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12/21 20:50:47
Name Garnett21
Subject [질문] 안전하게 태업하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요?
고과가 잘 안 나왔고 앞으로도 팀 내 저보다 더 인정받는 팀원들이 여럿 있어 지금보다 더 높은 고과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성격이 좀 많이 찌질해서 지금 하는 것보다(사실 일은 평균보다는 더 하는 것 같아요) 덜 해야 좀 억울함(..)이 풀릴 것 같은데,
  - 팀 단톡방 모조리 알림 끄기
  - 폰에 깔린 사내 메일, 메신저 전부 삭제
  - 메일 회신 최대한 늦게 하기
  - 메일 회신 간격 최대한 떨어뜨려서 하기(예: 10분에 두개 보낼거 한시간에 두개 보내기)

위 말고 또 뭐가 있을까요? 덜 중요한 업무는 일부러 바쁜 척 하면서 못했다고 하고 미루기 정도가 있으려나요

고과 잘 받았을 팀원들하고 이제 말도 섞기 싫어서 앞으로 팀점/회식 이런 거 전부 안 가고자 하는데 기분이 오히려 더 안좋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슬래쉬
24/12/21 21:04
수정 아이콘
음... 다음번엔 내가 인정 받으려고 더 노력을 하는게 맞는게 아닐지...
위 방법들은 해고시켜달라고 하는 행동 아닌가요? ;;;
Garnett21
24/12/21 21:05
수정 아이콘
............해고를 바라는 건 아니고, 그냥 인정받는 만큼만 규정을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일 하고자 하는 건데. 좀 포인트가 많이 빗나간 것 같긴 하네요;
슬래쉬
24/12/21 21:07
수정 아이콘
글만 보고 판단하는거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죄송하지만 글만보면 왜 인정을 못 받는지 알 것 같습니다... ㅠㅠ
Garnett21
24/12/21 21:13
수정 아이콘
제가 추천 박았습니다 크크
cruithne
24/12/21 21:07
수정 아이콘
현 직장에서 더 아싱 기대 할 게 없다면 이직준비를 하시는게 맞지 않을까요. 써놓으신건 태업이 아니라 그냥 화풀이하고 싶으신걸로밖에 안보입니다.
Garnett21
24/12/21 21:13
수정 아이콘
네.. 그게 맞을 것 같습니다. 
cruithne
24/12/21 21:41
수정 아이콘
물론 더 잘 아실테고, 속하신 업계에 따라 다르겠습니다만, 이직을 하셔도 현 직장에서의 평판은 유지하시는 게 좋습니다. 세상 생각보다 좁더라고요....
이직준비 하시면서도 최대한 현직장에서 업무적으로든 대인관계로든 티는 안나게 행동하시는게 장기적으로 좋을겁니다.
This-Plus
24/12/21 21:09
수정 아이콘
이직을 하는 게 낫지 결국 다 본인 손해로 돌아옵니다.
Garnett21
24/12/21 21:14
수정 아이콘
넵… 최대한 티 안나게 안전하게 해야겠네요;
24/12/21 21:11
수정 아이콘
이런거에 애너지 쏟는 것 자체가 한심하다고 생각됩니다.
이직을 준비하세요.
Garnett21
24/12/21 21:14
수정 아이콘
네 이직 준비할게요…!
허저비
24/12/21 21:18
수정 아이콘
그...어떤 기분이신지는 직장인으로써 충분히 이해는 가는데
보통 분노의 대상이라면 고과를 준 사람 아닌가요?
팀원들은 그냥 고과 준대로 받은것 뿐인데 그사람들하고 말도 안섞고 그런다는건 좀 이해가 안가네요.
태업을 해도 고과 준 사람한테 해야죠
격렬하게쉬고싶다
24/12/21 21:19
수정 아이콘
현재 받으신 고과를 증명하는 꼴입니다.
고과에 대한 아쉬움을 감추실 필요는 없지만
부디 건강하게 푸시면 좋겠습니다.
Burnout Syndrome
24/12/21 21:23
수정 아이콘
쓴소리 좀 하겠습니다.
어느 순간 부정적인 스탠스로 돌변하면 주위 사람들이 다 압니다. '아.. 쟤 고과 박아서 저러는 구나..'

