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4/13 22:15:44
Name nexon
File #1 2024_12_29_01_57_30.png (724.3 KB), Download : 934
Subject [질문] 주식을 살 때 다른 물건보다 덜 주의해서 사게 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요...?





피터 린치가 쓴 책에 나오는 유명한 이야기인데요.. @@

실제로 주식을 살 때는 다른 것을 살 때보다 주의를 덜 기울이는 경향이 있는 것 같은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피터 린치는 선명한 대비를 위해 주식과 부동산을 예로 들었지만, 사실 부동산을 살 때도 꼼꼼히 살피지 않고 단순히 누가 추천했다든지 혹은 어디서 들었다든지 하는 이유로 잘 알아보지 않고 사서 부동산 기획사기의 피해자가 되는 경우도 많은데

그것은 구체적으로 무엇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모찌피치모찌피치
25/04/13 22:31
수정 아이콘
무슨 책에서 읽었는데 대충 가전제품과 접시를 사는 건 어릴 때 형성된 습관이고 커서 내 돈으로 천만원씩 지르는 건 그 습관이랑 무관해서 그렇다는 논지를 본 적이 있습니다.
25/04/14 23:52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가스트락스
25/04/13 22: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환금성이 좋으니깐요
25/04/14 23:52
수정 아이콘
@@ 생각 못해본 이유네요 감사합니다
25/04/13 22:59
수정 아이콘
희망회로 돌리면서 좋은것만 보고 좋은것만 듣고싶어 셀프 희망회로감옥에 갇혀 그렇습니다(..네 제 이야기입니다)
25/04/14 23:52
수정 아이콘
드드드
25/04/13 23:46
수정 아이콘
우선 주식은 형상이 없습니다. 그에 대한 가치를 사는 것이기 때문에 집 같은 현물보다 현실 인식이 떨어집니다.
부동산은 또다른 이야기이긴 한데, 부동산 구입에 대한 경험이 없을 수 있고, 사기는 나쁜 행위지만 사기에 대한 면역이 없어서 피해를 본 사례일 수 있습니다.
25/04/14 23:52
수정 아이콘
@.@ 그런 영향도 있을 것 같습니다
25/04/13 23:49
수정 아이콘
좋은주식을 사면 된다지만 좋은주식이 뭔지 알 방법이 없죠.
좋은주식이라 오르는건지 오르니까 좋은주식인건지 알수도 없구요.
25/04/14 23:53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This-Plus
25/04/14 00:18
수정 아이콘
FOMO 때문인 것 같습니다.
25/04/14 23:53
수정 아이콘
그런 영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옥동이
25/04/14 03:59
수정 아이콘
다시 팔수 있으니까 그런거 같아요
25/04/14 23:5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드드드
회색사과
25/04/14 08:47
수정 아이콘
전문가는 아니지만..

1. 사기 쉬움
2. 팔기 쉬움
3. 오르고 내리는게 장중 실시간으로 보임.
4. 평가할 지표들이 직관적으로 보이지 않음.
5. 남들 다 함.

뭐 이정도이지 않을까요? 크크크
코인하는 사람들 무슨 깡으로 하냐 하지만 주식하는 사람 중 상당수는 코인과 거의 다르지 않은 마인드셋으로 주식하고 있을 겁니다.
25/04/14 23:54
수정 아이콘
드드드 감사합니다
25/04/14 09:01
수정 아이콘
집이나 차 같은 거에 비하면 거래비용(과 그에 수반되는 손실)이 1% 미만 수수료 수준으로 매우 적죠.
고민도 그만큼 덜 하는게 합리적입니다.
대신 변동성이 커서 조금 상쇄시켜야겠지만요.
25/04/14 23:54
수정 아이콘
거래비용 측면이 있네요 @@ 감사합니다
25/04/14 09:30
수정 아이콘
물건 구매는 소비한다는 개념이고, 보통 손실회피 성향이 있어서 많이 알아보고 사게 되는데
주식을 소비한다는 생각으로 사는 사람이 있나요? 이거 사면 돈 벌거라고 생각하니 손이 잘 나가죠. 그리고 바로 후회하지만..
말씀하신 부동산도 소비가 아니라 돈 벌기 위한 투자라고 생각하니 쉽게 몇억을 던지고 사기당하기도 하죠.
25/04/14 23:54
수정 아이콘
오 그런 측면이 있네요 감사합니다
서낙도
25/04/14 10:32
수정 아이콘
지금 안사면 더올라서요.
제가 안사면 항상 오르더라고요
25/04/14 23:55
수정 아이콘
드드드 ㅜㅜ
엘브로
25/04/14 11: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주식으로 돈벌수 있다는 착각 때문이죠
난 남들과 다른줄 안다는..
25/04/14 23:55
수정 아이콘
ㅠㅠㅠㅠㅠ
25/04/14 11:48
수정 아이콘
린치 형님 저는 주식 구매할 때 그래도 전자렌지보다는 훨씬 더 오래 고민했습니다 흑흑...
25/04/14 23:55
수정 아이콘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25/04/14 13:02
수정 아이콘
물건을 사면 그 돈은 사라지는 돈이라고 생각하지만 주식은 돈의 형태만 바뀌는 것이라고 생각해서인 것 같습니다.
25/04/14 23:5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5/04/14 14:29
수정 아이콘
사실 더 큰 문제는 고민 안한게 고민한거 보다 더 잘 갈때도 많아서.. 타이밍을 재다가 놓치기도 하고
25/04/14 23:56
수정 아이콘
그게 참 어려운 문제인 것 같습니다... ㅜ
시드라
25/04/14 15:35
수정 아이콘
잘 모르면서 희망회로만 돌리니까요

