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10/11 12:57:40
Name 엔쏘
Subject [삭제예정] 결혼식 때 신부 오빠는 뭐 하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일주일 뒤에 동생 결혼식인데 오빠인 저는 뭐 해야 하는지 조언을 구하고자 여쭈어봅니다.
뭐 이런 걸 물어봐 하실 수도 있지만, 아무래도 주인공은 신부와 신랑이니 적어도 그들에게 불편함을 느끼지는 않도록 조심하고 싶어서..

tmi라 삭제예정 글로 올린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일단 부모님이 이혼하셨습니다. 두 분이 서로 사이는 좋지 않습니다만 지금은 데면데면 얼굴 보면 그냥 간단한 인삿말 정도는 하는 사이입니다.
식을 위해 모이시기로 했고 양가 부모님이 모여서 서로 상견례도 마치긴 했습니다.
저희 남매는 이혼하신 부모님과 다 사이 좋습니다.
신랑측도 가정상황 다 공유한 상황입니다.

일단 식 둣 시간 전에 부모님 모시고 식장 안 미용실 가서 부모님들 앉히고.. 하는것까진 습득했습니다,(식장 가이드라인에 따라)
저는 아버지를 모시고 가기로 했고 어머니는 따로 오십니다.

역시 tmi지만 이모들은 아버지를 별로 좋아하지 않으시고, 고모들은 어머니를 좋아하지 않으십니다.
신부 부조금은 어머니측 이모 식구들(이모부 등)이 챙겨주시기로 했습니다.
아버지는 따로 결혼식때 축사 등의 이벤트는 하지 않으시고 신부 입장 시 같이 들어가는 정도..의 역할입니다. 혼주석엔 두 분 다 앉아계시고.

뭐 그런데 이정도의 가정 문제는 많이들 았으신 걸로 생각됩니다.

신부 오빠의 역할은 주로 어떤 점을 정신차리고 하면 되는지 여쭙습니다.

답변 미리 감사합니다.
모두 가내에 평안한 일들만 가득하길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아Jo씨
24/10/11 13: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응원이요..

말씀하신 상황이라면, 부모님 두 분 케어를 사이에서 잘 해드려야겠네요.
24/10/11 14:21
수정 아이콘
저도, 부모님 두분 + 이모님들 고모님들 사이에서 불미스러운 일 없도록 잘 케어요.. 혹시나 그런일이 발생하면 동생분께는 정말 좋지 않은 기억일겁니다.
24/10/11 13:04
수정 아이콘
결혼식전 식장 입구에서 하객들 맞이하기.. 결혼식후 가족 사진촬영
피로연 끝나고 뒤처리 (식대 정산, 축의금 정리 등등) 하시면 될거 같네요.