그렇게 직장에서 더더욱 본인의 지위를 잃고 싶으시다면 글처럼 행동하세요. 다만 이 순간의 기분을 조금만 이겨내고 다시금 본연의 길로 돌아오시면 언젠가는 정상화 됩니다.
24/12/21 21:34
수정 아이콘
고과 때문에 말도 하기 싫다는 감정까지는 제가 잘 모릅니다만 대가에 비해 과한 일을 한다면 어느 정도 페이스를 조절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너무 티나게 움직이시면 여러모로 '구실을 주는' 게 되어버리고 그게 언제 큰 손해로 이어질지 모릅니다. '지금 너무 손해 보고 있으니까 조금 이득을 더 챙겨서 수지를 맞추자' 하는 추구에서 출발하는 건데 결과적으로 손해가 더 커지면 본말전도잖아요. 본문처럼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드러나는 방법보다는 전체적인 업무 페이스를 늦추는 정도부터 시작하는 식이 좋지 않나 합니다.
마술의 결백증명
24/12/21 22:29
수정 아이콘
솔직해서 개추
VictoryFood
24/12/21 22:39
수정 아이콘
일을 평균보다 더하신다고 생각하시면 평균정도로만 하시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24/12/21 22:59
수정 아이콘
남이 빵꾸낸 일 제가 밤새서 처리했더니 그 사람이 포상을 받았을 때 저도 비슷한 감정을 느낀 적 있는데...
자기가 맡은 일은 최선을 다해서 하세요.
그 영역 밖까지 요구한다면 들이받든 이직을 하든 방법을 찾아 보시고요.
24/12/21 23:48
수정 아이콘
태업도 습관됩니다.
남들만큼은 하세요
24/12/22 00:11
수정 아이콘
고과를 못받을 수밖에 없는 마인드네요.
FastVulture
24/12/22 00:17
수정 아이콘
냉정하게 말하면
사실 일은 평균보다는 더 하는 것 같아요 -> 본인 착각일 가능성도 높습니다... 아마 이 글 댓글 다신 분들 중 상당수가 이리 생각할 것 같아요. 솔직히 글만 보면 그렇습니다....
슬이아빠
24/12/22 01:22
수정 아이콘
오 생각보다 댓글 평가가 박하네요. 전 이렇게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너무 열심히 많이 하려고 하지 마시고, 그냥 중간만 가세요. 열심히 많이 하면 그만큼 기대가 커질 수밖에 없거든요. 평균만 하면 됩니다. 남들하는 만큼만 하세요. 괜히 나서거나 야근하거나 하지 마시구요. 그러면서 윗분들 말씀대로 티내지 말고 딱 중간만 하세요. 이게 생각보다 쉽지 않은게 이글 쓰신 분이 나름 욕심이 있어서 일도 열심히 하시고 그랬던 것 같습니다. 저는 위에서 평가한 것처럼 그렇게 박하게 평가할 만한 거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현직장에서는 욕심을 버리시고, 정말 더 욕심이 있으면 중간만 하시면서 다른 직장을 알아보세요. 그리고 이직해서 열심히 해서 보란듯이 성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피를마시는새
24/12/22 10:06
수정 아이콘
글쓴 분의 능력은 이 글만으로 재단될 수 없습니다....

상처받지 마세요.

