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7/25 22:28:33
Name pecotek
Subject [질문] 코파가 노근본이라 챔스 아래가 맞나요?
요즘 많이 나오는 대회 평가가 월드컵 > 유로 > 챔스 > 코파소리 많이 하던데 남미 대륙이 월드컵 우승횟수에서 유럽 대륙에게 엄청나게 밀리는것도 아닌데 코파를 이렇게까지 후려치는게 이해가 안됩니다.
제멋대로인 대회 개최주기로 욕 많이 먹고 있고 타대륙 대회 초청도 욕 먹는거 유명한데 전자는 운영 개판이라고 생각하고 후자는 남미에 나라 숫자가 부족해서 이것저것 해보는거라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국가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한데 어떻게 남미 국가들끼리 24강을 해요.
코파 2연패 칠레 누가 기억하냐고 하는데 제가 봤을때는 그리스 유로 우승도 진성 해축팬 아니면 아무도 관심도 없고 몰라서;; 스페인 메이저 3연패가 지금까지 칭송 받는건 중간에 월드컵 위너가 있어서지 유로도 어지간한 해축팬 아니면 모르는거 같은데요. 현재 축구의 중심이 유럽 클럽이라는건 인정하지만 그래서 코파 후려치는건 동감이 안 가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오타니
24/07/25 22:47
수정 아이콘
이번처럼, 코파가 북미팀 6팀 초대해서 아메리카 컵이면 권위가 인정될거 같아요.
24/07/25 22:49
수정 아이콘
국대랑 클럽 대회 비교는 좀 어려울 것 같고, 월드컵 아래 대륙컵끼리는 다 평등하다고 봐야죠.
무냐고
24/07/26 09:03
수정 아이콘
어 그럼 아시안컵도..
사나없이사나마나
24/07/25 23:09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엔 그냥 강팀이 적어서가 아닐까 싶습니다. 아시안컵 우승했다고 챔스 위로 쳐주진 않을 거 아니에요. 코파에 나오는 팀 중에서 유로 가서도 잘할 팀은 사실 브라질, 아르헨티나 빼면 기대치가 높은 팀이 없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손금불산입
24/07/26 00: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단 국대 축구와 클럽 축구의 위상차이가 시대 변화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염두해둬야하고 각 시대에 맞게 따로 적용할 줄 아는 것도 필요합니다. 지금에야 FA컵, 리그컵이 있으면 우승이니까 좋고 없으면 말고 수준의 위상이지만 과거에는 절대 그렇지 않았거든요. 이런걸 지금 시점 기준으로 그깟 리그 우승만 못한 국내컵 우승 기록 어따 써먹음? 이렇게 받아들이면 안되는거죠.

코파 아메리카도 마찬가지입니다. 애초에 개최 주기로 코파 노근본 운운하는 것도 2010년대 이후에나 나오는 이야기에 불과할거고 그 이전 유럽 챔스가 세계 축구의 중심으로 서기 전까지는 코파는 유로와 거의 동일한 (혹은 그 이상일지도) 대회 수준과 위상을 가졌다고 해석하는 것이 옳을겁니다. 애초에 유럽 축구가 남미 축구보다 우월하다고 말할 수 있는 기간이 그렇게까지 오래되지도 않았어요. 대회 개최 주기 같은거야 알아서 숫자를 보정해야 하는거지 근본 노근본 따질 이유가 전혀 못되고요.

참고로 코파 같은 경우에는 메시가 우승을 못한 기간이 꽤 있어서 빠와 까가 자기 입맛에 맞게 위상을 조작하는 그런 경향성도 없지않아 있습니다. 그런 것도 좀 걸러들으셔야 할거에요.

그와 별개로 그냥 축구 수준으로만 따지면 챔스가 유로고 월드컵이고 다 때려잡은지 오래 됐습니다. 월드컵에 내세울 것은 흥행성과 희소성, 그리고 내셔널리즘 정도죠. 물론 그게 프로스포츠의 본질 아니냐고 되묻는다면 할 말은 없습니다만...
무딜링호흡머신
24/07/26 01:35
수정 아이콘
[그와 별개로 그냥 축구 수준으로만 따지면 챔스가 유로고 월드컵이고 다 때려잡은지 오래 됐습니다. 월드컵에 내세울 것은 흥행성과 희소성, 그리고 내셔널리즘 정도죠. 물론 그게 프로스포츠의 본질 아니냐고 되묻는다면 할 말은 없습니다만...]

