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1/05 20:44:07
Name 하얀사신
File #1 [컴퓨존]온라인견적서_20250105_73644651.png (106.5 KB), Download : 1034
Subject [질문] PC 구입 이륙 허가 문의드립니다. (수정됨)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올렸었는데 
조금 업데이트해서 다시 문의드립니다.

일단 필수요소는
그래픽카드 4060 이상
메모리 16GB x2
SSD 1테라
HDD 4테라
입니다.

용도는 
주로 사무용
빈번하게 어도비 프로그램
가끔 영상 편집
아주 가끔 게임입니다.

여기까지는 변함이 없으나 
검색 및 댓글 등의 내용을 토대로 사양을 구성해 보았습니다.

CPU 는 5600 급으로 해야 하나 7500 넣어야 하나 고민이 됩니다.
보드는 잘 몰라서 대충 넣었습니다.

댓글에는 미리 감사하다는 말씀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manymaster
25/01/05 21:15
수정 아이콘
저번주 답변 드린 게 있는데 CPU를 14600K에서 더 낮추는 선택이 썩 좋아보이지는 않네요. 5600까지 고민하고 있는 걸 보니 예산에 압박이 심한가요? 케이스도 데이븐은 A/S에 있어 치명적인 문제로 추천드리기 어렵습니다. 비슷한 가격대에서는 DK200을 추천하곤 합니다.
하얀사신
25/01/05 21:43
수정 아이콘
예산보단 잘 몰라서 그렇습니다.
3060(12GB) 컴에 5600 쓰고 있었거든요. 현 사양에 불만은 없습니다.
근데 세컨 PC 사려고 보니 3060 12 사느니 4060 사는게 나아보여서요.
CPU 체급을 맞춰줘야 되나 싶은데 5600일 때 문제가 없어서 고민했던 부분입니다.
케이스나 이런건 그냥 가격만 보고 고른거라 추천해주시는 것으로 해보겠습니다.
manymaster
25/01/05 23:40
수정 아이콘
그러면 이렇게 짜보겠습니다.

