 비교한다면 당연히 그랜져가 더 유류비나 그런 것들도 더 나오긴 하겠습니다만......

4. 깡통이라도 기본적인 주행성능은 동일하니 상관 없을 것 같기도 한데, 요사이 자동차는 진짜 오지랖이다 싶을 정도로 이것저것 안전장치가 많이 있으니 적어도 어느 정도 안전에 관한 옵션은 갖추시는 걸 권합니다. 안 그러면 다행이고 좋은 거지만, 대부분은 안전장치 옵션의 덕을 몇 번 보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음악 좋아하시면 오디오 쪽 업그레이드도 고려해 보시는 게 좋구요. 뭐, 사실 이것저것 생각하기 싫으시면 캘리그래피 구입하시는 게 제일 속 편하긴 합니다. 캘리그래피에도 옵션 몇 가지는 선택이니 필요하시다면 하시구요.(썬루프 등)


물론 차 가격이나 등급의 차이가 있는 만큼 아무래도 그랜져가 더 좋은 차량이긴 한데, 요사이는 현대도 차를 잘 만들어서 쏘나타라도 꽤 괜찮은 성능을 보여 줍니다. 어떤 유튜브에서 본 바로는 그랜져냐 쏘나타냐의 선택은 차 성능보다는 본인의 운전 취향에 따라 결정하는 것도 좋다고 하더군요. 중후하고 묵직한 주행을 선호하면 그랜져, 스포티한 주행을 선호하면 쏘나타, 이런 식으로요.

그리고 시승센터를 알아 보셔서 한 번 시승해 보시는 것도 선택에 도움이 되실 겁니다. 시승센터가 여의치 않으시면 요사이는 렌트카로도 많이 풀려있을 것이니 각각 하루나 수시간 정도 렌트하셔서 몰아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고요.
콩알이
25/05/07 15:41
수정 아이콘
1. 역시 발품을 팔아야 싸게 사겠지요.
3. 네.
4. 안전장치와 캘리그래피, 고려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페알파
25/05/07 15:53
수정 아이콘
아, 그리고 한 가지 덧붙여 말씀드리면, 자동차 회사에서 직영으로 운영하는 지점과 위탁받아 운영하는 대리점이 있는데, 이것도 알아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근데, 대부분의 경우는 인터넷 카페 등에서 견적을 물어보는 경우가 가장 혜택이 있긴 할 겁니다). 혜택 준다는 것도 좀 알아보시고 선별해서 받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만, 카마스터도 혜택을 주는 데는 한계가 있으니 받으실 때 이 점도 고려하시고요(예를 들어, 저같은 경우 틴팅을 카마스터가 권하는 것으로 하지 않고 제가 원하는, 조금 더 고가의 것으로 하면서 제가 비용을 조금 더 지불했습니다.). 아무래도 지점보다는 대리점(의 카마스터)이 혜택을 좀 더 줄 가능성이 큽니다. 또 저같은 경우는 택시 운전사분에게 어느 대리점이나 지점이 좋으냐고 물어보기도 했었습니다. 뭐, 결국 차는 그 운전사분이 알려준 곳과 다른 곳에서 구입하기는 했지만요.
콩알이
25/05/07 16:01
수정 아이콘
인터넷 견적 받아서 기준점을 잡아놓고,
지점말고 "대리점" 찾아가서 구매하는 방향으로 잡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덴드로븀
25/05/07 15: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현대 그랜저 2025년형 가솔린 2.5 익스클루시브 (A/T)] 총합 45,867,010원
기본가격 41,930,000
현대 스마트센스Ⅱ +880,000
세금 및 기타 3,057,010

[기아 K8 2025년형 가솔린 2.5 노블레스 (A/T)] 총합 44,282,710원
기본가격 40,260,000
드라이브 와이즈 +1,070,000
세금 및 기타 2,952,710

예산에선 이정도가 최선일것 같습니다.

