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7/24 00:40:43
Name 칼라미티
Subject [질문] 전세 살다 나가는 경우 수리비를 어디까지 줘야 할까요? (수정됨)
저희 부모님이 아파트 전세를 얻어 8년 동안 있다가 이번에 나가시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집주인이 도배를 새로 해야겠다면서,
1. 도배비를 다 내던가 or 도배비 절반 + 시공이 완료될 때까지의 월세를 더 내라고 하네요.
2. 그리고 이 정산이 완료될 때까지 보증금을 안돌려주겠다고 합니다. 완료되면 수선비 까고 주겠다네요.
위 1, 2번 항목은 집주인+부동산과 이야기해서 나온 결론입니다.

현재 다음 세입자는 구해지지 않은 상태고, 나가는 건 집주인이 나가달라고 해서 그렇습니다.

이럴 경우 어떻게 처리를 하면 될지,
또 주인이 저렇게 요구하는게 일반적으로 합당한 상황인지 궁금해서 질문글 올려봅니다 ㅠㅠ
(만약 불합리하다면 어떻게 대처할지도요 흑흑)

*8년 동안 도배지는 자연스레 낡아서 새로 도배가 필요하긴 하고,
부모님이 입힌 손상은 현관쪽에 부착물을 붙이느라 그부분이 조금 뜯어진 게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성야무인
24/07/24 00:43
수정 아이콘
도배를 할려는 건 주인입장 아닌가요?

대부분의 경우 월세일 경우 손실에 대한 부분은 임차인이 아니라 임대인이 가지고 있느걸로 알고 있습니다.

월세에 유지비도 포함되 있구요.
항정살
24/07/24 00:44
수정 아이콘
전세..
성야무인
24/07/24 00:47
수정 아이콘
전세도 마찬가지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관리비에 보험이나 수리비가 포함되서 계상합니다.
칼라미티
24/07/24 00:56
수정 아이콘
ㅠㅠ 만약 법적으로 그렇다면 조금 다행이긴 한데, 상대가 약간 막무가내라고 해서... 번거로워 질 수도 있겠네요 에고
칼라미티
24/07/24 00:47
수정 아이콘
전세와 월세가 경우가 다를까요?
항정살
24/07/24 00:43
수정 아이콘
8년 전세 살았으면 도의적으로 도배비 정도는 해주는게 좋지 않을까요?
칼라미티
24/07/24 00:48
수정 아이콘
일단 부모님은 꽤나 불합리하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타지역 부동산하시는 친척분이 도배비를 왜주냐고 황당해하셔서)

어떤 쪽이 맞는 건지 모르겠네요...
항정살
24/07/24 00:50
수정 아이콘
따로 관리비는 내셨나요?
칼라미티
24/07/24 00:54
수정 아이콘
지금 다시 통화해보니 반전세였고, 관리비도 따로 내셨다고 합니다
24/07/24 00:49
수정 아이콘
이게 도의적으로 해줄 일인가 싶은데요. 게다가 집주인이 나가달라고 하는거면 도의적이라면 자기가 이사비를 줘도 모자랄 판인데...
칼라미티
24/07/24 00:54
수정 아이콘
;_; 근데 주인 양반이 도배 안하면 보증금 못돌려준다고 그러고 있어서... 어렵네요
24/07/24 01:12
수정 아이콘
전세 나갈때 도배비 내놓고 가라는건 처음듣네요. 그것도 집주인이 나가라고 한 상황에서요.
근데 불합리하긴 한데, 못나가겠다고 버팅기면서 끝까지 싸울거 아니면 일반적으로는 세입자가 불리한 판이죠.
칼라미티
24/07/24 13:46
수정 아이콘
부모님이 바쁘셔서 번거로운 상황을 최대한 피하고 싶으신 것 같긴 합니다 ㅠㅠ
24/07/24 01:13
수정 아이콘
8년이라는 오랜 세월을 살았으면 실수로 살짝 긁힌 부분이 한두군데 있을수도 있고 정체모를 무언가가 살짝 묻어있을 수도 있고 이미 바랠대로 바래서 결국은 집주인은 새로운 세입자 받으려면 새로 도배를 안 할 수가 없는데 당연히 집주인이 부담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경우 비록 원룸이였었지만 7년가량 살아서 여기저기 다 바래고 곰팡이도 생기고 스크래치도 약간 있고 이랬었고 집주인이 여러모로 악덕하기도 했었는데 도배비는 요구하지 않았어요.

