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11/15 15:04:39
Name 유포늄
Subject [질문] 인텔 14세대 간헐적인 발열증상
부품        모델
CPU        i9 14900k
수냉쿨러        ASUS ROG RYUJIN II 360
메인보드        ASUS ROG Maximus Z690 Extreme WiFi
메모리        지스킬 DDR5 RAM 6400 32GB 메모리 C32
파워        EVGA SUPERNOVA 1600G+ 80PLUS골드
그래픽        RTX 3070ti

안녕하세요
한달전에 1~2년 사용한 그래픽카드 제외한 반본체 구입했습니다.
유튜브 보고 있으면 보통 시퓨 온도가 30~40도에서 왔다갔다합니다 그러다가 간헐적으로 쿨러가 윙~~ 돌면서 cpu 온도가 70~80도까지 솟구쳤다가 5~20초 정도 팬 돌고 다시 30~40도로 내려옵니다. 한번 시작하면 5~10분 간격으로 1~2번으로 끝날때가 있고 5~6번 정도 반복되기도 합니다.
cpu점유율은 온도와 무관하게 5~10%로 잔잔합니다.

질문 1. 저렇게 순간적으로 온도 올라가는게 정상인걸까요?? 아니면 무언가를 체크해봐야 할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ord Be Goja
24/11/15 15:25
수정 아이콘
순간적으로 하드웨어 인코딩이 적용되지 않는 4k+ 영상이 걸리거나
(그런데 3070이면 거의 될텐데?!)
뭔가 다운로드를 받을때 윈도우 내장 백신이 파일을 스캔하면서 부하가 걸려 생길수 있습니다
스팀에서 게임 다운로드 걸면 쿨러 소리커진다면 거의그 문제맞구요


쿨러가 조금 불량하게 붙었을경우도(아주 엉터리면 149k사용자체가 불가능하니 아니고,서멀이 잘 안발라졌다던지) 그럴수는 있는데 이건 시피유 작동클럭을 모니터링 해보시면 알수 있습니다 5기가 이상으로 올라갈때 소리나는건 정상이고,평시클럭이 4기가를 못넘으면 쿨러가 뭔가 이상한거고..
유포늄
24/11/15 16:03
수정 아이콘
시피유 작동클럭 모니터링은 윈도우 작업관리자로 하면 될까요?
쿨러가 돌면서 온도가 올라갈때 클럭값이 5기가 넘어가면 정상!! 4기가대라면 어딘가 문제이니 서멀이나 고정 상태를 확인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주산정어리
24/11/15 15: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갑자기 기능 이름이 생각이 안 나는데, 바이오스상 디폴트 세팅이면 전원 관리 때문에 그럴 겁니다. 아이들시 클럭을 낮췄다가, 뭔가 CPU가 동작할 일이 있으면 클럭 쫙 땡겨지고, 전압 먹고... 그렇습니다. 다만 바이오스의 펌웨어 버전이 낮다면 업데이트는 해보시길 바랍니다.
유포늄
24/11/15 16: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pgr21.net/qna/178343
얼마전에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진행하였습니다.
평상시에 저전력모드로 대기하다가 연산이 필요할때 엑셀을 세게 밟는다는 말씀이신거죠?
저는 위 링크 질문글에 관련하여 14세대라서 데미지 먹고 간헐적인 발작이 아닐까 걱정했는데 살짝 마음이 놓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적다보니 생각났는데 저렇게 팬이 빠르게 돌아갈때마다 항상 그런건 아니지만 유튜브 영상과 마우스 포인트가 멈칫 멈칫~ 하는데 괜찮을까요?
제주산정어리
24/11/15 21: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 아이디하고 시스템이 어디서 본 것 같은데... 했습니다. 제가 추측하는 건 C-State, 스피드 시프트 등의 기능입니다.

