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12/04 14:36:50
Name 삭제됨
Subject [삭제예정] 퇴사 얼마 전에 말을 꺼내야 할까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꽃이나까잡숴
24/12/04 14:38
수정 아이콘
완벽한 정답은 없겠지만,
통상적으로 4주 전 ~ 6주 전쯤 얘기하면 일반적인 근로자가 해야할 역할은 다했다고 봅니다.
그안에 후임을 못구해서 오는 피해는 회사가 감당해야되는 거구요.
흘레바람
24/12/04 14:43
수정 아이콘
저도 퇴사할때 후임자 구하기 힘든 포지션이라서 60일 전에 통보해주었는데, 퇴사 후에도 후임자 못 구해서 쩔쩔 매더라고요.

사정 봐주기 시작하면 끝도 없기 때문에 정석대로 4~6주 전에 말씀드리는게 옳을 것 같습니다
24/12/04 14:46
수정 아이콘
대충 설 지나고요.. 이직도 아니고 대학원이면 뭐;;; 못나가게 할 방법이 있는건 아니니까;
슬래쉬
24/12/04 14:48
수정 아이콘
관계가 나쁘지 않다면 + 대체자 구하기가 어려운 포지션이라면
일찍 말할수록 좋다고 봅니다.
가만히 손을 잡으
24/12/04 14:51
수정 아이콘
1달은 정말 매너 좋으신 거고요.
2주만 되도 저는 감사할것 같습니다.
미숙한 S씨
24/12/04 22:03
수정 아이콘
1달이 매너 좋다기 보다는, 그냥 기본적인 매너는 지킨다에 가깝죠. 한달 미만으로 남았을때 통보하는게 매너가 없는거구요.
공염불
24/12/04 14:56
수정 아이콘
관계 그런 거 필요없고 4~6주 전에만 통보해도 다 지킬 것 플러스 알파 하시는 겁니다.
남은 인원충원 그런건 인수인계만 하시면 알 바 아니고요. 조직이 알아서 하는거죠.
팀 관리자 상태에서 제가 힘들어도 다 FM대로 하라고 했고 조직에도 그렇게 통보했고 이후 일처리 다 해 나갔습니다. 다 됩니다.
나가시면서 조직 걱정 남은 사람 걱정 하시는거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격렬하게쉬고싶다
24/12/04 15:00
수정 아이콘
FM대로 하는게 서로에게 가장 좋습니다.
24/12/04 15:03
수정 아이콘
대학원 가시는거면 일정 변경될 요소가 거의 없는거 같은데
저라면 최대한 빨리 이야기 할꺼 같아요.

빨리 이야기 해서 마이너스 될 요소가 없어 보이는데
늦게 이야기 해서 [쟤는 좀 자기 중심적인듯?] 이라는 평를 받을 필요는 없죠.
세상이 생각 보다 쫍고 커리어가 이미 남은 회사&업종를 배려하는게 나쁠일은 없죠.

물론 빨리 이야기 해서 마이너스 될 요소가 있으면 절대 이야기 하면 안됩니다.
24/12/04 15:15
수정 아이콘
한 달이요. 너무 빨리 말하면 원하는 시점 못 채울 수도 있습니다. 대체자 같은 건 조직이 고민할 일이지 본인께서 고민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정 마음이 쓰이시면 5,6주 정도?
피를마시는새
24/12/04 15:17
수정 아이콘
5,6주 하면 더 일찍 그만둘수있습니다.
24/12/04 15:21
수정 아이콘
저라면 2월 1일에 이야기 할 듯합니다 (설 다음주)
네파리안
24/12/04 15:36
수정 아이콘
저라면 한달전
어차피 사람 못구해도 문서만 만들어도 도의적으로는 할일 다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포커페쑤
24/12/04 15:38
수정 아이콘
[더 희망적으로는 쌓인 연차 최대한 박아서 4월 중 퇴사하고 싶습니다.(4월 1일 연차 갱신)]
약간 본인의 어느정도 유리한점을 취하시면서, 조직의 후임자 구하는거나 인수인계 어떻게 할지 생각하는게 좀 모순같긴합니다. 아마 늦게 통보하려는게 저걸 안정적으로 취하기 위함인데 택1하시는 수밖에 없습니다. 최대한 이득만 챙길거면 사실 사내규정보고 뭐 한달이나 2주전이라 치면 그거전에 통보하고 퇴사한다하면 되죠. 둘다 챙기려는건 욕심이라고 봅니다.