1~2년 가량 밖에 안 산 세입자가 실수로 큰 오물 엎지르거나 화재땜에 불이 그을렸거나 같은 그런 거 아니고선 말이죠.

그런 주인들 특이 '이런게 다 관례다. 니가 모르는거다' 라고 하는 듯
칼라미티
24/07/24 13:46
수정 아이콘
저도 이런저런 집주인 많이 만나봤지만 저런 이야기는 또 처음이더라구요...
24/07/24 01:18
수정 아이콘
https://www.lawtalk.co.kr/qna/101196
자연스런 마모정도라면 도배비를 부담할 이유가 없어보입니다
부동산에도 도배비를 부담하라고 하는 근거가 뭐냐고 따지세요
칼라미티
24/07/24 13:4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잘 참고해보겠습니다...!
교대가즈아
24/07/24 01:46
수정 아이콘
당연히 집주인이 해야하는거 아닌가요? 전 월셋방도 세입자 나갔을 때 도배랑 청소 안해놓고 세입자 모집하는 건물주들 이해가 안 되더군요.
칼라미티
24/07/24 13:50
수정 아이콘
ㅠㅠ 당연히 집주인이 해야 하는 거라면 참 화딱지나네요
신촌로빈훗
24/07/24 02:13
수정 아이콘
말도 안 됩니다. 도배비를 준다는 얘기는 듣도보도 못했어요. 임대인, 임차인 경험이 모두 오랜 기간 있었지만 도배는 임대인이 하는 거지, 생활과 무관하게 훼손된 정도가 아니고서야 임차인에게는 아무런 책임도 없습니다.
칼라미티
24/07/24 13:51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부모님이 집주인+부동산이 동일한 이야기를 하니 초반에 적극적으로 반박을 못하신게 아닐까 싶습니다.
임대인 경험도 있으시다니 좀 더 확신이 드네요. 감사합니다!
24/07/24 04:23
수정 아이콘
도배는 임대인이 해야죠.. 도배비 내놓고 나가라는건 첨 들어봅니다. 보증금 안주면 안나가면 됩니다. 임대인이 나가달라는 입장인데 보증금 안준다는건 뭔가 싶네요...???
칼라미티
24/07/24 13:53
수정 아이콘
이미 나가버리셔서 하하...
전2000/월100 이라 전세금 자체가 아주 크진 않아서 보증금 당장 못받아도 일단 이사하고 보신 것 같습니다.
두분이 일이 바쁘시기도 했구요 ;_;
엘브로
24/07/24 06:10
수정 아이콘
일부로 훼손시킨게 아닌이상, 해줄 의무가 없죠.
문제는 집주인 억지부리는데 방법이 있냐 이건데...
억울하고, 절대 줄 생각없다면 내용증명부터 시작하시죠?
어차피 집주인이 나가라고 해서 나가는거고, 정 안되면
전세보증금반환소송과 임차권등기하고 나가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거저거 피곤해서 법적으로 싫다면, 최대한 협상해서 마무리 하시고요
칼라미티
24/07/24 13:56
수정 아이콘
집주인이 아주 목소리가 크고 자기주장이 강한 사람 같더라고요.
말씀해주신 방법 찾아보고 부모님께 권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T_T
24/07/24 06:46
수정 아이콘
부동산도 미친것같은데요? 크크크

