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JUNG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4/27 08:00:32
Name 라리
Subject [질문] 홀덤 해보신분들 계신가요??
지인 5명끼리 홀덤을 하기로했는데
아마 저녁을 사던지 아니면 나중에 놀러갈때 운전을 하던지 뭔가를 걸고할거같은데

아무튼 그게 문제가 아니라
제가 완전 초보라 팁을 좀 얻고싶어서 질문드려봅니다
나머지분들도 초보시고 딱 한명만 좀 하는걸로
알고있어요

지피티한테 꿀팁을 달라니까

초보면 블러핑을 쓰지말것.
처음 받는 2장에 카드가 AA KK QQ JJ TT 99
이런거 아니면 그냥 바로 던질것.

이라고 알려주더라구요.
근데 싱글 하이카드로도 이기는경우를 꽤 많이봐서
저걸 그대로 따라야할지도 의문이네요.

또 좋은 꿀팁 없을까요?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

"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
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25/04/27 08: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브로드웨이 카드(AKQJ10), 포켓페어 (AA~22)정도만 사용해서 탑페어 이상으로만 플레이하고, 블러핑만 안쳐도 초보수준에선 반은 먹고 들어갑니다
좀더 카드를 사용해보고 싶으시면 A수티드(A가 포함된 같은 문양 2장)정도 일것같아요
블러핑도 굳이 해보고싶다 생각이 드시면 블락커 개념정도 알고가시면 좋을거에요
지드래곤
25/04/27 11:38
수정 아이콘
지인들끼리 재밌게 하는거면 왠만하면 들어가세요. 그래야 재밌죠. 카지노가서 돈걸고 할때는 위에 방식을 따르면되고요.
25/04/28 09:20
수정 아이콘
본인핸드가 어느정도 좋은지 아는것만으로 꽤 큰 어드벤티지라고 생각합니다.
https://m.blog.naver.com/josoblue/220818117518
이야기상자
25/04/28 14:55
수정 아이콘
싱글 하이로 먹는건 블러프를 좀 하거나 상대방 패도 읽어야 해서 초보 입장에선 무리고
위의 조언에다가 포켓(페어) + A, K, Q, J 포함된 수딧(같은 문양),
7이상의 연속된 수딧(ex : 7,8s) 정도는 가지고 갈만 합니다
25/04/28 16:48
수정 아이콘
뇌내망상이지만 10 붙으면 잘먹더라고요 통계적으로  
25/04/28 18:03
수정 아이콘
포켓 + 수딧 정도만 플레이하는 건 9링에서 말하는 겁니다(9명이서 플레이).
6링 이하 그것도 오프라인이면 훨씬 루즈하게 쳐야 합니다. 그리고 지인들끼리 치는 거 + 다 초보시니 거의 다 살아들어올 거고..
그냥 왠만하면 다 치세요 크크 재미 문제도 있으니.. 어차피 꼴찌만 안하면 되는 거 아닌가요? 크크
초보시면 일단 딱 두개만 생각하세요
1. 콜할 바에 베팅한다(첵콜이 최악의 플레이)
2. 핸드의 파워와 판돈의 비율.
예를 들어 빅블라인드가 백원일 경우 판돈이 만원 깔려 있으면 100BB입니다. 이 판돈에다가 상대방이 50BB 베팅했는데 내가 이거 콜해서 원페어로 먹을 수 있을까? 어렵겠죠. 투피? 봉? 이 정도 팟 크기면 거의 내돈이 다 들어가는 거기 때문에 핸드는 최소 투피 이상으로 가야 합니다. 투피라도 사실 뻥카 아니면 못이기는 수준.
30BB 까지는 투피면 좋은 핸드고요. 이 비율은 쇼다운되는 친구들의 카드를 보면서 조절하면 됩니다.
판돈이 20BB인데 쇼다운을 해야 한다, 이러면 원피로도 해볼만 하고요. 투피면 땡큐죠.
하이카드로 먹는 경우는 10BB 이하 상황으로 봐야 합니다.
가끔 1대1 상황에서 상대방이 높은 족보를 노리고 치다가 말랐거나(플랍에서 양차나 포플로 계속 선벳하면서 주도권을 가져가는 경우)
자존심으로 연사를 날리거나 하는 경우에 꽤 큰 팟을 하이로 먹을 수도 있겠지만 위험부담이 좀 있는 거죠.
저도 친구들끼리 가끔 치는데 저희들끼리 하는 말 중에 "뻥카 잡으려다 패가망신한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크크
왠만하면 그냥 믿어주세요 크크
즐겜하세요~!
PARANDAL
25/04/29 02:11
수정 아이콘
전체 분위기 파악이 중요합니다. 루즈한 플레이어가 많으면 타이트하게 타이트한 플레이어가 많으면 루즈하게 플레이하는게 좋아요. 초보들이 많다면 림프인을 자주할텐데 낮은 포켓페어, 낮은 연결된 숫자, 같은 모양을 들고 같이 림프한뒤에 첫 3패만 보고 빠른 선택을 하는것도 좋습니다. 포켓 핸드 순위 검색해보시고 5명이시니 상위 20% 핸드면 처음 베팅부터 레이즈하면 좋구요. 만약에 홀덤을 많이 플레이해본 사람들이 꽤 있으면 인터넷 검색해보시고 정석적인 방법론을 익혀가는게 좋을거에요.
25/04/30 07: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피티 똑똑하네요. 저걸 못 해서 다들 망합니다 크크크크크 저는 99도 안 쓸 때가 많아요.

