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7/09 13:35:30
Name 아웃라이어
Subject [질문] 배터리로 인한 전기차 화재위험성은 하이브리도 차에도 동일하게 적용될까요?
안녕하세요.

먼저 관련 분야 지식은 없음을 밝히며..

차를 바꿀때가 되어 알아보고 있는데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 사이에서 고민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전기차와 관련하여 많이 나오는 우려의 목소리 중 하나가 배터리로 인한 화재 위험성이 크다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하이브리드 차량도 상당한 볼륨(?)의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 위험성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맞을지요?
(만약 그렇다면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고민시 화재위험성이라는 변수는 배제하고자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츠라빈스카야
24/07/09 13:41
수정 아이콘
이론상 가능은 한데, 일반 하이브리드 차는 배터리 용량이 전기차나 PHEV 대비 매우 작기 때문에 에너지 용량이 작고, 직접 만땅 충전하지 않고 보통 차가 알아서 주행중에 관리하기 때문에 그 작은 배터리도 만충되는 경우가 없다시피하므로 화재 위험성은 전기차에 비해서도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낮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시무룩
24/07/09 13:44
수정 아이콘
전기차 사고 화재는 배터리가 하부에 깔려있다보니 연석 등을 타고 올라가면서 하부에 충격이 가해질 때 많이 발생하는데
하브 차량은 보통 배터리가 트렁크쪽에 있다보니 하부 충격은 물론이고 전/측면 충격에도 전기차보다는 상대적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이 낮죠
24/07/09 13:52
수정 아이콘
화재의 위험성을 어떻게 평가 하느냐인데
불이날 확률은 내연기관이랑 차이는 없는걸로 압니다.
다만 불이 났을때 소화가 가능하느냐에 문제에 있어서 리튬 원소의 특성상 조기진화가 어렵기 때문에
그 문제가 위험도에서 높게 평가 되는것이겠죠.
깜디아
24/07/09 13:57
수정 아이콘
실제 전기차 화재 건수는 내연차 대비 반 이하입니다. 전기차는 화재나면 뉴스거리기 때문에 화재가 많이 일어나는 차로 인식되어 있더군요.
물론 한번 화재나면 대형이긴 한데 차라리 교통사고를 더 걱정하는 게 확률상 맞아 보입니다.
하이브리드는 전기차+내연차 이기 때문에 양쪽의 단점도 다 갖고 있습니다.
화재는 제외하고라도 구조가 단순한 전기차 대비 복잡함 때문에 고장이 잦다고 할 수 있겠네요
아서스
24/07/09 16:05
수정 아이콘
근데 이 것도 좀 생각해봐야할 문제입니다.

왜냐하면 내연차는

1. 연식이 수십년 이상 오래된 노후차가 많다는 점 (당연히 기계적 불량에 의한 화재에 취약)
2. 화물차, 중장비 등 차체 외부 요인에 의한 화재발생도 존재한다는 점 (차체 외부 요인에 의한 화재 발생도 통계에 잡힘)

이라는 점이 있거든요. 전기차는 연식이 얼마 안되는 신차급 모델이 주였구요.


그런데 전기차도 점점 연식이 쌓이면서, 작년(2023년) 기준으로는 통계상 내연차 화재 비율을 턱밑까지 쫓아왔습니다.
https://www.kpinews.kr/newsView/1065593256689248
24/07/09 14:03
수정 아이콘
전기차는 워낙 에너지가 많고 일단 불붙으면 전소외에는 답이 없죠
하아아아암
24/07/10 09:58
수정 아이콘
에너지가 많진않아요. 그 에너지가 폭발적으로 탈 뿐...

전기차 항속거리 vs 내연차 항속거리 하면 내연차가 더 멀리가죠
카페알파
24/07/09 14:06
수정 아이콘
불이 날 확률 자체는 하이브리드차가 제일 크다고 합니다. 불이 날만한 소스를 둘 다(내연기관+전기자동차) 가지고 있으니 어쩌면 당연하지요. 다만 그렇더라도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화재 역시 흔한 건 아니구요. 전기차는 확률이 더 낮긴 한데 한 번 화재가 나면 그 임팩트가 크죠.

근데, 사람이 본인 경험에 기초해서 판단하는거라, 저같은 경우 주위에서 하이브리드차의 화재는 못 봤는데, 딱 한 번 전기차 불난 건 봤거든요. 정확히 말하면 불을 다 끈 다음에 본 거긴 한데 작은 박스카(레이였던 듯?) 홀라당 씨커멓게 다 탄거랑 그 작은 차에 난 불 끄겠다고 소방차 몇 대랑 경찰차 몇 대 와 있었던 거 보고 전기차는 좀 미뤄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덴드로븀
24/07/09 14:12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1706206?sid=103
[“전기차는 괜찮나요”…화재발생률 낮지만 진화 난이도↑, 기술 연구 중] 2024.06.25.
2023년 국내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 : 72건
전기차의 전체 등록 차량 수 대비 화재사고율 : 0.013%
내연차의 전체 등록 차량 수 대비 화재사고율 : 0.016%

자동차라는게 그냥 재수없으면 불이 나는 존재이고, 불이 났을때 얼마나 빨리 대처할수있냐의 차이가 있다고 봐야겠죠.

전기차는 배터리가 워낙 커서 한번 불붙으면 진화가 어렵다는게 가장 큰 문제인 상황입니다.

