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1/05 20:44:07
Name 하얀사신
File #1 [컴퓨존]온라인견적서_20250105_73644651.png (106.5 KB), Download : 1034
Subject [질문] PC 구입 이륙 허가 문의드립니다. (수정됨)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올렸었는데 
조금 업데이트해서 다시 문의드립니다.

일단 필수요소는
그래픽카드 4060 이상
메모리 16GB x2
SSD 1테라
HDD 4테라
입니다.

용도는 
주로 사무용
빈번하게 어도비 프로그램
가끔 영상 편집
아주 가끔 게임입니다.

여기까지는 변함이 없으나 
검색 및 댓글 등의 내용을 토대로 사양을 구성해 보았습니다.

CPU 는 5600 급으로 해야 하나 7500 넣어야 하나 고민이 됩니다.
보드는 잘 몰라서 대충 넣었습니다.

댓글에는 미리 감사하다는 말씀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anymaster
25/01/05 21:15
수정 아이콘
저번주 답변 드린 게 있는데 CPU를 14600K에서 더 낮추는 선택이 썩 좋아보이지는 않네요. 5600까지 고민하고 있는 걸 보니 예산에 압박이 심한가요? 케이스도 데이븐은 A/S에 있어 치명적인 문제로 추천드리기 어렵습니다. 비슷한 가격대에서는 DK200을 추천하곤 합니다.
하얀사신
25/01/05 21:43
수정 아이콘
예산보단 잘 몰라서 그렇습니다.
3060(12GB) 컴에 5600 쓰고 있었거든요. 현 사양에 불만은 없습니다.
근데 세컨 PC 사려고 보니 3060 12 사느니 4060 사는게 나아보여서요.
CPU 체급을 맞춰줘야 되나 싶은데 5600일 때 문제가 없어서 고민했던 부분입니다.
케이스나 이런건 그냥 가격만 보고 고른거라 추천해주시는 것으로 해보겠습니다.
manymaster
25/01/05 23:40
수정 아이콘
그러면 이렇게 짜보겠습니다.

