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24/08/20 10:50
컴활과 사자산기는 시험 방식이 다르긴 한데 일반적으로 난이도는 컴활 1급 > 사자산기 > 컴활 2급 정도로 생각합니다. 도전한다면 컴활 1급이겠죠.
언급하신 자격증들이 대부분 이미 보유하신 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징검다리로 많이 취득하는 자격증들이라 커리어에 도움이 될까는 모르겠네요.
24/08/20 12:20
답변 감사합니다. 굳이... 라는 말씀이시죠?
컴활 2급 취득한 입장에서, 제가 대략 생각했던 난이도와 비슷한거 같군요, 본문에 커리어라고 애매하게 쓴거 같은데... 제 커리어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걸 원하기 보다, 개인적인 자기만족에 더 가깝다고 볼수 있을거 같습니다. 회사에서 나이도 있고, 직급도 있다 보니 회사내에서 활용하기도 어려운건 사실이네요. (자격증 수당 대상 자격증도 아니고)
24/08/20 12:54
저는 사무자동화 산업기사 취득했고, 컴퓨터활용능력 시험도 공부는 했었는데 (둘 중 하나 취득이라 컴활 응시는 안 했습니다.)
취득하려고 연습하는 과정에서 자주 활용하는 함수에 익숙해지다 보니 실무에 도움은 됩니다. 다만 여기서 익히는 함수는 그냥 실무용 엑셀 강좌 등에서도 충분히 배울 수 있긴 합니다. 정보처리기사는 방향이 다른 과목인데다 필답형 실기고 시험 방식도 이전과 많이 달라져서 관련 업계나 전공이 아니면 딱히... 라고 생각합니다.
24/08/20 12:41
컴활 1급은 업무능력 향상 목적으로 할 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실기 과목 중에서 엑세스는 어지간하면 쓸 일이 없으니까 시험 목적으로만 쓰고 마는데, 엑셀에서 활용하는 기능들은 실무에서 써먹을데가 무궁무진하죠. 특히 시험 문제 풀 때 주로 활용하는 MATCH, VLOOKUP, HLOOKUP 같은 함수랑 피벗테이블, 매크로는 안 까먹고 있으면 업무 편의성이 확 뜁니다.
24/08/20 12:47
공무원 취업용도로 옛날에 군대에서 워드랑 컴활따고 한국사 시험도보고 한자도 자격증따고 그랬는데....
이거 공기업이나 공무원이외에 쓸 때가 있나요? 저는 자격증 점수 준다길래 대형면허도 따로 다녔습니다.
24/08/20 12:51
컴활은 공기업 가점을 노리려고 하는 게 아니라면 딸 이유가 거의 없긴 합니다. 컴활에서 각종 엑셀 함수들을 배우긴 하는데 어차피 실무에서 배운대로 써먹는 게 불가능해요. 그냥 업무에 필요한 엑셀을 배우고 싶으신 거라면 그때그때 필요한 함수들 블로그나 유튜브에서 찾아서 공부하는 게 훨씬 실용적이고 효율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