극극극극공감 합니다.
The Normal One
24/07/26 10:59
수정 아이콘
저도 마지막 문장 공감합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챔스 > 월드컵으로 가고 있다고 보고 있어요.
강나라
24/07/26 09:04
수정 아이콘
월드컵>챔스>=유로>코파 순으로 봅니다.
봄바람은살랑살랑
24/07/26 10:13
수정 아이콘
코파는 개최 간격이 넘 짧은게 문제 아닐까 싶더군요. 간혹 1년 개최도 있다보니 더욱 더;
24/07/27 09:30
수정 아이콘
답변 주신분들 감사합니다. 미래에는 정말 챔스 > 월드컵이 될지 모르겠네요. 
24/07/27 09:43
수정 아이콘
저도 한때 코파를 즐겨봤었는데, 이게 아무래도 대회 주기 변경으로 인한 권위 하락, 팀간의 수준차도 있을텐데, 제 기준으로는 결정적으로 중계화질...그러니까 우리나라에 송출된 영상 문제가 아니라 아예 화면을 찍는 수준이 다릅니다. 결국 돈이 모이지 않는 대회라는거죠.
기도비닉
24/07/27 16:47
수정 아이콘
나름 20세기부터 해축봐온 꼰대 소신으로, 챔스 > 월드컵이 될 일은 없습니다. (단호)
(※ 물론 경기 수준은 원래 발맞춰온 클럽팀간의 대결이니 챔스쪽이 좋겠지요. 여기서 말하는 건 위상)

챔스도 00년대 이후 규모 확장 + 해버지 이후 해축 보급빨이 좀 껴있죠. 인기팀 올라가고 못가고의 온도 차이도 있구요.
리즈가 4강 가고 발렌시아가 2연속 결승 찍고, 포르투vs모나코 결승 나왔을 때 몇이나 봤을까요? (솔까 뮌헨vs도르트문트도 한국에선 미지근했죠)
무리뉴가 인테르로 트레블 할 때며 이스탄불의 기적, 챌램덩크 다 개쩔었지만 월드컵 우승에 비빌 정도까지는..

걍 챔스는 매해 최첨단 최극단 축구력의 자웅을 다루는 대회,
월드컵은 100년 권위와 국뽕으로 찍어누르는 축제로 정리해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7435 [질문] KT 선택약정 질문입니다. [4] nm막장7268 24/08/09 7268
177434 [질문] 아이 치료 목적 미국 거주 질문 [3] 하루아빠7459 24/08/09 7459
177433 [질문] 컴퓨터 견적 출격준비 직전입니다!! 사무용+게임용 조언부탁드립니다. [2] EnzZ7203 24/08/08 7203
177432 [질문] 목소리 잠김? 목 잠김 해결방법 [6] 루체른7565 24/08/08 7565
177431 [질문] 일본 psn 결제 카드 질문입니다 [3] 드문6251 24/08/08 6251
177430 [질문] 현대차 수리 후 문제 [8] ELESIS6316 24/08/08 6316
177429 [질문] 고속도로 하이패스를 잘못통과한것 같아요 [13] 월터화이트7574 24/08/08 7574
177428 [질문] L자 클리어파일 무게 얼마나 나갈까요? [5] 김꼬마곰돌고양6126 24/08/08 6126
177427 [질문] 코로나 바이러스 실내에 얼마나 오래 머무나요? [2] ZAKU6039 24/08/08 6039
177426 [질문] 위메프 결제금액이 환불됐습니다. [6] 탄야6974 24/08/08 6974
177425 [질문] 테니스게임 하실 때 화면 윗쪽에서도 잘 하시나요? [5] amalur6607 24/08/07 6607
177424 [질문] 수전을 교체했는데도 여전히 샤워기 온수가 제대로 안나오는데 이유가 뭘까요 [15] 요하네즈7492 24/08/07 7492
177423 [질문] PC에서 나는 소음 판별 부탁드립니다 [4] 그말싫5147 24/08/07 5147
177422 [질문] 러닝화 정품 구매 어떻게 하시는지요...?! [28] essence8008 24/08/07 8008
177421 [질문] 지금 대학병원 암센터들도 예약이 힘들까요? [11] Fysta6812 24/08/07 6812
177420 [질문] 어제를 기점으로 불법 도박과 관련된 문자가 폭발적으로 옵니다 [9] 김삼관5351 24/08/07 5351
177419 [질문] 극혐) 이 벌레 이름이 뭔가요? [7] 띠우5915 24/08/07 5915
177418 [질문] 시놀리지 NAS RAID1로 묶어둔 하드가 하나 터졌습니다. [4] 챨스4715 24/08/07 4715
177417 [질문] 와우 복귀 문의드립니다. [18] 그림속동화5238 24/08/07 5238
177415 [질문] 사설 업체에서 수리한 이력이 있는 아이패드 a/s [5] 5505 24/08/07 5505
177414 [질문] 컴고수님. 현 시점 게이밍 PC 조립 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 [8] 아이러브스타5388 24/08/07 5388
177413 [질문] 코딩/프로그래밍 관련 서적 추천 부탁드립니다. [7] 득이5317 24/08/07 5317
177412 [질문] pc방 사장님들, 전문가분들, 광고를 하려하는데 문의가 있습니다. [2] 하나5141 24/08/07 514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