5500까지 가능하다면 그랜저 2.5 캘리그래피 선택하면 쉽습니다.
콩알이
25/05/07 15: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생각한 것과 거의 비슷합니다.
캘리그래피도 많이 추천하시네요. 고려해 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5/05/07 16:04
수정 아이콘
오래 타실거라면 가솔린에 옵션은 풀옵급으로 추천드리고
구매는 해당 자동차 카페등에 가입해서 영맨 추천해달라고 하면 전화번호 가르쳐주시는분들 많습니다(저도 얼마전에 이렇게 구매)
보통 현금 얼마 돌려주는걸로 많이 하는데요 원하시는 썬팅, 블박하시면 그 금액만큼 빼고 줍니다..
저같은경우는 큰 하자 말고 작은 흠집이나 이런거 큰 신경 안쓰다보니 만나지도 않고 그냥 집으로 바로 받았습니다.
콩알이
25/05/07 16:16
수정 아이콘
소나타 상위 트림+풀옵을 견적 내보니 그랜져 깡통과 가격이 거의 같군요. 아 또다시 고민이 됩니다. 제가 뭐 그랜저를 꼭 타야 하는건 아니라서요.
카페 가입+영맨 추천 방법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저도 자잘한 흠집 따위는 신경 안쓰는 스타일입니다. 댓글에 감사드립니다.
작고슬픈나무
25/05/07 16:36
수정 아이콘
그랜저 풀옵에 썬루프만 빼시면 안전 사양과 편의 사양 다 갖추면서도 좋은 선택이지 않을까 합니다. 풀옵을 타보면 풀옵의 편리함을 알게 되고, 스마트 크루즈나 오토홀드를 써보면 안전과 편함의 비중, 그리고 현대 기술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보게 되더군요.
유류비나 관리비는 크게 차이 없을 듯하고, 대신 의료보험 및 재산세에 미치는 영향은 좀 고려해보셔야 할 듯합니다. 사시는 곳에 땅이나 집을 소유하고 계시면 거기에 더해지는 값이 좀 클 수 있습니다.
그래도 그랜저에 좋은 옵션 달아서 사시기를 추천합니다.
콩알이
25/05/07 20:04
수정 아이콘
그랜저 풀옵은 예산 초과할 듯합니다. ㅜㅜ
건보료는 빠뜨리고 있었네요.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5/05/07 17:12
수정 아이콘
마지막 차라면 어느 차량이든 풀옵이 좋을듯요 크크
콩알이
25/05/07 20:03
수정 아이콘
풀옵 추천이시군요.
감사합니다.
25/05/07 18:26
수정 아이콘
이번달 k8 150만원 할인들어갑니다. 참고하세요
콩알이
25/05/07 20: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기아차가 가격경쟁력이 있는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덴드로븀
25/05/07 19:35
수정 아이콘
그리고 시승하는데 돈들거나 눈치주는거 아니니까
후보군에 있는 차종 모두 넉넉하게 시승해보고 결정하세요
콩알이
25/05/07 20:16
수정 아이콘
네, 시승도 알아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열혈둥이
25/05/07 23:21
수정 아이콘
그랜저에 안전옵션만 몇개추가하는게 제일 베스트겠지만
저라면 k5풀옵 탑니다.

저도 제작년까지 아반떼 깡통 타면서 전혀 불편함없이 살았지만
지금의 오토크루즈라던지 서라운드뷰는 진짜 최곱니다.
잠깐타고 파실꺼면 모를까 오래타실꺼면 풀옵추천드림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0545 [질문] 아이와 함께할만한 모바일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Secundo287 25/05/08 287
180544 [질문] 딥리서치 원탑은 제미나이인가요? [5] 소오강호868 25/05/07 868
180543 [질문] 부모님께 드릴 스마트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13] 면역1479 25/05/07 1479
180542 [질문] 디즈니플러스가 안 되는 문제 [8] 류지나1440 25/05/07 1440
180541 [질문] 자동차 구입 문의 [39] 콩알이2473 25/05/07 2473
180540 [질문] 혈당유산균 상술인가요? [9] 김삼관1822 25/05/07 1822
180539 [질문] 약국에서 구할 수 있는 음주전후 약 추천 부탁드립니다. [7] 7101336 25/05/07 1336
180538 [질문] 33 원정대 엔딩 보신분만(강스포) [5] LeNTE714 25/05/07 714
180537 [질문] 이슈가 되는 사건의 영상등의 원본은 어디서 볼수 있나요? [1] 종이컵926 25/05/07 926
180536 [질문] 자이언츠 피카츄 유니폼 온라인구매는 불가능한가요? [4] 윈터719 25/05/07 719
180534 [질문] 한글 키보드 크트츠프를 저만 엄지손가락으로 치는 건가요? [35] 티타늄2212 25/05/06 2212
180533 [질문] 김민재 삭제건에 대해 [27] 오하이오3724 25/05/06 3724
180532 [질문] 드라이버업데이트 후 모니터 블랙화면 [7] 대통령1961 25/05/06 1961
180531 [질문] 파이썬 초보 질문 해도 되나요? [8] Bard35672765 25/05/06 2765
180530 [질문] 뺑소니 신고했는데 사건경과를 알수 있나요? [1] 마키의신화2452 25/05/06 2452
180529 [질문] 옛날 갤럭시기어 USIM을 다른 폰에 넣어서 쓸 수 있으려나요 [3] 지수1372 25/05/06 1372
180528 [질문] 대구 삼성라이온즈 파크 좌석 홈응원 예매순서? [6] 서쪽으로가자1130 25/05/06 1130
180527 [질문] 네이버 해외 로그인 차단 [2] 어센틱1081 25/05/06 1081
180526 [질문] 당뇨 환자 식사 순서/ 모니터 세로로 쓰기 활용법 [3] 아케르나르584 25/05/06 584
180525 [질문] 마비노기 서버 인원 제한은 언제 풀리나요? [2] EnergyFlow496 25/05/06 496
180523 [질문] 피지알은 사진, 동영상 더 올리게 사이트 개편 어렵나요? [11] 럭키비키잖앙2311 25/05/05 2311
180521 [질문] 자소서 중요성은 어느정도 된다고 생각하시나요? [25] sionatlasia3057 25/05/05 3057
180520 [질문] 오늘 내일 LCK 경기 안하나요..? [12] 엔쏘3053 25/05/05 305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