CPU: [INTEL] 코어14세대 I5-14600K 벌크 쿨러 미포함 (랩터레이크/3.5GHz/20MB/병행수입) 334,000원
컴퓨터는 용도에 맞게 가는 게 중요합니다. CPU와 그래픽카드의 밸런스가 중요하다는 것은 주로 게이밍 PC를 짤 때 이야기하는 것이고, 이 용도에서는 CPU 비중을 훨씬 더 높게 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5600에 비하면 멀티 성능에 있어서 2배 이상의 차이라 훨씬 쾌적할 것으로 보이고, 퀵싱크 기능도 있어서 드문드문하는 영상 편집에 있어서도 훨씬 쾌적해질 것입니다. 한 급 아래 CPU 중에 퀵싱크 지원하는 걸 보자면 12400도 있습니다만, 퀵싱크 빼면 5600에 백중우위인 정도라 역시나 가성비가 아쉽기는 합니다.
인텔 이슈가 있긴 합니다만, 14600K에서는 굳이 통계로 정리된다던가, 크게 신경 쓸 수준의 빈도는 아니긴 합니다. 모 매장에서는 1퍼도 안 된다고 하더라고요.
CPU 쿨러: [3RSYS] Socoool RC1900N 솔더링 (BLACK) [CPU쿨러] 74,000원
14600K는 전기를 좀 많이 먹는 편이어서 이 정도, 듀얼타워 중상급은 달아주어야 발열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RC1900N은 많은 사랑을 받았던 듀얼 타워 중상급 RC1800의 소음 개선 판입니다.
CPU 쿨러 보조: [Thermalright] LGA17XX-BCF V2 서린 (BLACK) 6,640원
인텔 12세대부터 14세대까지는 PCB 설계 문제로 쿨러와 CPU 간에 밀착이 부족해 CPU 쿨러의 성능을 떨어트립니다. 이런 17xx 소켓가이드는 그런 문제를 해결해줍니다. 쿨러나 CPU 발열에 따라 극적인 성능 향상 효과를 보이는 경우도 있고, 그러지 않아도 충분히 가성비 좋은 쿨러 보조 부품입니다.
다만, 잘못된 조립시 보드 파손을 유발할 수 있고, 인텔에서 인정하지 않는 부품이라 인텔에 A/S 받으러 갈 때에는 이를 제거하고 받아야 된다는 단점이 있기는 합니다. 조립은 뭐, 컴퓨존에 맡길꺼니 큰 단점으로 다가가지는 않을 것입니다.
메인보드: [ASUS] TUF Gaming B760M-PLUS II 코잇 (인텔B760/M-ATX)
7500F에는 B650M K가 많이 추천되죠. 14600K에는 이 보드나 B760M 박격포가 잘 추천됩니다. 소켓 차이도 있지만, 보드 전원부 차이도 있는데요, 이 보드는 600A 정도의 전원부 용량에 드라이버 모스펫 중에서도 품질이 특히 좋은 게 들어갔다 그러고, 전원부 방열판도 꽤 넓어서 14600K는 충분히 커버해줍니다. 7500F는 전기를 적게 먹는 만큼 잘 추천되는 B650M K도 보드 전원부가 저 수준은 아닙니다.
그 밖에 이 보드는 램 슬롯도 넷이라 램이 부족할 때 추가로 달 수도 있고, M.2 슬롯도 셋 있고 그 중에 둘은 번들 방열판이 있으며, 랜도 호환 이슈 덜한 리얼텍 랜에 2.5기가비트는 되는 등, 가격 값을 하는 보드입니다.
메모리: [Team Group] 팀그룹 DDR5 PC5-38400 CL40 Elite [16GB] (4800) *2 113,800원
CPU 자체는 DDR4와 DDR5 둘 다 지원하긴 합니다만, 추천되는 보드들이 DDR5 전용이라 램은 DDR5를 가겠습니다. 이 DDR5 메모리는 팀그룹 제품이 가격에서도 안정성에서도 삼성보다 낫습니다. 게임이 아닌 이상 램 클럭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기 때문에 4800을 가셔도 무방합니다.
영상 편집은 드문드문 하신다고 하셨으니 램은 일단 32기가만 달고 64기가로의 확장은 나중에 생각해보는 걸로 하겠습니다. 혹시나 작업 관리자 틀어보고 램을 70퍼 이상 쓰고 계신다면 램이 더 필요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뜻이니 그 때 64기가를 생각해주시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램을 다 달면 클럭이 더 까지긴 합니다만, 역시나 크게 걱정하시지는 않으셔도 됩니다. 작업에서는 성능이 고작 3~4퍼 정도 까진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검색해보면서 '듀얼 채널'이란 말도 들어보셨을텐데, 이는 쉽게 비유하자면 4차선 도로를 위한 노반을 마련했으면 4차선 도로를 깔라는 뜻입니다. 램을 하나만 달아서 2차선만 깔면 속도가 줄어들겠죠. 다만 노반이 4차선이기 때문에 램을 넷 다 꼽는다고 8차선이 되지는 않습니다.
그래픽 카드: [PNY] 지포스 RTX 4060 VERTO D6 8GB Dual 438,850원
4060이면 3060 12기가보다 전반적인 성능이 낫습니다. 어도비 프로그램에서도 AI 기능을 조금 더 수월하게 쓸 수 있다고 하기도 하고, 렌더링 인코딩에서도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줄 것으로 보이고, 또 게임에서도 AAA급 게임을 FHD에서 돌리더라도 옵션 타협을 덜 해도 됩니다.
4060이면 전기를 많이 안 먹어서 거의 아무 글카나 고르셔도 되는데, 1팬 제품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저는 그 1팬 제품 빼고 가장 싼 걸 골라봤네요.
SSD: [Western Digital] Black SN850X M.2 NVMe 2280 [1TB TLC] 118,000원
P41이 안정적이라는 평도 많긴 합니다만, C드라이브에서 읽기 쓰기 속도 이슈가 있다고도 그러고 비싸기도 해서 조금 더 싸면서도 무난한 SSD를 골라봤습니다. 이 정도만 해도 불량률 높아서 데이터 날아갈 걱정을 덜 하셔도 되고, 용량 차도 속도가 예상 외로 푹 꺼질 걱정 안 해도 될 것입니다. 방열판은 필요합니다만 보드에 있는 번들 M.2 방열판을 쓰면 되니 문제 없습니다.
HDD: [Western Digital] BLUE HDD 4TB WD40EZAX|(3.5HDD/ SATA3/ 5400rpm/ 256MB/ CMR) 139,000원
하드는 저번에도 추천드렸던 웬디 블루입니다. CMR 방식이 SMR 방식보다 안정적이다, 이 정도만 알아도 하드 고르는 데에 부족한 정보는 거의 없을껍니다.
파워: [FSP] HYPER K PRO 700W 80PLUS Standard 230V EU (ATX/700W) 84,000원
14600K에 4060이면 700W면 여유 있습니다. 이 정도 용량대에서는 FSP HYPER K PRO 정도 추천드리겠습니다. 저질 파워는 고장이 잘 나는 걸 넘어서 다른 부품까지 같이 고장내곤 하는데, 이 제품은 고장 걱정 자체가 덜 합니다.
케이스: [darkFlash] DRX70 MESH RGB 강화유리 [미들타워] [블랙] 49,000원
좋은 케이스는 강판이 두꺼워서 무거운 대신 공진음 등 각종 잡음이 줄어들고, 잘 찌그러지지 않으며 기본 팬이나 전면 단자 품질도 좋아집니다. 위로 올려다보면 VENTI D2000이나 DLX21도 있습니다만, 이 정도 견적에서는 이 DRX70 정도도 괜찮아 보입니다. 듀얼 타워 다는데 DK200 수준의 싸구려는 저 개인적으로는 좀 꺼려지더라고요. 비슷한 급에서는 아이구주 PRAY 30 PLUS 정도 추천드리겠습니다.