다만 추가로 질문하신 건과 합해서, 개연성이 있다, 정도로 말씀드리는 수준이지, 정답에 해당하는 원인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 이슈로 이미 CPU에 데미지는 입은 상태라고 예상이 되고, 거의 모든 전자회로가 그렇습니다마는 그럼에도 전압과 전류가 계속 흐르는 이상, 소자의 열화는 자연적인 수준 이상으로 가속화 된다고 봄이 합리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지금 XMP 기능도 오류 때문에 끄신 걸로 아는데, 그것 또한 CPU와 관련된 문제인지, 메모리 자체의 문제인지 당장은 알 길이 없습니다. 최소한 CPU가 멀쩡하다는 전제가 있어야 테스트에 신뢰성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메모리 문제 또한 질문 주신 내용의 증상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AI SUITE, 아머리 크리에이트 둘 중 하나가 설치되어 있다면, 혹시 바이오스 세팅과는 별도로 자동 오버클럭 기능 등이 켜져있는지를 한 번 정도 확인해보세요. 어차피 팬속이 거슬린다면 내장 유틸리티인 팬엑스퍼트를 쓰셔야 할 것이므로 겸사겸사 진행하시면 좋습니다.
유포늄
24/11/17 15:38
수정 아이콘
아머리 크리에이트가 설치되어있고, ai오버클럭 ai쿨링 둘 다 꺼져있습니다.
팬 엑스퍼트를 설치하긴 했는데 역시 cpu의 소자 열화일 가능성이 있군요
조금 더 사용하다가 빈도가 높아지면 교환신청을 해봐야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Lord Be Goja
24/11/15 15:44
수정 아이콘
그리고 13-14세대 i9가 급발진할때 커버할수 있는 수준의 열용량을 갖춘 히트스프레더같은건 아직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온도랑 팬속이 바로 연계되는 팬속옵션상태로 두시면 막을수가 없으실거고.. 팬속을 귀에 거슬리지 않는수준까지 항시 유지하도록 올려두시는게 나을거에요
유포늄
24/11/15 16:16
수정 아이콘
댓글 적다보니 생각났는데 저렇게 팬이 빠르게 돌아갈때마다 항상 그런건 아니지만 유튜브 영상과 마우스 포인트가 멈칫 멈칫~ 하는데 괜찮을까요?
팬소음보다는 cpu 혹은 pc 어느 부품이 고장이 아닌지 걱정하고 있습니다.
manymaster
24/11/15 15:56
수정 아이콘
CPU 내장 그래픽으로 유튜브 돌리고 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CPU 점유율은 낮은데 온도가 튀는 거면 내장 그래픽이 돌아가고 있는 것일 가능성을 점쳐보겠습니다. 내장 그래픽은 따로 치거든요. 모니터 단자가 보드 쪽에 꼽아져 있는 것인지 확인해주세요. 본체가 세워져 있으면 보드 쪽 모니터 단자도 세워져 있고, 글카쪽 단자는 눕혀져 있습니다. 위에 다른 분이 말씀드린 것 처럼 쿨러가 불량하게 붙었다거나 디폴트 세팅 특성일 가능성도 있어보이고... 아니라면 XMP 실패나 유튜브가 갑자기 메모리 처묵하는 증상이 있는 것도 가능성이 있지 않나 의심되긴 한데...
유포늄
24/11/15 16:29
수정 아이콘
그래픽 카드쪽 단자에 꼽혀있습니다~
XMP 설정했다가 블루스크린 떠서 꺼두었습니다.
cpu 점유율만 보고 있어서 정확하진 않은데 램 점유율도 크게 움직이진 않았습니다. 다음 모니터링때 램 점유율도 살펴보겠습니다!
14세대가 문제가 많다고 하니 이런 가벼운 증상에도 자꾸 신경이 쓰게 됩니다.ㅜㅜ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manymaster
24/11/15 22:36
수정 아이콘
글카쪽 단자에 꼽혀있다 하더라도 여전히 내장 글카 쓸 수 있는 듯 하군요. 작업관리자에서 인텔 UHD 그래픽스 점유율 한 번 확인해보시고, 점유율이 높다면 여기( https://dwcts.co.kr/ServiceCenter/Support/FaqDetail/1/376 ) 참고하셔서 내장 그래픽 꺼주세요. 점유율이 낮다거나, 못 끈다거나, 꺼도 증상이 비슷하다면... 이제는 CPU가 돌아오지 못할 길을 건넜을 가능성을 점쳐봐야 겠군요.
다른 분들 의견도 참고해주세요. 증상은 진짜 여러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포늄
24/11/17 16:00
수정 아이콘
점유율은 계속 낮은 상태입니다.
아무래도 시퓨가 아픈게 맞는 것 같습니다.ㅜㅜ
답변주셔서 감사합니다!
24/11/15 20:06
수정 아이콘
2가지 경우가 있겠죠
1. cpu가 뭔가의 이유로 전력소모가 급등했다가 다시 내려간다.
2. cpu 전력 소모는 별로 안 높은데, 쿨링에 뭔가 문제가 있어서 온도가 치솟는다.