이렇게 적는 저도 아주 빠삭하게 찾아보고 사진 않습니다만 세상에는 이런 저보다도 더 무모하게 사는 사람들이 많아요
25/04/14 23:57
수정 아이콘
..................ㅜ
25/04/14 17:06
수정 아이콘
팔면 되고 감가도 없고
25/04/14 23:5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
25/04/15 09:42
수정 아이콘
전 오히려 정확한 판단을 내릴수없어서...? 라고 생각합니다
기다리다
25/04/15 10:35
수정 아이콘
애초에 본인들이 똑똑하고 합리적투자를 한다고 생각해서 그러지 않나 싶습니다.주식 댓글 보면 이런 사람도 주식하는구나 같은 사람이 넘쳐나지 않습니까..심지어 본인은 착실한 투자고 남들은 투기꾼 크크
평온한 냐옹이
25/04/15 12:18
수정 아이콘
정가보다 훨씬 쌀때, 사놓고 좋은가격에 되팔수있을때 사람들이 주식사듯 물건을 사죠.
25/04/15 13:13
수정 아이콘
결국 투여해야 하는 노력이 무한대에 수렴하니까 자신을 지키기 위해 합리화를 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마술사
25/04/16 23:46
수정 아이콘
환금성이 좋아서죠
부동산은 다시 팔고싶어도 살 사람 구하려면 몇달 걸리고 부동산비 세금 등등 비용도 비싸지만
주식은 팔고싶으면 뚝딱 팔수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0691 [질문] 현황도 발급 프린트 질문이요 [4] 레드드레곤~4092 25/05/26 4092
180690 [질문] 진동하는 빗의 효과성이 궁금합니다 [8] 다크드래곤4392 25/05/26 4392
180689 [질문] LTE유심 들어가는 가성비 태블릿 추천부탁드립니다. [8] 요하네스버그5775 25/05/26 5775
180688 [질문] 노트북 비교부탁드립니다. [3] 보급보급4305 25/05/26 4305
180687 [질문] 플립5 맥세이프 케이스 + 차량용 거치대 [3] 기무라탈리야4160 25/05/26 4160
180686 [질문] 왜 서구권은 한국에 비해 연예인들이 유튜버하는 경우가 잘 없을까요? [16] 독서상품권4283 25/05/26 4283
180685 [질문] 집 매매하고 인테리어 후 이사할 때 잔금 질문입니다 [12] immune3158 25/05/26 3158
180684 [질문] 아이폰 용량 잘못 구매 시 질문입니다. [8] 강해린2304 25/05/26 2304
180683 [질문] 프로젝터 쓰시는 분 있나요 [6] 적막1776 25/05/26 1776
180682 [질문] 싱글몰트 위스키나 와인 등은 어디서 사나요? [14] 기술적트레이더3421 25/05/25 3421
180681 [삭제예정] 와이프와의 다툼이 있었는데 한번 봐주실 수 있나요? [54] 유러피언드림5597 25/05/25 5597
180680 [질문] 아이폰으로 네이버 기사가 제대로 나오지 않습니다. [4] 도도갓5753 25/05/25 5753
180679 [질문] 모니터용으로 쓸 TV를 구매할 예정인데요 [1] 쿨럭3252 25/05/25 3252
180678 [질문] 미니건조기 쓰시는분들 후기가 궁금합니다 [5] 저스디스4850 25/05/25 4850
180677 [질문] 국내 장기숙소 [7] K-14285 25/05/25 4285
180676 [삭제예정] 먼 친척의 결혼식 가시나요? [5] 삭제됨3968 25/05/25 3968
180675 [질문] 머리카락의 윤기를 유지하고 두발 건강에도 도움되는 제품이 있는지요...? [15] nexon3646 25/05/24 3646
180674 [질문] 전기 관련 질문입니다. 차단기 스위치가 떨어졌는데요...... [3] 카페알파4701 25/05/24 4701
180673 [질문] 컴퓨터 부품 성능을 알아보기 좋은 사이트를 찾습니다. [4] 어제내린비5000 25/05/23 5000
180672 [질문] 이 고추장 제품 아시는분? [3] 틀림과 다름4841 25/05/23 4841
180671 [질문] 데블스 플랜 1. 봐도 될까요? [31] 서낙도5613 25/05/23 5613
180670 [질문] 곡성 세계장미축제를 다녀오려고 하는데 근처 맛집과 추가로 볼거리가 있을까요? [10] 욱쓰4647 25/05/23 4647
180669 [질문] 목통증환자 베개, 목디스크 보호대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20] 쉬군4140 25/05/23 41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