도배를 왜 나가는 사람이 해주는지? 크크크
칼라미티
24/07/24 13:57
수정 아이콘
부동산이 완전 그쪽 편 같고 그래서 이미 한번 싸우셨다네요...
Courage0
24/07/24 07:16
수정 아이콘
말도 안되고 일단 나간다고 하며 보증금 일부라도 돌려받으시고 임차권등기 신청하시면 됩니다
칼라미티
24/07/24 13:58
수정 아이콘
다시 통화해보니 보증금 일부는 받으셨다네요.
전2000, 월100이고 / 전세금 천만원은 돌려받았고 나머지는 도배 끝나면 주겠다고... 임차권 등기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4/07/24 07:21
수정 아이콘
특정한 사유로 훼손된 게 아니라면, 세입자가 왜 도배를 해줘야하는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부동산은 왜그러는걸까요?????????
칼라미티
24/07/24 13:59
수정 아이콘
현관 쪽 벽지 찢어진 걸 명분으로 삼고 있는 것 같습니다... 부동산은 아무래도 그쪽 집주인과 오래 거래하던 사이 같구요
24/07/24 07:29
수정 아이콘
부동산은 보통 집주인편이죠 계소거래해야하니...
칼라미티
24/07/24 14:00
수정 아이콘
;_; 그런가봅니다...
짐바르도
24/07/24 07:40
수정 아이콘
부동산 통해서 강하게 얘기하시면 알아서 조율하든가 둘이 싸우든가 하겠네요.
저도 예전에 이사올 때 인덕션 새로 해놓고 가라, 받지도 않은 물건 내놔라 하길래
전화 차단하고 중개인 통해서만 증거, 근거 가져와라 안 그러면 해줄 게 없다만 반복하니
둘이서 알아서 하더라고요.
칼라미티
24/07/24 14:01
수정 아이콘
크으 깔끔하게 대처하셨네요. 저희도 그랬어야 했는데 T_T
몽키매직
24/07/24 07:59
수정 아이콘
누가 살아도 8년 지나면 이 정도 상태는 된다 정도의 상태라면 원복의 의무는 없습니다.
자연스러운 노후화 보수하는 건 임대인의 몫 입니다.
칼라미티
24/07/24 18:26
수정 아이콘
다행이긴 합니다만 ㅠㅠ 앞으로의 처리가 걱정입니다... 집주인을 잘못 만나버렸네요;
무지개그네
24/07/24 08:23
수정 아이콘
간단히 이건 개소리입니다. 말도 안되는 소리에요크크
칼라미티
24/07/24 18:27
수정 아이콘
순리대로 잘 해결되기만을 빌고 있습니다...
AMBattleship
24/07/24 08:25
수정 아이콘
도배는 전세일 땐 새로운 임차인의 몫이고, 월세 일땐 집주인이 해주는게 국룰아닌가요?
칼라미티
24/07/24 18:28
수정 아이콘
어찌되었건 기존 임차인은 아니라는 거군요 흑흑
카즈하
24/07/24 08:25
수정 아이콘
가구나 샤시를 파손했다면 문제가 되는데 도배는 첨들어보네요
칼라미티
24/07/24 18:29
수정 아이콘
문짝은 하나 해먹은게 있어서 이건 보수하고 가기로 하셨다는데 벽지는......
24/07/24 08:50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는 도배는 집주인이 하는겁니다.
도배비를 요구하는 근거가 뭔지 궁금하네요.
칼라미티
24/07/24 18:30
수정 아이콘
'벽지가 이정도로 낡았고 현관 쪽에 찢어진 곳도 있는데 당연히 도배하고 나가야지?' 라는 주장입니다.
집주인은 무조건 도배하고 나가라는 스탠스였고, 그쪽 부동산이 집주인과 협상해보겠다고 가더니 들고온게 본문의 제안입니다.
비행기타고싶다
24/07/24 09:24
수정 아이콘
장난하나.. 저같으면 가서 다 엎었습니다
칼라미티
24/07/24 18:31
수정 아이콘
두분이 좋게 말하면 순둥순둥하셔서 ㅠㅠ 하아...
그런데 저도 알못이라 큰 도움이 안되고 있네요. 여러분들 조언 덕분에 어떻게든 잘 해보려고는 노력 중입니다
24/07/24 09:30
수정 아이콘
전세 도배는 일반적으로 들어오는 세입자가 하긴하는데 요새는 어떤지 모르겠네요.
이게 전세금 받기전까지는 어찌됐건 을에 가까워서 최대한 협의를 하는게 좋긴합니다.
도배는 말이안되는 것 같고 아마 따지고 들면 다른 파손된 부위에 대한 수리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지 싶습니다.
들어올때 꼼꼼히 사진찍어놓으신게 아니라면 문제가 생길 수도 있어요.