제 동생 결혼 했을땐 그 정도 했던걸로 기억합니다.
건강하세요
24/10/11 13:12
수정 아이콘
하객맞이, 촬영, 정산, 부모님 케어요
신부는 아무것도 신경쓰지 못하거든요
시무룩
24/10/11 13:16
수정 아이콘
저는 동생 결혼식때 아버지 옆에 멀뚱멀뚱 서서 친척분들 오시면 인사나 했었습니다
그 외에는 보통 하객처럼 있다가 그냥 갔구요
마찬가지로 제 동생도 제 결혼식때 친척분들한테 인사한다고 서있는거 말고는 딱히 한건 없었구요
밥먹는 자리에 있던 것 까지는 기억이 나는데 언제 갔는지는 기억도 안나네요 크크
형제자매는 사실 없어도 그만인 자리라 가족분이 요청하는 일이 따로 있지 않으면 특별히 하실건 없을껍니다
꽃이나까잡숴
24/10/11 13:22
수정 아이콘
신부 남동생만 해봤는데 그냥 저는 앞에서 돈받는거만 했습니다; 다른건 아무것도 한게 없네요.
24/10/11 13:29
수정 아이콘
인사하고 돈 받고 식권나눠주고 한다고 결혼식 구경을 막상 잘 못했었네요.
모나크모나크
24/10/11 13:37
수정 아이콘
돈 받아야 되면 돈 받고 아니면 그냥 식장에 계시면서 뭐 필요한거 도와달라는거 도와주심 될 것 같습니다.
24/10/11 13:38
수정 아이콘
전 누나결혼 할때 축의금받고 식권주느라 아무것도 못봤네요
24/10/11 13:40
수정 아이콘
걍 웃는 얼굴로 인사 잘 하시면 됩니다
24/10/11 13:52
수정 아이콘
신랑 신부의 남자형제는 보통 축의금접수를 맡게 되더군요. 그냥 정신없이 접수받다가 보면 식 다 끝나있는...
24/10/11 13:53
수정 아이콘
돈 받는 것, 그리고 친척들에게 밝은 얼굴로 열심히 인사하는 것 정도 생각나네요.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 그리고 친가와 외가 사이가 미묘하다면 때로는 아버지를 대신해, 때로는 어머니를 대신해 인사하실 일이 있으실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24/10/11 13:57
수정 아이콘
아마 축의대에서 정산하시겠죠? 그거 꼼꼼히 해주시는것만으로도 큽니다 크크
No.99 AaronJudge
24/10/11 13:59
수정 아이콘
보통 축의금 받으시던데
그거 하시다 보면 시간 다 가더라구요 크크
뽐뽀미
24/10/11 14:10
수정 아이콘
부모님 케어! 생각보다 더 긴장하셔서 크크
가볍게 드실 간식이나 마실 거 준비했었네요.
24/10/11 14:14
수정 아이콘
좀 오래전이긴 한데... 예전에는 갈비탕 갯수 세는게 중요해서 갈비탕 나갓다가 손님에게 안가고 다시 들어와서 또나가는 경우가 있어서 식당에서 갈비탕만 세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사진찍는다고 밥먹고 있던 아는 사람에게 잠깐만 밥좀 세주세요 하고 뛰어 갔던 기억 나네요.
한화우승조국통일
24/10/11 14:20
수정 아이콘
보통 축의금 받죠
아무래도 돈문제라서 가족이 맡는 게 좋으니...
24/10/11 14:29
수정 아이콘
축의금 정산 받고 친척들 오면 인사하고 부모님 잘 모시고 식끝나고 귀가 하시면 됩니다
24/10/11 14:32
수정 아이콘
저는 축의금 받았는데 그거 받고 나니깐 식이 다 끝나서 뭘 할 게 없던데요..
밥 먹고 집에 왔습니다;
그게 아니어도 양가 부모님이 다 계신다면 딱히 오빠가 할 일은 없을 겁니다.
수리검
24/10/11 14:49
수정 아이콘
축의금 관리하시는 거 아니라면
열심히 인사나 하시고 뭔가 사소한 돌발상황이 생기면 요령껏 처리하시면 됩니다

즉 딱히 할 일 없습니다

무성의한 답변 같지만 실상이 그래요 ..
시드라
24/10/11 14:53
수정 아이콘
축의금 받기하면 그거만 해도 정신없고

그걸 다른 사람이 하면 인사하고 접객해야죠
24/10/11 14:55
수정 아이콘
축의금 받고 식권 정산한 뒤 가족끼리 밥 먹고 해산하는 거 아닌가요
24/10/11 15:08
수정 아이콘
친척들 오면 그냥 인사 하고 맞아주시고 축하 열심히
그냥 다 정신없이 지나갑니다. 주인공도 가족들도
오타니
24/10/11 15:09
수정 아이콘
신부옆에서 5분대기조 하세요 흐흐
아밀다
24/10/11 15:29
수정 아이콘
기본적인 상황이면 축의금 관리인데 이 조건이면 혹시나 발생할 수도 있는 갈등 상황 틀어막기... 적어도 식 끝날 때까지는 아무일 없도록 아 됐고 나중에 싸우라고 하기
아케르나르
24/10/11 15:29
수정 아이콘
제 동생 결혼했을 땐 제가 부조금 받아서... 식은 구경도 못했었네요. 느긋하게 앉아 있다가 한 이십분 정도 정신없이 돈만 받은....
바이바이배드맨
24/10/11 15:57
수정 아이콘
저는 엄청 바빴습니다. 부모님은 손님 & 친척 맞이 하느라