24/12/04 15:48
수정 아이콘
내가 회사 다닐적에는 3개월전이었는데...
배고픈유학생
24/12/04 16:14
수정 아이콘
한달이요
24/12/04 16:22
수정 아이콘
대충 4주 정도가 예의로 보죠 크크
24/12/04 16:27
수정 아이콘
2주에서 1달요.
말씀하신대로 회사 생각해서 일찍 말했다가
실업급여도 못 받고 놀게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후임자나 인수인계 그렇게 걱정 안해도 되요.
회사가 알아서 합니다.
저도 퇴사전에 후임자 안 들어왔고
그래서 퇴사전에 인수인계용 자료 정리하고 매뉴얼 만들고 이랬는데
전직장 상급자 분이 그렇게까지 안해도 된다고 쉬라고 그러더군요.
타츠야
24/12/04 16:53
수정 아이콘
개인 사정으로 퇴사는 실업급여 못 받지 않나요?
24/12/04 17:30
수정 아이콘
실업급여 받을 수 있다는 소리가 아니라
미리 말했다가 미리 퇴사하면 놀기만 하고 돈도 못 받는 다는 말입니다.
타츠야
24/12/04 17:50
수정 아이콘
어떤 취지로 하신 것인지는 이해했습니다. '실업급여'라는 용어를 다른 의미로 쓰신거군요.
24/12/04 17:21
수정 아이콘
본인의사로 퇴사면 실업급여는 당연히 못받습니다.
로하스
24/12/04 16:44
수정 아이콘
회사라는 곳이 직원 내보낼 때 직원이 여기 나가면 뭐해서 먹고 살까
걱정하고 배려하면서 내보내지 않잖아요. 너무 회사 걱정하지 마시고 한달정도 전에
통보하시면 충분할거 같아요.
유료도로당
24/12/04 16:58
수정 아이콘
HR 실무자입니다. 나 없으면 이 회사 어떻게 돌아가나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건 회사가 걱정해야 할 문제이고, 보통은 어떻게든 돌아갑니다.
한달 살짝 넘게 남은 정도로 통보하시면 무난합니다. 당장 내일 나가겠다는것도 아니고, 한달전에 얘기하는걸 "갑자기 얘기하면 어떡하냐"고 얘기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지니팅커벨여행
24/12/04 17:10
수정 아이콘
대학원이면 늦어도 3월에는 입학해서 다녀야 될테니 12월 말이나 1월 초에 얘기하고 2월까지 다니다 나오는 게 좋지 않을까요?
일월마가
24/12/04 17:11
수정 아이콘
한 달 정도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페로몬아돌
24/12/04 17:22
수정 아이콘
2주면 충분하죠 한달이면 큰말 안 합니다
24/12/04 17:27
수정 아이콘
저라면 연말연초 큰일 정리하고 퇴사 이야기 할 듯 합니다.
한두달 월급이 크기는 한데, 길게 보면 인생 크게 달라지지는 않을꺼라,
대학원 진학이 결정되고, 큰일 정리하고 퇴사 이야기 하면 후임 구할 시간도 있고,
같이 일하던 직장 동료들도 글쓴분 배려도 느낄거고 뭐 그러는 게 의외로 좋을 듯합니다.
시간 남으면 여행이나 휴식도 하시고요.
물론 금전적 문제가 있으시면 개학 1달전에 이야기 하면 되겠죠.