집주인한테 들이박는건 좋은 생각이 아닌 것 같고. 부동산에 강력하게 따져야할 것 같긴해요.
부동산이야 당연히 전세입자한테 얻을게 없으니 집주인편일텐데 지금 중간에서 장난질하냐고 뒤집어 엎어야할 것 같긴합니다.
칼라미티
24/07/24 18:32
수정 아이콘
그나마 전세금이 크지 않아서 다행이긴 합니다(2천). 부동산과 이미 한번 투닥투닥 하셨다는데, 오늘 내일 중으로 다시 얘기해보신다고는 하더라구요...
ANTETOKOUNMPO
24/07/24 09:31
수정 아이콘
솔직히 진상력 대결이죠.
법적으로 가면 칼라미티님이 무조건 이기는건데, 과연 그 번거로움을 감수할 수 있느냐 집주인이 버티는 겁니다.
중개사 같은 경우는 앞으로도 집주인과 계속 거래해야 하니 그 쪽 편 들어주는 거고요.
칼라미티
24/07/24 18:33
수정 아이콘
다들 조언해주신 내용을 보니 법적으로 가면 무조건 이긴다는 것 자체가 마음이 좀 놓이긴 합니다. 전세금도 크지 않아서 다행이에요! 감사합니다.
distant.lo
24/07/24 09:44
수정 아이콘
계약서 잘 보시면 자연스러운 생활로 나는 손상은 복구의무없다 머 그런 내용 있으실텐데요 정말 사고로 바닥 타일이 깨졌거나 도배지에 못질을 엄청 했거나 그런게 아니라면요
칼라미티
24/07/24 18:33
수정 아이콘
계약서도 다시 찾아보시라고 하겠습니다. 참고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24/07/24 09:57
수정 아이콘
말도 안되는 얘기같습니다만...
칼라미티
24/07/24 18:33
수정 아이콘
그러게나 말입니다...
24/07/24 10:50
수정 아이콘
음. 어차피 집주인 요구로 나가라는거고 그냥 사시면 안되나요? 살고있는 세입자 내쫒는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데.. 이사 가야하는데 보증금 받아야해서 세입자가 을인거지 살겠다고 버티면 세입자가 갑이죠.
칼라미티
24/07/24 18:34
수정 아이콘
일단 이미 집을 옮기셔서 ^^; 돈받는 법만 잘 선택해서 진행해봐야겠어요
24/07/24 18: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이고.. 대항력이 없으실수도 있겠네요... 전입신고도 하셨나요? 전입신고 남아있고 빈집이면 다시 짐이라도 일부 놓고 대응하셔야해요. 근데 반전세라... 월세 나가는거 생각하면 그냥 해달라는대로 해주는게 나을지도 모르겠네요.
칼라미티
24/07/24 18:45
수정 아이콘
전입신고 여부도 다시 확인해봐야겠습니다. 상세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일단 저도 부모님도 낮에는 바빠서, 밤에 찬찬히 이야기 나눠봐야겠네요 ㅠㅠ
24/07/24 11:00
수정 아이콘
참 웃긴게 자기가 갑이다 싶으면 어떻게든 진상질 하는 사람들이 많더라고요 이게 참 어려운게 일반적인 상황이 잘 없어서 목소리 크고 갑인 사람이 이기거나 법대로 가거나 그렇더라고요 저도 몇년전에 아파트를 인테리어를 새로 해서 다른사람에게 전세를 줬는데 입주하고 얼마안되서 개미가 한마리 보였다고 세스코비용을 내달라면서 세입자가 강짜를 부려서 좀 찾아봤던 기억이 나네요 집주인되면 갑질은 해방될줄 알았는데 세입자가 집주인한테 갑질하더라고요 법으로 안가면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기는듯 싶었습니다
칼라미티
24/07/24 18:35
수정 아이콘
개미 한마리는 좀 진짜 짜치네요 하하...
고생 많으셨습니다
24/07/24 11:00
수정 아이콘
일단 녹음부터 잘 해두시고 주요 부위들 사진들 미리 찍어두시기 바랍니다.
향후 어떤 진상짓을 할지 모르는데 증거가 있으면 다 대응 가능합니다.
칼라미티
24/07/24 18:3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아마 기존 대화내용 녹음 안해두셨을텐데 지금이라도 말씀드려야겠네요!
karlstyner
24/07/24 12:10
수정 아이콘
이사갈 집은 계약하셨나요? 해당 계약내용 집주인에게 보내고 보증금 미반환으로 계약취소시 계약금배액 손해배상청구하겠다고 하세요.

그리고 보증금 받기 전엔 절대로 집 비워주는거 아닙니다.
칼라미티
24/07/24 18:36
수정 아이콘
이미 계약해서 주말에 이사까지 마치셨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저희 가족 모두 잘 새겨야겠네요 T_T 보증금 받기 전엔 비워주는 거 아니다...
삼겹살이면됩니다
24/07/24 13:26
수정 아이콘
집주인이 나가 달라고 요구하고 보증금을 안 돌려준다는 게 도무지 어떤 상황인지 이해가 안 갑니다.

