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12/03 20:32:22
Name nexon
Subject [질문] 이중언어환경에서 아이들은 어떻게 언어를 학습하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아래 영상을 보고 든 의문인데요





아이가 부모와 있을 때는 한국어를, 조부모와 있을 때는 영어를 자유롭게 구사하고 있는데

태어났을 때부터 이런 이중언어환경을 접한 아이는 어떻게 혼란스럽지 않게 언어별로 익히게 되는 것일까요...?


예컨대 어느 하나의 언어를 완전히 익힌 뒤에 다른 언어를 접하는 게 아니라

영어와 한국어를 거의 같은 시기에 동시에 접하게 되면 혼란스러워서

"나는 like this food 합니다" 와 같이 어휘가 섞이거나 엉터리 문법이나 발음이 될 수도 있을 텐데

부모와는 "나는 이 음식을 좋아합니다", 조부모와는 "I like this food"로 구분해서 의사소통하는 것은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12/03 21: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혼란스러워하지 않은 케이스를 보셨고, 말씀하신대로 굉장히 혼란스러워서 언어구사력이 떨어지는 아이도 많습니다. 제 친구 아이가 그런 케이스거든요. 한 언어를 집중적으로 배운 다음에, 다음 언어를 배우는 형태로 진행해야 둘 다 잘 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저도 전문가님의 답변이 궁금하네요.
24/12/05 20:51
수정 아이콘
헐 반대사례도 있군요..
DIEFORYOU
24/12/03 21:49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저러면 아동학대 민원으로 신고당할텐데 미국이라 다행이네요 크크
아서스
24/12/03 22:06
수정 아이콘
20살까지 부산에서 살다가, 지금은 직장때문에 서울에 사는 한국인의 예를 생각해보면 됩니다.

부산에 가서 어른들과 대화할때 - 부산 사투리로 존댓말
부산에 가서 고향 친구들과 대화할때 - 부산 사투리로 반말
서울에서 직장 상사들과 대화할때 - 서울말로 존댓말(부산 억양은 약간 남음)
서울에서 서울 친구들과 대화할때 - 서울말로 반말(부산 억양 많이 섞여있음)

한국어 하나 가지고도, 청자가 누구냐에 따라 자연스럽게 말투와 단어가 달라지죠. 예를들어 친구에겐 잠 잤냐라고 묻겠지만, 어른에겐 주무셨냐고 물을겁니다.

한국어/영어 이중언어를 쓰는 아이가, 한국인 엄마에겐 한국어를 쓰고, 미국인 조부모에게 영어를 쓰는 것도 위와 똑같습니다.
저 아이에겐 한국인 엄마 = 한국어로 소통해야함 인거고, 미국인 조부모 = 영어로 소통해야함 인거에요.

물론 "나는 like this food 합니다" 같은 말을 쓸 수도 있습니다. Code-mixing 이라고 하죠. 어려운 명사/동사를 쓸때 생각이 즉각 떠오르지 않으면, 다른 나라언어를 빌려오는건데, 이건 정말 어려운 단어(법률용어, 학술용어 등)가 나올때 쓰는거고, 일상에서 쓰는 수준의 말에선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24/12/05 20:51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고라니
24/12/03 22:18
수정 아이콘
헐크의 비결처럼 아이의 머릿속은 항상 혼란하기 때문에.... 는 농담이고요.
친구들을 보면 학교에선 영어, 집에선 한국어인 경우가 많은데 주로 필요에 따라 쓰게 됩니다. 헷갈리기보다는 갈리오할땐 갈리오로 조이할땐 조이로 플레이하듯이 본인 필요한만큼 바뀌는 것같아요.
근데 애들이 커가면서 점점 어색해지는 언어가 점점 생깁니다. 주로 사회생활 밖에서 쓰는 언어쪽이요. 집에 와서도 영어로 쓰려고 해요.
24/12/05 20:52
수정 아이콘
오 나이들어감에 따라 다르군요..
여기에있어
24/12/04 05:12
수정 아이콘
한국인이 어른이랑 있을때는 존대말을 하고 친구랑 있을때는 반말을 하는 것과 비슷하지 않을까요. 어디선가 들었는데 이중 언어 교육에서 중요한 건 한명은 영어만하고 한명은 한국말만 해야지 섞어서 쓰면 아이에게 더 혼란을 준다고 하더라구요.
24/12/05 20:52
수정 아이콘
그럴 수 있겠네요
깃털달린뱀
24/12/04 08:48
수정 아이콘
이중언어 상황에서의 아기도 두 언어를 구분할줄 안다고 합니다. 그게 어떻게 되는지는 아직 우리 뇌의 신비인 걸로...
24/12/05 20:52
수정 아이콘
신기하네요
바람기억
24/12/04 09:26
수정 아이콘
어릴 적에 언어를 습득하는 특별한 기능이 있다고 하더라고요
그 시기를 벗어나면 습득하는 데 어려움이 생기는 걸로 볼 때, 개인적으로 맞다고 봅니다
24/12/05 20:52
수정 아이콘
드드드
24/12/04 09:29
수정 아이콘
이중 언어를 사용하거나 해당 외국어에 많이 익숙한 경우 한국어로 생각하고 외국어로 번역해서 쓰는 게 아니라
외국어를 써야 하는 상황이나 대화에선 외국어로 생각하고 외국어로 말한다고 하더군요.
한국어로 생각하고 외국어로 번역해서 말한다면 혼란스러울 거고 외국어로 생각하고 외국어로 말하면 어휘력의 문제만 있을 뿐 혼란스럽진 않겠죠.
어린 상태에서 배운다면 이 구분이 조금 더 명확해 질거구요.
24/12/05 20:52
수정 아이콘
신기하네요
나이스후니
24/12/04 10:58
수정 아이콘
제가 국제결혼이라 이걸 고민중인데, 아이들이 어릴때 교육받으면 2개의 언어방이 머리속에 생긴다고 하더군요. 한국인이 아무리 영어를 잘해도, 머리속에서 한번 번역후 거치는 과정이 필요한데, 아이는 그게 생략되는 식으로요. Hi가 안녕하세요가 아닌, 그냥 Hi로 인식하는 거죠. 그 시기가 지나면 1개의 언어방에 수학, 과학처럼 외국어가 공부로 습득되는 거 같습니다.