https://www.compuzone.co.kr/form/estimate.htm?est=O-7364653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다른 분들 견적과 비교해보시고 좋은 컴퓨터 구매가 되길 빕니다.
25/01/05 21:52
수정 아이콘
일단 온라인 견적서에 나오는 성함이 본인이시라면 수정해야할것같아요.
그리고 어도비 포토샵과 프리미어를 주로 사용하신다면 윗분 말대로 인텔이 더 좋습니다.
그리고 환율때문인지 부품 가격이 많이 올랐네요.
하얀사신
25/01/05 21:58
수정 아이콘
예압~! 수정했습니다. 그럼 인텔로 가야겠네요.
다음 주 중에는 배송 받아야 해서 가격은 뭐... 선택의 여지가 없을 것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546 [질문] 첫 미국여행, 뉴욕>토론토// La>라스베가스 선택 추천부탁드려요. [18] 이민들레4177 25/02/02 4177
179545 [질문] 비트코인 질문 [10] 적막4678 25/02/02 4678
179544 [질문] 방화문이 안열려요. 도와주세요! [12] 유니꽃5467 25/02/02 5467
179543 [질문] AI로 합성한 장래희망 사진 [2] 유랑4647 25/02/02 4647
179542 [질문] Jpop 고수 분들 노래좀 찾아주세요 [5] 삑삑이4393 25/02/01 4393
179541 [삭제예정] 연인의 연락 관련 문제 때문에 고민이 있습니다. [29] 삭제됨5491 25/02/01 5491
179540 [질문] 갤럭시 폴드 최신형들은 내구도가 좀 좋아졌나요? [9] This-Plus4878 25/02/01 4878
179539 [질문] 종신보험 문의 합니다. 너이리와봐3266 25/02/01 3266
179538 [질문] 씨퓨온도 83도 쿨러문제인가요? [7] 교자만두4114 25/02/01 4114
179537 [질문] 이 천체는 무엇일까요? [7] 及時雨3643 25/02/01 3643
179536 [질문] 구형 노트북 OS 갈려는데 뭐가 나을까요? [9] 깃털달린뱀3616 25/02/01 3616
179535 [질문] 자동차 냉각수가 2년정도면 줄어드나요? [10] 8억빠4080 25/02/01 4080
179534 [질문] 업무용 키보드 하나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월터화이트4226 25/02/01 4226
179533 [질문] 노무 관련 질문드립니다 (계약직 중도퇴사시 페널티?) [2] 고기깡패3634 25/02/01 3634
179532 [질문] 고양이 모래 추천 부탁드립니다 (고양이 사진 투척) [14] 주니뭐해6032 25/02/01 6032
179531 [질문] 현대차 네비에 뜨는 표시 뭘까요?(사진 첨) [2] feedback4410 25/02/01 4410
179530 [질문] 사회초년생 크지 않은 주식 포트폴리오에 채권 추가 의미있을까요? 등등 [6] 휵스3953 25/02/01 3953
179529 [질문] 갤럭시 s25 질문입니다 [7] BBsDaddy4606 25/02/01 4606
179528 [질문] 혹시 90년대에 zgzg였나..지그재그였나 브랜드 아시는분 계신가요? [4] 로각좁4489 25/01/31 4489
179527 [질문] 외제차 프로모션 계약할때 기준인가요 [2] 두억시니4275 25/01/31 4275
179526 [질문] 오늘 전세계약을 했는데요 하나 희한한 게 있어서요 [3] 호비브라운4858 25/01/31 4858
179525 [질문] 소유자 입장에서 상가 월세 알아보는 방법이 있을까요? [3] 국힙원탑뉴진스3847 25/01/31 3847
179524 [질문] 이런 게임 없나요? 가칭 스크립트 파이터 [11] kimmo4492 25/01/31 449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