보증금을 못 돌려주니까 계속 살라고 한다 거나, 보증금을 못 돌려 받았으니 안 나간다고 하거나,, 나가기 싫으니까 보증금을 돌려 받지 않고 연장 계약을 하자거나,,, 보증금을 돌려 받고도 안 나가면서 뻐긴다는 것까지는 그래도 어떤 상황인지 이해가 가는데,

나가 달라고 요구 하지만, 보증금을 안 돌려 주겠다고 한다는 게, 어떻게 해야 성립할 수 있는 상황인 건가요?
칼라미티
24/07/24 18:37
수정 아이콘
저도 타지에 있는지라 협상 과정이 어떻게 흘러갔는지를 모르겠어서...
반전세라 전세금이 크지 않아서, 부모님도 조금 쉽게 생각하신 것 같긴 합니다. 두분이 모두 선생님 계열이시라 조금 깜깜이시기도 하구요.
이혜리
24/07/24 14:55
수정 아이콘
??

미친사람인가...
칼라미티
24/07/24 18:46
수정 아이콘
ㅠㅠㅠㅠ 잘못 걸린 것 같아요
코로나 때 저희 부모님한테 월세 안밀려서 고맙다 이런 얘기 하던 집주인이
경기 회복되고 집값오르니 월세 올려달라면서 고성까지 질렀다길래 뭐 이런 사람이 있나 싶었는데...
24/07/24 15:37
수정 아이콘
미쳤네요
칼라미티
24/07/24 18:46
수정 아이콘
잘못 걸린 것 같아요...(2)
칼라미티
24/07/24 18:50
수정 아이콘
다들 많이 도와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이것저것 많이 알고 갑니다...! 모두 즐거운 하루 되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7464 [질문] 고양이가 사람 공격하는 영상 찾습니다 [2] 느나느나타임6194 24/08/12 6194
177463 [삭제예정] 기형정자로 인한 코큐텐 아연 제품 문의 [3] 삭제됨4891 24/08/12 4891
177462 [질문] 최근 유튜브 올라왔던 36주 낙태를 왜 살인죄로 조사중인가요? [33] 조제7089 24/08/12 7089
177461 [질문] 혹시 핑거형 산소농도계 추천 해주실수 있나요 [2] 50b4436 24/08/12 4436
177460 [질문] 교통사고가 미심쩍은 경우 어떻게 처리하나요? [6] 어센틱5404 24/08/12 5404
177459 [삭제예정] 오션뷰 카페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Payment Required4320 24/08/12 4320
177457 [질문] 여수,순천,광양 IT일자리 질문 [16] 24년에살아있을까5090 24/08/12 5090
177456 [질문] 주민센터 엄청 큰 글자로 해놓은 유머짤 찾습니다 [4] 기다리다5440 24/08/12 5440
177455 [질문] 캘린더앱 추천 부탁드립니다~ [6] 돔페리뇽5791 24/08/12 5791
177454 [질문] 최소 사양 컴 견적 질문입니다. [37] 완성형폭풍저그7320 24/08/11 7320
177453 [질문] 차량 후면 선팅 도움 부탁드립니다. [8] 에인셀6276 24/08/11 6276
177452 [질문] 소설 추천 부탁드립니다. [4] phoe菲6343 24/08/11 6343
177451 [질문] 전라도 전주 쪽 여행 질문입니다. [7] 마제스티6667 24/08/11 6667
177450 [질문] 선형대수, 미적분, 통계학을 제대로 공부하고 싶습니다. [16] 사람되고싶다6596 24/08/11 6596
177449 [질문] 롤에서 퍼리가 뭔가요? [8] 스벅7139 24/08/11 7139
177448 [질문] 골절수술후 나사랑 금속판 빼는게 좋나요? [7] 정공법7041 24/08/11 7041
177447 [질문] 더운 날씨 여러분의 사타구니는 안녕하십니까 [10] 앗흥6493 24/08/11 6493
177446 [질문] 법학도 분들께 낙태법 관련 질문드립니다. [8] 아기은가누5194 24/08/10 5194
177445 [질문] 잘못의 기준점은 어디인가에 대한 사고실험적 질문 [22] 돼냥이6874 24/08/10 6874
177444 [질문] 2D 애니메이션을 해석하면 [1] 영혼의 귀천4811 24/08/10 4811
177443 [질문] 파생상품 수익에 대해 과세할 때 국내/해외 파생상품의 수익/손실을 모두 합산하는지요...? [2] nexon4974 24/08/10 4974
177442 [질문] 나겜TV 요즘도 컨텐츠 제작하나요? [13] 아이시스 8.06668 24/08/10 6668
177441 [질문] 퇴사했던 회사에서 계속 문자가 날라오는데... [6] Eva0107256 24/08/10 725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