글 하나만으로, 인정을 못받는다는둥, 고과가 이해된다는둥, 뭔 헛소리 열전인지....
윌슨 블레이드
24/12/22 10:13
수정 아이콘
힘내세요
T분들은 이런글에 굳이 그럴만하다 어쩌고 댓글은 안다셔도.....
24/12/22 10:19
수정 아이콘
주변에 대놓고 태업하는 직원있었는데 일을 떠나서 정신적으로 보면서 너무 스트레스 받았습니다..
마제스티
24/12/22 10:20
수정 아이콘
충분히 이해되긴합니다 화이팅!
지탄다 에루
24/12/22 12:19
수정 아이콘
저 개인적으로는 회사 복지 있는대로 최대한 이용해 먹을 때 좀 복수(?)되는 기분이라 좋았어요.
아침식사 복지 챙겨먹기라든지, 저녁식대 나올 때까지 최대한 업무 늘어뜨려 하고 (느슨하게) 맛있게 먹고 퇴근, 실비 이중으로 되는 것 최대한 기간 내에 있는 거 영혼까지 털어 신청하기 등..
빛나는구름
24/12/22 12:38
수정 아이콘
이 분야에서 권위있는 문서로 CIA에서 배포하는 simple sabotage field manual가 있습니다. 'CIA 사보타주 메뉴얼'등으로 검색하셔도 됩니다.
https://www.cia.gov/static/5c875f3ec660e092cf893f60b4a288df/SimpleSabotage.pdf
Far Niente
24/12/22 12: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태업 방법 알려달라는 글도 어질어질한데
거기에 안좋은 소리 좀 달렸다고 헛소리 열전이라는 댓글이 달리는 건 더 어질어질하네요
설레발
24/12/22 13:32
수정 아이콘
제 말이요.. 그것도 정당한 이유로 태업하겠다는 것도 아니고 고과를 못 받아서 태업한다니... (절레절레)
슬래쉬
24/12/22 14:21
수정 아이콘
너무 약육강식, 무한경쟁 이런 쪽으로만 나가는 것도 문제겠지만
언제부터인가 괜찮아~ 넌 소중한 존재야~ 이러면서 다같이 하향평준화를 강제 조장하는것도 적응이 힘드네요
내 현 상황보다 위로 올라가려고 노력을 해야지, 왜 내 현 상황으로 위에 있는 사람들을 끌어내리려 하는지;;;;;
메르데카일일팔
24/12/22 14:27
수정 아이콘
저라면 그냥 이직이나 타 팀을 알아볼거같습니다.
피해망상
24/12/22 17:14
수정 아이콘
박을거면 윗사람한테 박는게 맞다고 보고, 정치질한 대상이 있는게 아니라면 팀원과는 잘 지내는게 좋다고 봅니다.
24/12/23 10:11
수정 아이콘
저거 다 하지 마세요...차라리 이직을 하세요..
The Greatest Hits
24/12/23 11:14
수정 아이콘
어떤 일을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이직을 해도 이바닥이 다 좁아서 평판이 저보다 먼저 가더군요.
고과에 대한 불만은 일단 접으시고 화이팅하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258 [질문] 화장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월터화이트4385 25/01/05 4385
179257 [질문] 연금저축계좌와 IRP 실물이전 [5] 힐러쫒는둠피5800 25/01/04 5800
179256 [질문] (사진혐주의) 무릎뒤 핏줄이 아픈 느낌이 듭니다 [5] Nal_rA[UoS]5727 25/01/04 5727
179255 [질문] 인터넷 연결 전체를 토어처럼 할순 없나요? 수쥬4653 25/01/04 4653
179254 [질문] 환불 불가가 합법인가요? [13] 퀴즈노스6673 25/01/04 6673
179253 [질문] 공유기를 방에서 거실로 뺄 방법이 없을까요? [14] wook984492 25/01/04 4492
179252 [질문] 맞고, 고스톱에 실력 요소가 얼마나 작용할까요? [9] 골드쉽4142 25/01/04 4142
179251 [질문] 보통 사람들은 유통기한 (소비기한)에 대해 어느 정도 민감한지가 궁금합니다 [13] pnr234026 25/01/04 4026
179250 [질문] 워터파크 종일권 끊고 오후쯤 중간에 밖에 나갔다 오기 [3] 바보영구3684 25/01/04 3684
179249 [질문] 전세 거주 기간 질문입니다 [2] 정유미3403 25/01/04 3403
179248 [질문] 전세대출은 케이뱅크가 짱인가요? [1] 호비브라운4255 25/01/04 4255
179247 [질문] 접촉사고 후 처리과정 질문드립니다. [1] 검정치마3731 25/01/04 3731
179246 [질문] 모니터 받침대 어떤 제품이 괜찮은지요...? [13] nexon4652 25/01/04 4652
179245 [질문] 바지 입다보면 사타구니쪽이 자꾸 찢어지는데요. [11] Pika485536 25/01/04 5536
179244 [질문] 삼국지 관련 재밌는 예능이나 유튜브 영상 추천 부탁드립니다. [6] 보로미어3824 25/01/04 3824
179243 [질문] 3~4개월동안 배울만한거 있을까요? [21] 젤리곰4884 25/01/04 4884
179242 [질문] 주식 고수분들께 질문드립니다. [10] 러버덕5478 25/01/03 5478
179241 [질문] 올해 출산 예정인데 육아에 참고할만한 유튜브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업앤다운타운4774 25/01/03 4774
179240 [질문] PC 견적 관련 질문드립니다.(롤, 디아2 레저렉션) [6] 노암5740 25/01/03 5740
179239 [질문] 스팀덱용 독(또는 허브?) 관련 조언해주실 수 있을까요 [2] amalur4579 25/01/03 4579
179238 [질문] 위건강 관련 개념질문 [3] 스핔스핔4190 25/01/03 4190
179237 [질문] 29개월 애기질문입니다.(무릎주위 통증호소) [10] 싸구려신사5665 25/01/03 5665
179236 [질문] 서울시 거주자우선주차 자리는 토박이 아님 어려운 거죠? [5] 호비브라운5193 25/01/03 519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