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9/27 03:05:41
Name 기술적트레이더
Subject [질문] 재테크 초보입니다. 혹시 자산운용관리 이런거 서비스하는곳도 있나요?
재테크 초보입니다. 혹시 자산운용관리 이런거 서비스하는곳도 있나요?

자산을 앞으로 어떻게 운용해야 할지 감도 안와서..
인플레만큼은 자산을 불려야 한다는데 이게 쉽지 않아보여서 펀드나 주식 etf 등을 공부하고는 있는데 전문가 상담을받아보고 싶은데 이런건 어디가면 되나요?

참고로 담주에 isa 연금저축펀드 irp 등 만들러갑니다.
이제서야요 ㅜㅜ
늦었지만 시작하려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handler
24/09/27 08: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슈카코믹스 유튜브채널에 슈카쌤강의 들어보세요. 기본개념 쉽게 잘 설명해줍니다. 무엇보다 이 바닥에선 사기를 안당하는게 중요한거같습니다.

제일 정론에 가까운 이야기를 쉽게 설명해줍니다

무엇보다 전 세금과 수수료와의 전쟁이 제일 중요하다 생각해서

Isa Irp계좌 최대 활용법을 공부하고 연구하시길 권합니다.

일단 isa irp 를 최대한 뽑아먹고 그러고도 더 투자할 시드가 있다면 미국 직투로 에스앤피나 나스닥 etf 적립식 투자하는게 제일 정석적이라 생각합니다.

자신만의 자산비중을 짜서 안전자산으로 헷지 하는것도 중요하고요. 현금도 투자이고 현금도 그냥 생각없이 두는게 아니라 어떻게하면 1퍼라도 더 먹을지 고민할여지는 항상 많습니다. 저축은행 5000한도 정기예금이라던지 외화 rp라던지

 돈과 관련되다 보니 실제로 만나서 설명을 받으면 결국 증권사 영업점이면 자가들이 미는 상품쪽으로 유도당하기 싑고 그외에는 리딩해준답시고 사기꾼들에게 당하기 너무 쉬운거 같습니다.

무엇보다 증권사 영업점에서 주로 미는 상품인 펀드같은 것들은 isa irp없으면 세금에서 개손해고 수수료도 비쌉니다. 그냥 정론인 spy,voo,splg,qqq,qqqm 적립식투자가 훨씬낫습니다
파고들어라
24/09/27 10:21
수정 아이콘
지나가다가 잠시 질문 좀 드리겠습니다.
저도 외화 rp 에 잠시 돈을 넣어둔 적이 있었는데 외화 rp 는 이율이 낮은게 정상인거죠? 환차익으로 이득을 보는거라 묻어놓고 잊어버리는 투자를 하기는 별로인거 같아서요. 지금은 ISA 에 펀드 상품으로 넣고 묻어 두고 있습니다.
ChojjAReacH
24/09/27 10:38
수정 아이콘
외화 rp도 그 나라 이자(달러니까 미국)에 따라 움직이는거라 최근에 빅컷하면서 이번주에 같이 내려왔죠.
투자증권사를 통해서 할 수 있는 수시입출예금 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외화는 예수금으로 두면 예탁금 이용료율이 아예 0% 수준이라 rp로 이자 땡기는 용입니다.
투자할 데가 있으면 투자를 하면 되고 남는 예수금은 rp에 넣어두면 되는거죠.
Chandler
24/09/27 12:45
수정 아이콘
메리츠증권 외화rp가 수시입출금 중엔 제일 괜찮았는데 얼마전까지 4.45 지금은 4.0입니다
파고들어라
24/09/27 15:16
수정 아이콘
뭔가 제가 상품을 잘못 골랐나 보네요.
좀 더 찾아봐야겠습니다.
난누구여긴어디
24/09/27 09:29
수정 아이콘
일단 자칭 재무상담사 이런 사람들은 보험팔이, 사기꾼일 확률이 너무 높아서 걸러야 된다는것을 꼭 강조하고 싶습니다.
그럼 결국은 남은 믿지 못한다는 말이라 혼자 해결을 해야 할텐데요.
요즘은 다행히 초보를 대상으로 하는 유튜브들이 있어서 천천히 직접 공부해보는것이 좋겠습니다.
현직에서 나온 사람이 만든 채널들이라 위의 사기꾼들보다는 훨씬 정론이고 FM적인 이야기 일겁니다.
윗댓글의 '슈카월드 코믹스'나 '박곰희 TV' 정도를 추천드립니다.
덴드로븀
24/09/27 09:30
수정 아이콘
무료 서비스(증권사 등) = 설명 잘 해주다가 본인들이 수수료 많이 먹을수있는 상품 추천 및 가입 권유
유료 서비스(유튜버/블로거 기타등등) = 사기꾼인지 아닌지 판별 불가