근데 지인들이랑 칠 때 저렇게 치면 재미없다고 분위기 싸하게 만들기 쉽습니다. 그리고 너무 제한된 핸드 레인지(처음에 두 장 잡는 카드가 강력할 때만 게임에 참여하는 경우)는 상대에게 전략이 모두 읽히기도 하고요.

그러니 그냥 적당적당히 치시되,

첫째. [따라잡아 이길 생각 하지 마시고 이겨놓고 싸우세요]. 나 턴(4번째 바닥)이나 리버(5번째 바닥)에 한 장 붙으면 스트레이트인데! 플러시인데! 이러면서 띄워먹는 싸움 하다가는 순식간에 밑천 다 나갑니다. 만들어놓고 붙어야 합니다.

둘째. [이길 것 같다 싶으면 쎄게쎄게 베팅]하세요. 예를 들어 핸드에 AA 들면 아닌 척 연기해야 상대방이 따라올 것 같을 때가 있습니다. 연기하느라 베팅을 적게 하고, 베팅이 적으니 47 같은 개패들이 우루루 따라들어오면, 이러다가 바닥에 444 깔리고 4든 상대가 노나는 경우가 있어요. 이러면 AA의 멘탈이 찢어집니다. 그러니 내 핸드와 메이드가 강할 때는 강하게 베팅하는 게 정석입니다. 꼬셔먹기, 슬로우 플레이는 초심자에게 금물입니다.

셋째. [상대방을 믿어주세요]. 초보 때는 상대방을 못 믿고 확인해봐야겠다는 일념에 불필요한 지출이 크게 나갈 때가 많아요. 그냥 상대의 블러핑이라도 믿어주고, [내가 확실히 이길 수 있을 때만 이겨도 충분합니다] 초보는 블러핑으로 먹을 생각 하지 마시고요. 온라인으로도 티나는데 오프라인 초짜 지인들끼리는 더 심합니다 크크크

마지막으로, 지인들끼리 내기 게임할 때 [최악의 케이스는 흥분하여 갑분싸]되는 겁니다. 제가 한때 동네 친구들과 치킨 내기 홀덤 가끔 쳤는데요, 치킨 두 마리쯤 걸린 판에서 딜러 역할 친구가 베팅이 끝나지 않았는데 리버 카드를 먼저 까 버린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한 명이 흥분하는 바람에 겨우 치킨빵인데도 무슨 목숨 걸고 하는 게임처럼 싸늘하게 식어버린 적이 있어요. 지인들 게임의 목적은 어디까지나 즐거움이라는 걸 기억해주세요~

즐거운 홀덤 되십시오~
25/04/30 08:02
수정 아이콘
마지막으로 제가 제일 좋아하는 홀덤 격언 하나 남깁니다.

[가장 크게 잃을 때는 언제인가?
틀린 선택을 하고, 그 선택에 확신을 가질 때다]


네이버 웹툰 <텍사스 홀덤> 중에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0460 [질문] 카니발 하브 vs 가솔린 어떤걸 골라야할까요? [11] 총사령관2755 25/04/28 2755
180459 [질문] 노인 발목수술에 조언 부탁드립니다 [2] 인간흑인대머리남캐2213 25/04/28 2213
180458 [질문] sk 해킹 대처방안이 궁금합니다. [4] APONO3133 25/04/28 3133
180457 [질문] 지금 skt로 바꾸는 것이 안전할까요? [5] 키스 리차드2574 25/04/28 2574
180456 [질문] 33 원정대 설정 바보같은 질문 [8] LeNTE1679 25/04/28 1679
180455 [질문] (스포있음)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영화 결말 질문드립니다 [5] 1403 25/04/28 1403
180454 [질문] pc 견적 문의드립니다. [4] 어제내린비1766 25/04/27 1766
180453 [질문] pcx125년식 카울교체 질문입니다 [4] 트리거1898 25/04/27 1898
180452 [질문] 클레르 옵스퀴르: 33 원정대 직접 해보신분들 계신가요? [13] 쿼터파운더치즈2626 25/04/27 2626
180451 [질문] 한덕수 총리 스펙 질문입니다 [17] 고진감래3440 25/04/27 3440
180450 [질문] 성인 이후 성장판을 열 수 있을까요? [4] 앵글로색슨족2546 25/04/27 2546
180449 [질문] IF 질문 드립니다.(축구 관련 뻘 질문) [3] 원스1121 25/04/27 1121
180448 [질문] 홀덤 해보신분들 계신가요?? [9] 라리1438 25/04/27 1438
180447 [질문] 이 영화 제목이 뭘까요? [2] 만렙꿀벌2122 25/04/27 2122
180446 [삭제예정] 인테리어 업체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요? [11] 모아2229 25/04/26 2229
180445 [질문] 이번 SK텔레콤 사태에 관해 질문올려봅니다 [8] 앙겔루스 노부스2384 25/04/26 2384
180444 [질문] 스팀 할인,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질문 있습니다. [2] rsh241736 25/04/26 1736
180443 [질문] 로또 당첨되는 분들은 완벽한 우연에 의한 것인지요...? [14] nexon2518 25/04/26 2518
180442 [질문] 치즈러쉬 막을 때 먼 미네랄 찍고 일꾼 뭉치는게 이젠 안 중요한가요? 여기에있어889 25/04/26 889
180441 [질문] 배관을 감싼게 석면인가요? [8] 탄야1250 25/04/26 1250
180440 [삭제예정] 초등생 ADHD 관련 질문드립니다.. [25] 라니안2284 25/04/26 2284
180439 [질문] 해외 거주 중인데 SKT 유심 문의드립니다. [8] 뿌린대로2295 25/04/26 2295
180438 [질문] 집 공유기 환경 문의입니다. [1] lefteye1320 25/04/26 13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