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8/26 16:02:46
Name 앗흥
Subject [질문] 에어컨이 고장 났는데 중고를 사도 될까요
여러 모로 좀 애매한 상황에 처했습니다.

2in1 에어컨이 고장 났습니다. 수리기사님이 와서 확인한 결과 컴프레서와 PCB 문제라 하는데 LG서비스센터에 이 PCB 재고가 없어 수리를 못 하고 있습니다. 에어컨이 8년 된 모델이라 그런가 봐요. 여기저기 기사님이 수소문해 보신다 해서 기다렸는데 열흘째 못 구한 거 보면 가망이 없지 싶습니다.

지금 집에서 계속 살 거면 깔끔하게 새 제품을 사도 되는데, 문제는 1년 반 있다가 이사를 갈 예정이고 새집에 시스템 에어컨이 달려 있습니다. 즉, 이 시점에 새 에어컨을 사면 얼마 못 쓰고 처분해야 하는 상황이 오는 거죠. 어떻게 하는 게 최선일까요?

1) 걍 새 제품 지르고 이사 갈 땐 중고로 처분해서 몇 푼이라도 건진다.

2) 중고 에어컨을 구입해서 쓰고 버린다. (근데 중고로 사서 설치하는 비용이 적지 않게 드는 것 같더군요. 중고 제품의 내구성도 장담할 수가 없고요)

3) 사설 수리업체를 불러본다. (근데 이건 수리에 실패할 경우에도 출장비 검사비 등등 명목으로 비용이 적잖이 나와서 섣불리 선택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가족들은 무더위에 녹초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애들은 땀띠가 심해져서 안쓰러울 지경이에요. 현재 선풍기 3대와 냉풍기로 버티고 있는데 이걸로는 안 될 것 같습니다. 어린 애들이 땀을 비오듯 흘리면서 뛰어노는데 열사병 걸릴까 봐 걱정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4/08/26 16:04
수정 아이콘
크지 않은 공간이라면 당근에서 파세코 창문형 에어컨이라도 사서 버티다 이사 가시는게...
성야무인
24/08/26 16:05
수정 아이콘
당근에서 이동식 혹은 창문형 에어컨 하나 건져온 다음

이사갈 때 파시는 게 어떨지요?
24/08/26 16:23
수정 아이콘
창문형 에어컨은 5~6평형이라서 거실을 커버할 정도는 못됩니다. 소음도 크구요.

2in1제품중에 아주 싼 가성비 제품이나 아니면 인버터 아닌 제품을 사서 쓰는게 낫지 않나 싶습니다.
나갈때 다음 세입자에게 적당한 가격에 넘겨도 되구요.
덴드로븀
24/08/26 16:28
수정 아이콘
1번이 가장 큰 비용 & 가장 적은 스트레스 & 가장 큰 만족감을 선사할겁니다.

다른 선택지는 비용은 줄일 수도 있지만 스트레스 감소와 만족감을 느끼기 어렵습니다.
서지훈'카리스
24/08/26 16:40
수정 아이콘
1번 가면 돈은 좀 더 들어도
나중에 집 파실때도 좀 낫겠죠 에어컨 없는 집보다는
24/08/26 16:41
수정 아이콘
1년 반이면 여름 한번 풀로 더 겪는건데 창문형이나 캠핑형으로는 커버가 안되겠죠.
굳이 길게 고민하지마시고 저렴한 제품으로 새로 사시는게 나아보여요.
안자요
24/08/26 16:43
수정 아이콘
1번 추천드립니다. 처분은 이후 들어오는 세입자에게 넘기시면 되고요.
43년신혼1년
24/08/26 18:20
수정 아이콘
1년반이면 내년에도 사용하셔야 하는데 1번 + 이사가면서 부모님이나 장모님 댁에 에어컨이 좀 오래된거면 교체해드리는거 추천합니다.
기와선생
24/08/27 12:11
수정 아이콘
1.새거 200정도에 사서 1년반 쓰시고 100정도에 처분 ->100만원정도 비용발생.

2. 중고 50만원 정도에 구매해서 설치비 50정도 들고 나중에 30정도에 팔기 -> 80만원정도 비용발생

3. 사설수리업체 -> pcb보드면 30~50만원정도 들텐데 출장비도 받을테니 60만원정도 비용발생.

아래로 갈 수록 비용은 적게드나 편의나 내구도가 줄어든다 생각하시고 하시면 될거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7768 [질문] [야구,게임] KBO 전설의 팀과의 대결 [2] Keepmining5443 24/09/04 5443
177767 [질문] 카본화의 성능이 궁금합니다. [9] 엔지니어5905 24/09/04 5905
177766 [질문] 탁구 중급자가 쓸만한 팬홀더 라켓 추천바랍니다. [2] 생각이5204 24/09/04 5204
177765 [질문] 30대친구들이랑 할 스팀or온라인게임 있을까요? [12] 차이6466 24/09/04 6466
177764 [질문] Wow 복귀자에게 직업 추천 부탁드립니다. [9] 리얼리스트가5677 24/09/04 5677
177763 [질문] 지금 국민은행 어플 로그인 저만 안되는건가요? [1] 물소싫어3931 24/09/04 3931
177762 [질문] 주기적으로 우울합니다. 도와주세요. [45] JoyB7152 24/09/04 7152
177761 [질문] 부모님이 농산물 판매 사업자를 사업자등록증 주소와 카드결제기 설치 주소가 달라도 되나요? [1] Red Key4751 24/09/04 4751
177760 [질문] 노력도 재능의 범주안에 있는 건가요? [49] itzy5527 24/09/04 5527
177759 [질문] 4K 영상편집용 컴퓨터 견적 문의 (100만원 이내) [7] 햇여리5941 24/09/03 5941
177758 [질문] 경기 남부 근교 계곡 옆 평상 삼계탕 먹을 수 있는 맛집 있을까요?? [3] 원스5214 24/09/03 5214
177757 [질문] 책상을 가장 빨리 구매하는 방법 어떤 게 있을까요 [11] qwertyy5033 24/09/03 5033
177756 [질문] 공무원, 공기업의 안정성은 어느정도의 가치인가요? [17] 빵떡유나6213 24/09/03 6213
177755 [질문] 두 분에게 선물을 각각 드려야 합니다. [6] 일문3706 24/09/03 3706
177754 [질문] 저렴하고 간편하게 CDP를 구할 방법이 있을까요? [2] 4517 24/09/03 4517
177753 [질문] 임대인이 2명인 집 계약관련 [1] 아라온3946 24/09/03 3946
177752 [질문] 1금융권 은행 안정성 순위는 어떻게 판별하면 될까요? [19] 5145 24/09/03 5145
177751 [질문] 미국 개별주 투자하시는 분들 어떻게 종목 발굴하시는지 궁금합니다. [10] 사람되고싶다4691 24/09/03 4691
177750 [질문] 혹시 게이밍 이어폰?을 쓰시는 분 계실까요? [11] 주인없는사냥개5321 24/09/03 5321
177749 [질문] 에어프라이어좀 추천해주실만한거 있을까요..? [15] Restar4676 24/09/03 4676
177748 [질문] 부모님 쓰실 휴대폰 구매 관련 질문 [9] 땅과자유4396 24/09/03 4396
177747 [질문] 음식점 자영업 하시는 분들께 궁금한 게 있습니다 수수료 관련 [8] 아롬4871 24/09/03 4871
177746 [질문] 아침식사 추천 부탁드립니다. [24] 라리4791 24/09/03 47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