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12/15 23:30:39
Name 수금지화목토천해
Subject [질문] 수능 국어시험 기준 변별력이 있는 최저등급은 몇일까요?
안녕하세요.

제가 제목을 좀 복잡하게 지은 것 같은데요.

다시말해 '이 등급 밑으로는 거기서 거기다'라고 생각하시는 최저등급을 몇등급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저는 개인적으로 5등급이라고 생각하고 6등급부터는 충분히 시간을 들여 문제를 풀려고 시도하지 않았거나 다 찍은 변별력 없는 등급이라고 생각합니다.

반대로 말하면 주어진 시간동안 문제를 풀려고 노력한 사람이라면 무조건 5등급 이상은 받을거라는 생각인데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참고
1등급 : 상위 4%
2등급 : 상위 4~11%
3등급 : 상위 11~23%
4등급 : 상위 23~40%
5등급 : 상위 40~60%
6등급 : 상위 60~77%
7등급 : 상위 77~89%
8등급 : 상위 89~96%
9등급 : 상위 96%~100%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12/16 09:01
수정 아이콘
성의있게 풀었다라는 기준 너무 어려운데요 크크
다만 다 찍었다면 원점수 20나올거고
이 점수는 화작기준 9등급입니다.(백분위 2%)
하위권이 언매를 고를거 가진 않아서
jjohny=쿠마
24/12/16 09:09
수정 아이콘
5등급 아래면 거의 절반인데...
6-7등급에도 풀고자 하는 이들은 꽤 있지 않을까요? 8-9등급은 잘 모르겠지만...

(단, 수능 관련 제 지식은 06년도에 멈춰 있습니다)
교대가즈아
24/12/16 09:17
수정 아이콘
시험 난이도에 따라 다르겠죠. 최상위권 변별력은 시험이 어렵게 나올수록 좋은거고, 중하위권 변별력은 시험이 쉽게 나올수록 좋으니까요.
같은 80점이여도 시험에 따라 2등급일 수 있는거고, 4등급일수도 있는거죠.
싸구려신사
24/12/16 09:56
수정 아이콘
5등급이면 거의절반인데 그건 아니라보고 한 8등급쯤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Chrollo Lucilfer
24/12/16 10:10
수정 아이콘
한 15년 전, 저 때에 60문제에서 50문제로 줄어드는 바람에
지문 정독 후 다 풀어내기에 시간이 더 부족 해졌는데
요즘은 어떤가 궁금하네요
24/12/16 19:34
수정 아이콘
제가 08년도 고3이고, 재수 좀 하고, 공익이후까지 해서 13인가 14가 마지막으로 기억하는데,
제 기준으로는 6등급 정도로 봅니다. 과목 불문
어려워서 조졌다, 찍어서 맞췄다고 유의미하게 등급이 와리가리 하는게 그 아래부터라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물론 다를수 있구요.
수금지화목토천해
24/12/17 20:3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119 [질문] 패디플래너 쓸만한가요? 바보영구4302 24/12/23 4302
179118 [질문] 취미로 AI 공부하는 게 가능할까요? [11] 깃털달린뱀4639 24/12/23 4639
179117 [질문] 설문 조사 상품 선정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8] Diadochi3728 24/12/23 3728
179116 [질문] 어깨쪽에 통증이 있습니다. (이전 글 후속 질문) [6] 아케르나르4040 24/12/23 4040
179115 [질문] 시드 13~14억으로 괜찮은 입지가 어디일까요? [24] 다크드래곤5039 24/12/23 5039
179113 [질문] 부가세 관련 문의입니다. [8] 교자만두3804 24/12/23 3804
179112 [질문] 다낭 자유연행 숙소 질문드립니다 [8] 리코타홀릭4339 24/12/23 4339
179111 [질문] 닌텐도 스위치 질문 입니다. [29] 김카리4803 24/12/23 4803
179110 [질문] 4,5년 정도 게임 때문에 업그레이드 압박을 안받으려면 어느 정도 예산이 필요할까요? [8] 15년째도피중4675 24/12/23 4675
179109 [질문] 스팀 겨울세일 추천할만한거 있을까요? [15] 라라 안티포바4801 24/12/23 4801
179108 [질문] 노래 제목 좀 알 수 있을까요 [7] Leos4555 24/12/22 4555
179107 [질문] 모발/두피용 영양제나 트리트먼트 같은 제품들 효과 있는지요...? [11] nexon4388 24/12/22 4388
179106 [질문] AOD 지원되는 저렴이 워치 [11] ArcanumToss4868 24/12/22 4868
179105 [질문] 탈모약 직접 진료 안 받고 복용해도 될까요? [15] 아롬6524 24/12/22 6524
179104 [질문] 블리자드 홈페이지 접속문제 유사하5749 24/12/21 5749
179103 [질문] 해외 장기 거주시 한국집 관리 질문입니다 [3] Uglyman5827 24/12/21 5827
179102 [질문] 안전하게 태업하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요? [35] Garnett217464 24/12/21 7464
179101 [질문] 전기기사로 전업할려고합니다 [13] 장규리6113 24/12/21 6113
179100 [질문] 시중에 파는 김중에 최고는 어디껀가요?? [20] FlutterUser5000 24/12/21 5000
179099 [질문] PS4 안전모드 루프에서 벗어나려다 세이브 파일이 다 날아갔습니다. 수퍼카4162 24/12/21 4162
179098 [질문] 떠먹는 요거트 5~7일 지난거 먹어도 될까요? [26] 설탕물4600 24/12/21 4600
179097 [질문] 어제 듀오링고 1년 결제했는데 취소하고 패밀리로 재결제할수있을까요? [2] 밥잘먹는남자5165 24/12/21 5165
179096 [질문] 직장인분들 하루에 머리 몇번 감으시나요? [39] 앙금빵5625 24/12/21 562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