24/12/04 17:28
수정 아이콘
보통 한달이죠
미카엘
24/12/04 18:08
수정 아이콘
도의 상 한 달
Alcohol bear
24/12/04 19:23
수정 아이콘
1~1.5개월
회사사정 다 봐주면 암것도 못해요
24/12/04 19:46
수정 아이콘
한달 국룰이죠 더도
성야무인
24/12/04 20:35
수정 아이콘
1주일 전이나 하루전에 나 나갑니다라고 잠수하는 것만 아니면 됩니다.
이오니
24/12/04 20:48
수정 아이콘
2월 중후반에 말하면 될 것 같아요.
회사 사정 봐주면 1월 초요.
인생잘모르겠
24/12/05 08:23
수정 아이콘
4~6주요, 6주정도면 미리 관둘려 한다 정도 이야기 해두시고 그다음 확고하다 이야기 해야죠.
무냐고
24/12/05 08:58
수정 아이콘
저도 6주가 괜찮아보이네요.
깃털달린뱀
24/12/05 09:24
수정 아이콘
여러분 모두 의견 감사드립니다. 참고해서 결정하겠습니다.
글은 잠시 후 삭제하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8997 [질문] 김포공항 주차대행 이용해보신분? [6] 꿀행성5040 24/12/14 5040
178996 [질문] 계엄 선포 시기 관련 질문해봅니다 [8] 깔끔하게4314 24/12/13 4314
178995 [질문] 발라트로 스위치판 번역 어떤가요? 회전목마3975 24/12/13 3975
178994 [질문] 1본체 2모니터 연결 질문 [10] 연벽제4487 24/12/13 4487
178993 [질문] 유튜브 추천영상 관련 질문입니다. [2] 앙스3593 24/12/13 3593
178992 [질문] e스포츠학 석사 과정 대학원 진학 고민 [2] 욱상이4194 24/12/13 4194
178991 [질문] 차량관리 출퇴근 짧게 vs 1,2주 한번 운행 [5] 공부안하고왜여기3789 24/12/13 3789
178990 [질문] 속초에서 경주로 평일 오전에 이동하는데 방문할만한 곳 추천부탁드립니다. [3] 풍월량3958 24/12/13 3958
178989 [질문] 갤럭시 탭을 쓰고 싶은데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liten3739 24/12/13 3739
178988 [질문] 코스트코 와인 추천 부탁드립니다.(콜키지) [4] stayclever3839 24/12/13 3839
178987 [질문] 특정 이론의 이름이었던것 같은데 도움 부탁드립니다. [4] 정 주지 마!3455 24/12/13 3455
178986 [질문] 심심한데 읽을만한 영어 원서 소설이 있을까요 [10] 깃털달린뱀3460 24/12/13 3460
178985 [질문] 스타크래프트 (배틀넷 런쳐) 실행이 안됩니다. [2] nm막장3910 24/12/13 3910
178984 [질문] 경신대기근은 왜 한국사에서 언급조차 잘 되지 않을까요? [9] 독서상품권4403 24/12/13 4403
178983 [질문] 8살 아들과 같이 할만한 닌텐도 게임 추천 부탁 드립니다. [17] 황신강림4148 24/12/13 4148
178982 [삭제예정] 돈에 관련한건데 [21] 너부리야놀자4485 24/12/13 4485
178981 [질문] 커피 머신 질문 하나 더요...... [15] 카페알파3731 24/12/13 3731
178980 [질문] 100만원 내외의 컴퓨터로 스팀겜 중옵으로 돌릴 수 있나요? [5] 라리4164 24/12/13 4164
178979 [질문] 상급 공유기 1개 vs 그 아래 단계 공유기 2개 [4] 득이3265 24/12/13 3265
178978 [질문] SSD 추가 장착 문의드립니다. [2] lefteye3469 24/12/13 3469
178977 [질문] 컴퓨터 견적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7] 키르아4222 24/12/13 4222
178976 [질문] 하야가 탄핵보다 빨리 끝나나요? [20] 안경5643 24/12/12 5643
178975 [질문] 컴퓨터 새로 사서 예전 하드디스크 연결 가능한가요? [3] 속보4389 24/12/12 43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