그리고 전기차는 바닥 전체에 매우 큰 배터리, 하브차는 뒷좌석 하단 정도에 작은 배터리가 위치하고 있어서
사고가 난다고 해도 배터리 화재 발생확률은 전기차보다는 하브차가 훨씬 덜 하겠죠.
파르셀
24/07/09 14:37
수정 아이콘
배터리 크기가 작아서 별 문제 안될 껍니다

현 전기차 화재는 배터리 격벽이 부셔지면 배터리간 연쇄반응으로 순식간에 타오르기 때문인데 절대 크기가 작으니까요
항정살
24/07/09 14:38
수정 아이콘
하브는 베터리가 뒤에 있어서 베터리가 밑에 깔리는 전기차와는 다릅니다.
무지개그네
24/07/09 18:41
수정 아이콘
음 이것은 옛말이고 요새는 트렁크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2열 바닥에 주로 넣습니다.
아웃라이어
24/07/09 14:48
수정 아이콘
답변 주신 모든 분들 감사합니다~(고민은 더 깊어지네요ㅠㅠ)
24/07/09 14:51
수정 아이콘
전기차는 구조상 화재시 운전자가 거대한 폭탄을 밑에 깔고 있는 모양이고 리튬이온 배터리 특성상 연소속도가 빠르고 진화가 어려워서 기술적으로 빨리 해결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마술사
24/07/09 15:35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는 배터리가 아주 작습니다 (1~2kwh)
전기차 배터리 (50~80kwh) 에 비하면 택도없죠
참고로 PHEV(플러그인하이브리드)는 20~30kwh 수준입니다
아웃라이어
24/07/09 16:11
수정 아이콘
아하 저는 하이브리드 배터리 용량이 40대로 봤는데, 이게 다시 찾아보니 배터리용량이 아니라 모터 출력이고 단위도 다르네요;; 차이가 크네요
유료도로당
24/07/09 17:03
수정 아이콘
참고로 제가 니로 PHEV를 몰고있는데 배터리 용량이 7.9kwh 입니다.. 크크 (45km정도를 EV모드로 주행가능합니다)
DogSound-_-*
24/07/09 16:42
수정 아이콘
하이브리드(플러그인 말고)는 큰 문제가 없을겁니다
충방전이 자주 일어나고, 배터리용량도 작기 때문에 인화성 물질이 근처에 있지 않는 한 번지기도 힘들구여
무지개그네
24/07/09 18:42
수정 아이콘
화재 빈도는 하이브리드 차가 더 높습니다.
위에서 언급된 내용과 같이 전기차는 열폭주로 인해 진화가 어려운게 큰 문제죠.
요즘 나오는 차들은 기본으로 차량용 소화기를 비치하도록 되어있는데 효과가 있길 바래야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7254 [질문] 두꺼운 자격증 책 분철 잘 해주는 도서판매 사이트가 어디인가요? [2] 샤크어택5980 24/07/25 5980
177253 [질문] 격투게임 가로우 질문 2가지 [2] Polkadot4420 24/07/25 4420
177252 [질문] 창문형 에어컨 응축수 배출 팁 없을까요? [2] 그때가언제라도5173 24/07/25 5173
177251 [질문] 술잘알님의 고견을 구합니다. [6] Xeri4760 24/07/25 4760
177250 [질문] 드라마 미생 어떤가요? [21] 비행기타고싶다5335 24/07/25 5335
177249 [질문] 오늘 오전까지도 잘 되던 "시리야" 명령어가 [4] Love.of.Tears.5230 24/07/25 5230
177248 [질문] 구글 캘린더 내용 10년 넘게 지나면 혹시 지워지나요? [4] 떡국떡5359 24/07/25 5359
177247 [질문] 모니터링 헤드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4] 난키군4980 24/07/25 4980
177246 [질문] 자가용으로 인천공항에 새벽4시에 도착하는 사람을 마중나가야 하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15] EnergyFlow7224 24/07/25 7224
177245 [질문] pc견적 한번 부탁드립니다. [3] 투반5755 24/07/25 5755
177244 [질문] 차량손괴를 당했고, 범인을 잡았습니다. [16] 꽃비7133 24/07/25 7133
177243 [질문] 해피머니 어떻게 될까요? [6] 로각좁5316 24/07/25 5316
177242 [질문] 요즘 속초 해수욕장에서 혹시 폭죽 놀이 되나요? [5] 빼사스5545 24/07/25 5545
177241 [질문] 신축입주시 준비사항과 인테리어 [11] 굿리치[alt]4858 24/07/25 4858
177240 [질문] 컴퓨터 이렇게 사도 될까요? [11] 이과감성5223 24/07/25 5223
177239 [질문] 화성,수원,용인 자동차 유리복원 괜찮은곳 궁금합니다 [5] 마스쿼레이드5267 24/07/25 5267
177238 [질문] 강남에 브레이크타임 없고 콜키지 되는 전집이 있을까요? [7] 시은5882 24/07/25 5882
177237 [질문] 녹차패트병의 성분(티백vs패트병) [6] 꿀행성4884 24/07/24 4884
177236 [질문]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의 경제 기여도 [22] 콩알이6320 24/07/24 6320
177235 [질문] 스톰게이트 질문 [2] Love.of.Tears.5719 24/07/24 5719
177234 [질문] 프로야구 원정팬분들은 시리즈 3일 동안 연고지에서 왔다갔다하시는 건가요? [10] 시나브로7050 24/07/24 7050
177233 [질문] 1세대 크롬캐스트 쓸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3] ...And justice5503 24/07/24 5503
177232 [질문] 공감클럽이라는 회원제몰 아시는 분 계신가요? [2] 루크레티아5875 24/07/24 58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