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12/26 08:52:35
Name 럭키비키잖앙
Subject [질문] Gsl은 공식리그이고 asl은 이벤트전인 이유가 있나요?
유게에서 스2리그 끝나간다는 글보고 찾아보니
Gsl보다 asl이 상금 규모가 훨씬 큰데 gsl은 2024년까지 진행된 공식리그로 인정받고 asl ssl은 프로씬 끝나고 진행된 이벤트 리그로 평가받는 이유가 궁금하네요.

스2 리그는 초창기부터 재미 없어서 안 봐서 잘 모릅니다만 무소속으로 우승한 게이머도 있다고 들어서 프로 소속팀이 중요한건 아닌거 같고 기준이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12/26 09:31
수정 아이콘
GSL은 월드 챔피언쉽 포인트를 주기 때문 아닌가요?
Winter_SkaDi
24/12/26 10:31
수정 아이콘
질문 주신 내용이 "평가받는 이유"라고 하면 "기준"이 따로 있다고 보긴 어렵고
단순히 스타크래프트 1 시절 공식 리그가 2012 tving을 마지막으로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고 선언되었고,
그 이후 ASL(SSL), SSL(스포티비), KSL 등은 종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이어나가고자 하는 니즈가 있기에
블리자드에서 라이선스를 허가해준 것에 가깝기 때문에 시청자들이 그렇게 "인식"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요?

굳이 기준에 대해 말을 해보자면
ASL에 참여하고 있는 선수들도 대부분 "전 프로게이머" 혹은 "BJ"가 본업인 것도 차이가 있는 것 같네요.
케스파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종목에 스타크래프트1은 없거든요.
24/12/26 15:39
수정 아이콘
프로씬이 유지되냐 안되냐 차이죠
24/12/26 17:21
수정 아이콘
정확한 기준이라기보다는 팬들 주류 여론에 따르는거죠. 현역 때도 양대 개인리그로만 커리어를 따졌지 프로리그, WCG는 보너스 느낌이었고 곰클래식 같은 대회는 아예 취급조차 제대로 안해줬으니..
다시마두장
24/12/26 17:52
수정 아이콘
GSL은 스타크래프트2 리그고, 이는 블리자드가 상대적으로 근래까지도 자사의 대표 컨텐츠로 푸시한 게임/리그입니다. 블리자드가 '공식'으로서 직접 관여해서 관리할 필요와 메리트가 있었던거죠.
반면 스타리그를 위시한 스타크래프트 대회들은 태생적으로 블리자드 주관이 아니었고, 스2 출시 이후로는 블리자드가 존속을 달가워하지 않은 컨텐츠였습니다. '게임 대회 제작 및 관리'의 헤게모니가 방송국에서 게임사로 넘어가는 과도기 즈음에 이미 대회가 모두 사라졌기에 딱히 블리자드 주최로 이어나갈 정식 대회가 있지도 않고요.

지금에 와서는 스2 이스포츠 대성공의 가능성이 사실상 없어졌으니 대회를 열게는 해주는데, 그렇다고 직접 관리를 하거나 리그 위상을 격상시킬 필요는 없으니 딱 지금 정도의 위치(예전과 마찬가지로 터치 안 할테니 알아서 잘 놀아봐라)로 두고 있는 상황이라고 봅니다. 케스파쪽에서 마음만 먹으면 블리자드와의 협상을 통해 공식 리그라는 타이틀을 따올 수도, 과거 스타리그의 시스템을 부활시킬 수도 있겠지만 이제와서는 워낙에 하는 사람만 하는 게임이 되었기에 실익이 없으니 지금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걸로 보이고요.
럭키비키잖앙
24/12/28 18:0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답변 보니 뭐 별 대단한 기준은 없네요. 
현역때도 wcg 곰클래식 무시한거 저는 이해 안됬습니다.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214 [질문] 무안공항 참사? 제주항공 참사? [70] 율리우스 카이사르7182 24/12/31 7182
179213 [질문] 카니발 vs 펠리세이드 풀체인지 최종 고민 질문입니다. [37] 쉬군6143 24/12/31 6143
179212 [질문] 마시는 올리브오일 질문.. [4] 빠르5222 24/12/31 5222
179211 [질문] 네이버 로그인이 안되서 질문합니다... [6] rDc664940 24/12/31 4940
179210 [질문] 입결 기준 문과의 고대 하위권 학과 vs 성대 상위과 [32] 터치터치6275 24/12/31 6275
179209 [질문] 스타벅스 e-프리퀀시 빨간거 하나 필요하신 분 계실까요? [3] nekorean4097 24/12/31 4097
179208 [질문] 오늘 영화 <하얼빈> 보실분 (용산,영등포) Rorschach3617 24/12/31 3617
179207 [질문] 저희 아버지가 자꾸 무안항공 논에다 내렸으면 [57] 누묵7036 24/12/31 7036
179205 [질문] 주문한 적 없는 물품이 2주째 문 앞에 있는데 어쩌죠 [4] 잉차잉차6379 24/12/31 6379
179204 [질문] 이스턴킹 사이즈 침구(이불커버)구매할 곳 있을까요? [3] 마사루.3708 24/12/31 3708
179203 [질문] 친구끼리 월세를 들어갈 때, 각각 독립 세대주로 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2] Mrs. GREEN APPLE5266 24/12/31 5266
179202 [질문] 밀리의 서재 이용하시는 분들 [15] mystery spinner5705 24/12/30 5705
179201 [질문] 아기 촬영용 카메라 [19] 장헌이도5938 24/12/30 5938
179200 [질문] 월세질문이 있습니다! [4] 마지막처럼4656 24/12/30 4656
179199 [질문] 달러투자 및 보유 질문 [5] 아발란체4710 24/12/30 4710
179198 [질문] 국장 etf 를 적립식 매수하려는데 질문이 있습니다 [17] 고흐의해바라기5095 24/12/30 5095
179197 [질문] 실제 건축현장에서 거푸집은 어떤 소재를 많이 사용하나요? [4] 무냐고3710 24/12/30 3710
179196 [질문] 요즘 전자레인지 겸용 컵라면이 많은데 [33] Cand5749 24/12/30 5749
179195 [질문] 연말정산 환급액 ? 관련 질문 [5] 집에보내줘4816 24/12/30 4816
179194 [질문] 거실의 LED등이 깜빡이는 증상이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15] 황신강림4683 24/12/30 4683
179193 [질문] 유럽에서 렌터카 운전 난도가 낮은 곳이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13] 그냥가끔4961 24/12/30 4961
179192 [질문] 영어 공부 어플 추천해주실만한 거 있을까요? [13] 설탕물4884 24/12/30 4884
179191 [질문] 여객기에는 제동 낙하산을 쓰는게 불가능할까요? [8] VictoryFood5882 24/12/30 58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