일단, 위조건이 성립되려면 아빠는 한국어, 엄마는 영어 이런식으로 일관되게 해야한다고 합니다.
24/12/05 20:52
수정 아이콘
신기한 것 같네요...
꽃이나까잡숴
24/12/04 18:23
수정 아이콘
넷플릭스에 육아 관련 다큐에서 본 건 관련해서 전문가가 설명해주는 게 있습니다.
전문가의 의견이니 일반 네티즌 보다는 권위가 있다고 보셔도 되겠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영유아는 언어의 운율성? 이라고 해야할까요. 언어 특유의 리듬과 높낮이 등을 통해
언어를 구분해 내는 능력을 탑재하고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머리속에서 두 언어가 엉키지 않는다는 것이죠.

해당 전문가는 그래서 두개의 언어를 쓰는 바일링규얼 가정에 태어난 아이들은 언어적인 축복속에서 태어난 것과 같다고 설명합니다.

해당 영상 보시면 한국어<->영어 정도로 아예 다른 언어뿐만이 아니고
영어<->프랑스어도 완벽하게 구분해서 익힙니다.
24/12/05 20:53
수정 아이콘
아이의 언어학습은 정말 신기한 것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031 [질문] 에탄올 워셔액 버리는 방법 [7] 나나나5793 24/12/16 5793
179030 [삭제예정] 고통스러운 상사를 탈출하는 게 답일까요 [20] 장마의이름4706 24/12/16 4706
179029 [질문] 맥주 한캔도 간에 해롭나요? [7] 버트런드 러셀4567 24/12/16 4567
179028 [질문] 작업표시줄(아랫쪽) 그래픽이 깨집니다 [4] 정공법3753 24/12/16 3753
179026 [질문] 탈모약 복용후 식욕이 폭발적으로 늘어났습니다 [7] 크산테3953 24/12/16 3953
179025 [질문] 이곳저곳 아파서 질문드립니다.(이빈후과쪽) [13] SaNa3380 24/12/16 3380
179024 [질문] 회사 연말 선물 고민 [9] 모스티마3722 24/12/16 3722
179023 [질문] 서유럽이 한국보다 마약문제가 더 심각한가요? [11] 독서상품권5430 24/12/16 5430
179022 [질문] 월세 방 빼기 2달 전 고지 의무 관련 질문 [7] Mrs. GREEN APPLE4495 24/12/16 4495
179021 [질문] 해축 좋아하시는 직장인 분들은 새벽 경기 어떻게 즐기시나요? [13] WhiteBerry3801 24/12/16 3801
179020 [질문] 이사온 곳이 외부에서 창문으로 집이 너무 잘보여 고민입니다 [8] DENALI4418 24/12/16 4418
179019 [삭제예정] 인간관계 관련 문의 [3] 삭제됨3284 24/12/16 3284
179018 [질문] 구글사이트로 만든 페이지 검색 되게 하는 법? [1] 서쪽으로가자3552 24/12/16 3552
179017 [질문] 컴퓨터 질문입니다. [4] 해맑은 전사4311 24/12/16 4311
179016 [질문] as받는데 구매기록을 가져오라는데... [6] 비행기타고싶다4451 24/12/15 4451
179015 [질문] 수능 국어시험 기준 변별력이 있는 최저등급은 몇일까요? [7] 수금지화목토천해3800 24/12/15 3800
179014 [질문] 요즘에 오징어 짬뽕 잘하는곳 보신 분 있나요 [3] 형리4440 24/12/15 4440
179013 [질문] 탄핵 인용 되겠죠? [29] 로즈마리5838 24/12/15 5838
179012 [삭제예정] 분실된 공유기를 찾을 수 있나요?? [4] 삭제됨3560 24/12/15 3560
179011 [질문] poe2 튕김 문제..? [2] Jane6872 24/12/15 6872
179010 [질문] 우체국 서류발송시 꼭 규격봉투? [7] 흰둥4097 24/12/15 4097
179009 [삭제예정] 빵에간 대통령+윤을 순위매기면 어떻게 될까요? [30] 삭제됨5569 24/12/15 5569
179008 [질문]  제미나이와 쳇지피티 쓰고 있는데요 수쥬4772 24/12/14 47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