결론 : 미래에셋 / 한국투자증권 등 대형증권사 폰 앱 깔아서 가입 이벤트 쿠폰도 받고

연금저축계좌에는 KODEX S&P500TR 구매 딸깍
해외주식계좌에는 VOO (Vanguard S&P 500 ETF) 구매 딸깍
HA클러스터
24/09/27 09:52
수정 아이콘
절대 시중은행에서 은행원들이 권유하는 투자상담을 생각없이 받거나 권유하는 투자상품을 무지성으로 믿고 사지마세요.
증권회사들은 그나마 사람들이 어느정도 경계심을 가지고 접근해서 피해가 덜한데 은행의 상품은 왠지 사람들이 근거없는 신뢰를 보내며 믿고 투자하다가 작게는 비싼 수수료를 뒤집어 쓰고 크게는 투자금 다 날리는 경우가 증권회사보다 더 심합니다.
더존비즈온
24/09/27 11:20
수정 아이콘
당장 어디에 투자하고 행동에 옮기기 보다는 먼저 공부를 많이 하시고 행동에 옮기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사족이지만 닉네임과 재테크 초보라는 말이 안 어울리네요..
기술적트레이더
24/09/28 20:19
수정 아이콘
주식만 많이 했지 etf는 잘몰라서요
이오니
24/09/27 12:14
수정 아이콘
일단 연금저축펀드 계좌에 매달 입금만 하세요.(세액공제)
실제 투자는 나중에 천천히 해도 됩니다.
T.F)Byung4
24/09/28 00:02
수정 아이콘
은행 가시면 PB들 하는 일이 그런 걸 거예요. 그런데 맡기는 금액 단위가 좀 클 거예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8128 [질문] 한샘가구 조이s2 책상 사용하는 자녀의 학부님들 있나요? [1] 김리프3232 24/10/04 3232
178127 [질문] 롤드컵 관련 최신 이슈 어디서 보면 될까요 [3] 날굴~3499 24/10/04 3499
178126 [질문] 달리기 심박수 [11] 최적화3994 24/10/04 3994
178125 [질문] 로보락 물걸레 청소기를 알리에서 직구로 사면 무슨 문제가 있을까요? [2] 숨결3876 24/10/04 3876
178124 [질문] 피아노 콩쿨은 등용문인가요? 이미 유명한 젊은 음악가의 업적 추가인가요? [13] 모나크모나크3564 24/10/04 3564
178123 [질문] 게이밍 노트북 구매 질문 [9] Wade4250 24/10/04 4250
178122 [질문] 순간 이성을 잃고 화를 내요.. [18] 테오도르5042 24/10/04 5042
178121 [질문] 에어 자충 매트 어떤가요? [4] 로드바이크2890 24/10/04 2890
178120 [질문] 어제 젠지 웨이보 경기 지루한 경기축에 속하나요? [18] bifrost3224 24/10/04 3224
178119 [질문] 전기장판 전압문제 [5] 인간흑인대머리남캐3921 24/10/04 3921
178118 [질문] 런린이 이제 시작하는데 [12] 마리오30년3791 24/10/04 3791
178117 [질문] 주택담보대출 질문(분양건) [3] dlwlrma3345 24/10/03 3345
178116 [질문] Epl이 다른 4대리그보다 특별한 이유 있나요? [17] pecotek4186 24/10/03 4186
178115 [질문] 24인치 고주사율 모니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쏘쏘쏘3905 24/10/03 3905
178114 [질문] 형님들, 와이프가 친정간다는데 어쩌죠? [36] 인생을살아주세요6435 24/10/03 6435
178113 [질문] 광고 촬영용으로 차량을 대여하면 어느정도 금액을 받으면 될까요? [9] Payment Required4314 24/10/03 4314
178112 [질문] 폰화면 컴퓨터 연결 질문입니다 [6] 제니3395 24/10/03 3395
178111 [질문] 가평 볼거리 추천부탁드립니다 [2] 유니꽃4417 24/10/03 4417
178109 [질문] 육아 질문입니다.(기저귀 떼기) [22] 싸구려신사5426 24/10/02 5426
178108 [질문] 흑백요리사 흑대백 팀대전 질문드립니다(스포 주의) [7] 포커페쑤4593 24/10/02 4593
178107 [질문] 서양은 중고교나 대학, 공무원 시험볼 때 오픈북으로 시험을 치는지요...? [6] nexon4056 24/10/02 4056
178106 [질문] 냉장고 부품(?)의 정체가 궁금합니다. [2] 던멜2996 24/10/02 2996
178105 [질문] 미래에 택시비 어떻게 계산할까요? [1] 어센틱3738 24/10/02 373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