온도가 치솟았다가 금방 다시 내려온다고 하시니 2번은 가능성이 낮을거 같고요. 1번이라면, 고급 3열 수랭이 80도 되려면 cpu package power가 200w 훌쩍 넘겨야 하거든요. 굉장히 빡센 부하 줬다는 말인데, 유튜브 보는 것만으론 불가능한 일이죠. 백그라운드에서 미친 프로그램이 활동하는게 아닐까 의심해봅니다. 근데 시퓨 점유율 5-10프로라고 하시니 또 갸우뚱하네요.
유포늄
24/11/17 16:04
수정 아이콘
검색하고 ai한테도 물어봐도 답이 안되었었는데 14세대에서 바이오스 패치를 받아도 간간히 전압이 튀다고 합니다.
아마 전압이 튀면서 발열이 생기는게 아닌가 추측됩니다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9048 [질문] 기성복 2벌 구매해야하는데 어디가 괜찮을까요? [19] 크음3731 24/12/17 3731
179047 [질문] 10년만에 롤 복귀 질문입니다. [7] 속보4350 24/12/17 4350
179046 [질문] 8인이 할 보드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18] 팜하니4377 24/12/17 4377
179045 [질문] TV 겸용 모니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2] armian4285 24/12/17 4285
179044 [질문] 울산 풀코스 문의 [9] 오징어개임4125 24/12/17 4125
179043 [질문] 세차 언제 하는게 좋을까요? [22] Alcohol bear5030 24/12/17 5030
179042 [질문] 드래곤 라자 내용 중 질문 드립니다. [9] 경마장9번마4413 24/12/17 4413
179041 [질문] 방탈출 게임 기획에 쓸만한 어플이나 프로그램? [6] 엔지니어4205 24/12/17 4205
179040 [질문] 오토바이 접촉사고 질문입니다. [11] 트리거4505 24/12/17 4505
179039 [질문] 복도식 아파트 스티로폼 박스에 3일간 있던 모짜렐라 치즈 괜찮을까요? [9] Succession5130 24/12/17 5130
179038 [삭제예정] 일본어 듣기에 대한 조언을 구합니다. [5] 4177 24/12/17 4177
179037 [질문] 연금계좌 질문입니다. [4] Alfine4660 24/12/16 4660
179036 [질문] 일본사람 선물용 김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로각좁4581 24/12/16 4581
179035 [질문] 중학교 진학하는 남자 조카 선물 문의입니다. [10] interconnect4382 24/12/16 4382
179034 [질문] 갤럭시 워치6, 7 LTE 모델 폰없이 전화 가능할까요? [3] 5633 24/12/16 5633
179033 [질문] 엑셀이 삭제되었어요 ㅠ [2] 브라보4494 24/12/16 4494
179032 [질문] 유주택자도 주담대가 가능한가요? [4] 사계4548 24/12/16 4548
179031 [질문] 에탄올 워셔액 버리는 방법 [7] 나나나6282 24/12/16 6282
179030 [삭제예정] 고통스러운 상사를 탈출하는 게 답일까요 [20] 장마의이름5032 24/12/16 5032
179029 [질문] 맥주 한캔도 간에 해롭나요? [7] 버트런드 러셀4951 24/12/16 4951
179028 [질문] 작업표시줄(아랫쪽) 그래픽이 깨집니다 [4] 정공법4089 24/12/16 4089
179026 [질문] 탈모약 복용후 식욕이 폭발적으로 늘어났습니다 [7] 크산테4316 24/12/16 4316
179025 [질문] 이곳저곳 아파서 질문드립니다.(이빈후과쪽) [13] SaNa3664 24/12/16 366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