근데 한마디로 말하면 돌발상황 & 조율이었는데

식권이 부족하다거나 마이크에 문제가 생겼다거나 혹은 급작스러운 요청이 들어왔다거나 상대방(신랑 or 신부 관계자랑 의논할 일이 생겼다거나) 그리고 뷔페 금액 정산, 뷔페인원 정산, 최종 축의금 확인 및 기타 결제내역 확인등등 제 몫이었음
24/10/11 16:07
수정 아이콘
저도 동생 결혼식 하는데 축의금 받고 그 외에 문제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 제 임무였는데 동생 결혼식 들어가서 보지도 못했습니다.
요망한피망
24/10/11 16:16
수정 아이콘
앞에 오시는 손님분들께 인사 드리는 거 했어요
배고픈유학생
24/10/11 19:55
수정 아이콘
축의금은 직접 받는 경우도 있지만 사촌이나 친척 남자들이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그럼에도 혼주 측에 직접 결정을 해야되는 부분이 있어요. 식권이 모잘라서 식수를 늘려야 한다던지.. 축의금 받고 챙기는 것 등 그런거 해주시면 될 것 같고.
식전에는 인사 열심히 하시는 거?
24/10/11 21:01
수정 아이콘
저도 축의금 받고 식대정산 비용처리 이런 것들을 담당했었습니다
24/10/11 21:08
수정 아이콘
오빠는 아니고 동생이었는데
누나 결혼식 못봤습니다 돈받고 식권주고 명단 쓰느라 크크
사진찍을때 오라고 하더군요
동굴곰
24/10/11 23:22
수정 아이콘
부조금 받기/오신분들하게 인사하기/식권 나눠주기/식 끝나고 정산하기
저도 막상 제 동생 결혼식 식장에 단체사진때 빼고 못들어갔습니다.
로드바이크
24/10/12 08:40
수정 아이콘
24/10/12 09:41
수정 아이콘
가족이면 축의금 받는 건 비추천합니다. 믿을 수 있는 분께 맡기시는 게 좋죠. 인사도 드리고 식도 보고 사진도 찍고하려면요.
24/10/12 11:01
수정 아이콘
오빠가 축의금 받으면 동생 결혼식 구경도 못하는 불상사가 일어납니다. 축의금 받는건 믿을만한 친척에게 맡기시고 부모님 잘 케어하시면서 동생분 다정하게 챙겨주시고 하시면 사돈댁에서도 그런 모습을 좋게 볼 거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8298 [삭제예정] 티켓베이에서 표사는건 합법인가요? [1] 삭제됨4792 24/10/19 4792
178297 [질문] 전설의 경기 VOD를 찾고 있습니다 [6] 솜사탕흰둥이4573 24/10/19 4573
178296 [질문] 시트콤인지 만화인지... 택시타고 산책하는 장면 아시는 분!! [1] 골드쉽4149 24/10/19 4149
178295 [질문] 예전 스타리그 경기를 찾고 있습니다 [1] 대발4983 24/10/19 4983
178294 [질문] 세탁기+건조기 구매하려하는데 출시연도에 따른 차이가 있을까요 [7] 고민시3861 24/10/19 3861
178293 [질문] 결정사 가면 저도 어떤 취급받을까요? [22] 기술적트레이더6475 24/10/19 6475
178292 [질문] 웹소설 제목을 찾습니다 VictoryFood3904 24/10/19 3904
178291 [질문] 오타니가 파퀴아오 위상을 넘을 수 있을까요? [25] 매운새우깡5341 24/10/19 5341
178290 [질문] 최전성기의 페드로와 랜디 존슨이 현 시대에 오면 어떨까 [6] 시지프스3934 24/10/18 3934
178289 [질문] [혐주의] 다리에 뭔가 물린 거 같은데 뭘까요? [5] 앗흥4205 24/10/18 4205
178288 [질문] 인터넷 설치를 해야하는데요 질문이 있습니다. [8] 라리3886 24/10/18 3886
178287 [질문] LDL 콜레스테롤이 관련 질문입입니다. [3] 서낙도3152 24/10/18 3152
178286 [질문] 갤럭시 S25 / S24 구매 문의 [12] 승뢰4511 24/10/18 4511
178285 [질문] 종로5가-동대문 와인샵 [3] 오징어개임3505 24/10/18 3505
178284 [질문] 일본에서 물건 직접구매 후 반입 관련 질문입니다 [4] BROOKS3675 24/10/18 3675
178283 [질문] 삼성폰 통화 앱 다운받을 수 있는곳을 알 수 있을까요 [2] DogSound-_-*3235 24/10/18 3235
178282 [질문] 물류. 무역용어. 질문입니다. [2] 너이리와봐2836 24/10/18 2836
178281 [질문] 주린이 질문 드립니다. 신축아파트를 사려는데 전세끼고 대출받는거 가능한가요? [20] 기술적트레이더4804 24/10/18 4804
178280 [질문] 90년대 광고를 찾습니다. [1] 올리브카레3536 24/10/17 3536
178279 [질문] 방음벽 설치해서 외부의 소리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도 있는지요...? [10] nexon4289 24/10/17 4289
178278 [질문] 영화? 드라마? 속 한 장면을 찾는데 도무지 못 찾겠습니다. [16] 독주4702 24/10/17 4702
178277 [질문] 좋은 안경원 추천 [4] 어센틱3843 24/10/17 3843
178276 [질문] 주말에 부모님 모시고 바람쐴만한 장소 추천받습니다. [12] 윤석열4072 24/10/17 407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