CPU: [INTEL] 코어14세대 I5-14600K 벌크 쿨러 미포함 (랩터레이크/3.5GHz/20MB/병행수입) 334,000원
컴퓨터는 용도에 맞게 가는 게 중요합니다. CPU와 그래픽카드의 밸런스가 중요하다는 것은 주로 게이밍 PC를 짤 때 이야기하는 것이고, 이 용도에서는 CPU 비중을 훨씬 더 높게 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5600에 비하면 멀티 성능에 있어서 2배 이상의 차이라 훨씬 쾌적할 것으로 보이고, 퀵싱크 기능도 있어서 드문드문하는 영상 편집에 있어서도 훨씬 쾌적해질 것입니다. 한 급 아래 CPU 중에 퀵싱크 지원하는 걸 보자면 12400도 있습니다만, 퀵싱크 빼면 5600에 백중우위인 정도라 역시나 가성비가 아쉽기는 합니다.
인텔 이슈가 있긴 합니다만, 14600K에서는 굳이 통계로 정리된다던가, 크게 신경 쓸 수준의 빈도는 아니긴 합니다. 모 매장에서는 1퍼도 안 된다고 하더라고요.
CPU 쿨러: [3RSYS] Socoool RC1900N 솔더링 (BLACK) [CPU쿨러] 74,000원
14600K는 전기를 좀 많이 먹는 편이어서 이 정도, 듀얼타워 중상급은 달아주어야 발열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RC1900N은 많은 사랑을 받았던 듀얼 타워 중상급 RC1800의 소음 개선 판입니다.
CPU 쿨러 보조: [Thermalright] LGA17XX-BCF V2 서린 (BLACK) 6,640원
인텔 12세대부터 14세대까지는 PCB 설계 문제로 쿨러와 CPU 간에 밀착이 부족해 CPU 쿨러의 성능을 떨어트립니다. 이런 17xx 소켓가이드는 그런 문제를 해결해줍니다. 쿨러나 CPU 발열에 따라 극적인 성능 향상 효과를 보이는 경우도 있고, 그러지 않아도 충분히 가성비 좋은 쿨러 보조 부품입니다.
다만, 잘못된 조립시 보드 파손을 유발할 수 있고, 인텔에서 인정하지 않는 부품이라 인텔에 A/S 받으러 갈 때에는 이를 제거하고 받아야 된다는 단점이 있기는 합니다. 조립은 뭐, 컴퓨존에 맡길꺼니 큰 단점으로 다가가지는 않을 것입니다.
메인보드: [ASUS] TUF Gaming B760M-PLUS II 코잇 (인텔B760/M-ATX)
7500F에는 B650M K가 많이 추천되죠. 14600K에는 이 보드나 B760M 박격포가 잘 추천됩니다. 소켓 차이도 있지만, 보드 전원부 차이도 있는데요, 이 보드는 600A 정도의 전원부 용량에 드라이버 모스펫 중에서도 품질이 특히 좋은 게 들어갔다 그러고, 전원부 방열판도 꽤 넓어서 14600K는 충분히 커버해줍니다. 7500F는 전기를 적게 먹는 만큼 잘 추천되는 B650M K도 보드 전원부가 저 수준은 아닙니다.
그 밖에 이 보드는 램 슬롯도 넷이라 램이 부족할 때 추가로 달 수도 있고, M.2 슬롯도 셋 있고 그 중에 둘은 번들 방열판이 있으며, 랜도 호환 이슈 덜한 리얼텍 랜에 2.5기가비트는 되는 등, 가격 값을 하는 보드입니다.
메모리: [Team Group] 팀그룹 DDR5 PC5-38400 CL40 Elite [16GB] (4800) *2 113,800원
CPU 자체는 DDR4와 DDR5 둘 다 지원하긴 합니다만, 추천되는 보드들이 DDR5 전용이라 램은 DDR5를 가겠습니다. 이 DDR5 메모리는 팀그룹 제품이 가격에서도 안정성에서도 삼성보다 낫습니다. 게임이 아닌 이상 램 클럭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기 때문에 4800을 가셔도 무방합니다.
영상 편집은 드문드문 하신다고 하셨으니 램은 일단 32기가만 달고 64기가로의 확장은 나중에 생각해보는 걸로 하겠습니다. 혹시나 작업 관리자 틀어보고 램을 70퍼 이상 쓰고 계신다면 램이 더 필요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뜻이니 그 때 64기가를 생각해주시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램을 다 달면 클럭이 더 까지긴 합니다만, 역시나 크게 걱정하시지는 않으셔도 됩니다. 작업에서는 성능이 고작 3~4퍼 정도 까진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검색해보면서 '듀얼 채널'이란 말도 들어보셨을텐데, 이는 쉽게 비유하자면 4차선 도로를 위한 노반을 마련했으면 4차선 도로를 깔라는 뜻입니다. 램을 하나만 달아서 2차선만 깔면 속도가 줄어들겠죠. 다만 노반이 4차선이기 때문에 램을 넷 다 꼽는다고 8차선이 되지는 않습니다.
그래픽 카드: [PNY] 지포스 RTX 4060 VERTO D6 8GB Dual 438,850원
4060이면 3060 12기가보다 전반적인 성능이 낫습니다. 어도비 프로그램에서도 AI 기능을 조금 더 수월하게 쓸 수 있다고 하기도 하고, 렌더링 인코딩에서도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줄 것으로 보이고, 또 게임에서도 AAA급 게임을 FHD에서 돌리더라도 옵션 타협을 덜 해도 됩니다.
4060이면 전기를 많이 안 먹어서 거의 아무 글카나 고르셔도 되는데, 1팬 제품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저는 그 1팬 제품 빼고 가장 싼 걸 골라봤네요.
SSD: [Western Digital] Black SN850X M.2 NVMe 2280 [1TB TLC] 118,000원
P41이 안정적이라는 평도 많긴 합니다만, C드라이브에서 읽기 쓰기 속도 이슈가 있다고도 그러고 비싸기도 해서 조금 더 싸면서도 무난한 SSD를 골라봤습니다. 이 정도만 해도 불량률 높아서 데이터 날아갈 걱정을 덜 하셔도 되고, 용량 차도 속도가 예상 외로 푹 꺼질 걱정 안 해도 될 것입니다. 방열판은 필요합니다만 보드에 있는 번들 M.2 방열판을 쓰면 되니 문제 없습니다.
HDD: [Western Digital] BLUE HDD 4TB WD40EZAX|(3.5HDD/ SATA3/ 5400rpm/ 256MB/ CMR) 139,000원
하드는 저번에도 추천드렸던 웬디 블루입니다. CMR 방식이 SMR 방식보다 안정적이다, 이 정도만 알아도 하드 고르는 데에 부족한 정보는 거의 없을껍니다.
파워: [FSP] HYPER K PRO 700W 80PLUS Standard 230V EU (ATX/700W) 84,000원
14600K에 4060이면 700W면 여유 있습니다. 이 정도 용량대에서는 FSP HYPER K PRO 정도 추천드리겠습니다. 저질 파워는 고장이 잘 나는 걸 넘어서 다른 부품까지 같이 고장내곤 하는데, 이 제품은 고장 걱정 자체가 덜 합니다.
케이스: [darkFlash] DRX70 MESH RGB 강화유리 [미들타워] [블랙] 49,000원
좋은 케이스는 강판이 두꺼워서 무거운 대신 공진음 등 각종 잡음이 줄어들고, 잘 찌그러지지 않으며 기본 팬이나 전면 단자 품질도 좋아집니다. 위로 올려다보면 VENTI D2000이나 DLX21도 있습니다만, 이 정도 견적에서는 이 DRX70 정도도 괜찮아 보입니다. 듀얼 타워 다는데 DK200 수준의 싸구려는 저 개인적으로는 좀 꺼려지더라고요. 비슷한 급에서는 아이구주 PRAY 30 PLUS 정도 추천드리겠습니다.

https://www.compuzone.co.kr/form/estimate.htm?est=O-7364653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다른 분들 견적과 비교해보시고 좋은 컴퓨터 구매가 되길 빕니다.
25/01/05 21:52
수정 아이콘
일단 온라인 견적서에 나오는 성함이 본인이시라면 수정해야할것같아요.
그리고 어도비 포토샵과 프리미어를 주로 사용하신다면 윗분 말대로 인텔이 더 좋습니다.
그리고 환율때문인지 부품 가격이 많이 올랐네요.
하얀사신
25/01/05 21:58
수정 아이콘
예압~! 수정했습니다. 그럼 인텔로 가야겠네요.
다음 주 중에는 배송 받아야 해서 가격은 뭐... 선택의 여지가 없을 것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526 [질문] 오늘 전세계약을 했는데요 하나 희한한 게 있어서요 [3] 호비브라운4573 25/01/31 4573
179525 [질문] 소유자 입장에서 상가 월세 알아보는 방법이 있을까요? [3] 국힙원탑뉴진스3564 25/01/31 3564
179524 [질문] 이런 게임 없나요? 가칭 스크립트 파이터 [11] kimmo4145 25/01/31 4145
179523 [질문] 미국 흑인 새내기대학생 인사법 유튜브쇼츠 동영상 찾습니다. [1] 루카와3183 25/01/31 3183
179522 [질문] 카카오톡이 핸드폰과 태블릿 중 하나에서만 됩니다. 해결방법을 알려주십시오 [7] 청둥오리3984 25/01/31 3984
179521 [질문] 소설 <삼체> 출판사 별 교차로 읽어도 되나요? [2] 세이밥누님3410 25/01/31 3410
179520 [질문] 쇼파베드 실 사용 하시는 분들 계실까요? [12] allin133564 25/01/31 3564
179519 [질문] 질문. 30대에도 친구 손절 많이 하나요? [28] 마르틴 에덴5005 25/01/31 5005
179518 [질문] 몽골여행을 부모님 모시고 가볼려고 하는데 질문 있습니다!! [2] 모든사이즈에도전3873 25/01/31 3873
179517 [질문] 명절 연휴 출근의 대가는 어느 정도여야 할까요? [18] 가만히 손을 잡으4208 25/01/31 4208
179516 [질문] 핸드폰 카메라가 멀쩡한 상태인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2] EnergyFlow3065 25/01/31 3065
179515 [질문] 아침 일어나서 1시간 후 공복 운동 vs 사과 한 알 먹고 1시간 후 운동 [5] 그때가언제라도3685 25/01/31 3685
179514 [질문] 무협 웹소설이나 웹툰 추천 부탁드려요 [5] 더쿤더3766 25/01/31 3766
179513 [삭제예정] 먼저 연락이 안오면 무조건 가능성 없나요? [26] 삭제됨4925 25/01/31 4925
179512 [질문] 갤럭시 s25 플러스 와 울트라 고민. ( 사용목적 명확함) [10] 계란말이매니아4196 25/01/31 4196
179511 [질문] 애플 생태계로 스마트홈 구성 질문드립니다 [5] 호비브라운3115 25/01/31 3115
179510 [질문] 5080 그래픽으로 견적 부탁 드립니다. [9] 자가타이칸3693 25/01/30 3693
179509 [질문] 맥북 프로에 올리브유가 들어갔습니다 [1] Fig.14201 25/01/30 4201
179508 [질문] 이민 가신 분들은 명절 차례 지내시나요? [7] 깃털달린뱀3474 25/01/30 3474
179507 [질문] 빠른 생일인 분들에게만 질문이 있습니다. [26] 한이연3777 25/01/30 3777
179506 [질문] 상체를 크게 움직이면 복부통증이 있는데 [3] 교대가즈아3407 25/01/30 3407
179505 [질문] 주식 매수후 갑자기 급락해서 손절라인을 넘겨버릴 때는 어떻게 하시는지요...?; [15] nexon4268 25/01/30 4268
179504 [질문] 스트리머? BJ중에 쓰띱~ 하던 사람 이름 기억 나시는 분! [1] 골드쉽3561 25/01/30 356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