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6/18 07:22:17
Name 선플러
Subject [질문] 단식 35시간 중입니다. 단식 전문가 있으실까요?
사실 처음에 이렇게 길게 단식할 의도는 없었는데
배고픔과 스트레스가 전혀 없고 오히려 몸이 더 가벼워져서 계속하게 됐습니다.

이 상태면 72시간도 가능할 것 같은데
이러면 머리털 날아가나요?

아직 탈모 증상은 없는데 이것으로 탈모가 시작될까 두렵긴합니다.
48시간 까지만 하는 게 좋을까요?

지금 잠 잘 자고 헬스장 가고 있는데
이렇게 컨디션이 좋을 줄 몰랐습니다.

그동안 치킨피자족발보쌈 돌려가며 매일 배달시켜먹던 저였는데
그게 더 제 몸을 혹사 시켰던 걸까요.

그래서 전문가에게 물어보려하는데
가정의학과 가면 되려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람되고싶다
24/06/18 08:42
수정 아이콘
장기간 단식은 전문가 도움 없이 개인이 하면 위험합니다. 단식 끝나고도 바로 뭐 먹기보단 천천히 적응기간 가지면서 조금씩만 먹어야 하고요.
가정의학과든 내과든 어디든 가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알카드
24/06/18 09:07
수정 아이콘
치킨피자족발보쌈은 말그대로 노화를 수퍼가속해버리는 식사법은 맞습니다. 다만, 단식이 길어지면 근육량 보존에 있어서 불리할 가능성이 높아서 요즈음에는 긴 단식은 추천하지 않는 추세입니다.
24/06/18 09:32
수정 아이콘
단식 오래해서 특별히 좋을건 없을거에요. 간단하게라도 가벼운 음식 위주로 드세요
아케르나르
24/06/18 10:05
수정 아이콘
주에 이틀 정도는 괜찮다고 하던데, 그래도 전문가와 상담해보세요.
평온한 냐옹이
24/06/18 11:51
수정 아이콘
처음이면 48시간정도가 무난하실거에요. 오토파지 되면서 피부도 좋아지고 몸의 염증이나 아픈곳에 회복력이 올라가서 치유가 빠를겁니다.
사실 전문가의 도움을 기대하기 힘든 영역이라고 봅니다. 먹을걸 줄이면 다 해결될걸 많이 먹고 많이 소비하고 그래서 아프면 또 돈써서 고치게 세팅되어있는 사회에요. 스스로 경험해보고 조심스럽게 나가는게 최고입니다. 장기간으로 하려면 1일1식 정도를 추천드립니다.
24/06/18 15:27
수정 아이콘
만 5일까지는 해봤는데 그 정도로 장기 단식이라고 할 정도는 아니라고 합니다.

몇가지 팁을 드리면.

저는 미네랄(소금?)이랑 물만 매일 잘 챙겨먹으면 괜찮더라고요.
사람은 음식을 통해서도 물을 얻기 때문에 평소보다 많이 마셔야 합니다. (4L 목표)
설탕 안넣은 아메리카노는 마셔도 단식이 깨지지 않습니다.

단식 끝난 후에 다시 밥 먹으면 3끼 정도는 식후 혈당이 엄청나게 오르니
(몸이 아직 단식 모드라서 당을 안태워서 그렇습니다)
밥먹고 30분 후부터 가벼운 유산소 해주시면 좋습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24/06/18 23:41
수정 아이콘
제가 배탈이 한번 나면 심하게 나는데, 특히 좀 나아진줄 알고 뭐 먹으면 또 배탈이 오고 그래서 한번 배탈이 나면 3일정돈 기본으로 굶습니다. 그러다가, 진짜 심해서 2주정도 단식해본적 있는데, 말씀하신대로 이게 처음 이틀정도가 힘들지, 그 고비를 넘기고 나면 생각보다 상태가 괜찮죠.

배탈도 그렇지만 단식의 가장 좋은 친구도 이온음료입니다. 전해질 수분에 최소한의 칼로리도 부담없이 보충해주거든요. 저의 경우는 원래 돼지인지라 2주정도 굶어도 끄떡없었는데, 이온음료 잘 드셔가면서 한다면 일주일 정도는 누구나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식사 복귀할 때, 닝닝한 죽부터 서서히 복귀하는건 잊지 마시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6738 [질문] [헬스] 스테로이드등 약물 사용이 완전 불법인건가요?? [32] 애기찌와2795 24/06/19 2795
176737 [질문] 롤 접속 오류 [3] 두번째봄1726 24/06/19 1726
176736 [질문] 혹시 돈 질문해도 될까요 20대분들 저축 어떻게 하고계시나요 [43] 마그데부르크3486 24/06/19 3486
176734 [질문] 장호항에서 스노클링 해보신 분 계신가요?? [7] 원스2163 24/06/18 2163
176733 [질문] 온게임넷 과거 스타크래프트 다큐멘터리 관련 질문입니다. [1] 구아바구아바1915 24/06/18 1915
176731 [질문] 한쪽 시력이 안 좋은 사람은 vr 기기를 쓰기 어려울까요? [7] TheLasid1952 24/06/18 1952
176730 [질문] 러닝 초보가 질문 드립니다. [10] 테오도르1852 24/06/18 1852
176729 [질문] 야구룰 질문입니다. [10] cherish1720 24/06/18 1720
176728 [질문] 헤드폰 좋은거 한번 사봤는데 [14] 샤한샤1999 24/06/18 1999
176727 [질문] 명동,동대문 근처 질문 [7] 한지민짱1039 24/06/18 1039
176726 [질문] 안구건조 극복하신 분 있나요? [24] 탄야1749 24/06/18 1749
176725 [질문] 신세계 롯데 본점 샤넬 본점 매장 방문 문의 [17] 오징어개임1889 24/06/18 1889
176724 [질문] 일본에서 한국의 스타크래프트1과 같은 포지션인 스포츠 종목은 뭐가있을까요? [14] 보리야밥먹자2429 24/06/18 2429
176723 [질문] 환경(지구온난화, 기후변화) 관련 다큐멘터리, 책 추천 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4] 라온하제1435 24/06/18 1435
176722 [질문] 사람 심리 질문입니다. [22] 짐바르도2334 24/06/18 2334
176721 [질문] 부동산 질문입니다. [10] 교자만두1883 24/06/18 1883
176720 [질문] 몇 가지 질문 드려봅니다. [8] 아케르나르1377 24/06/18 1377
176719 [질문] 차 사면 활동반경 넓어지고 더 많은 경험을 할 수 있을까요? [52] 사람되고싶다3035 24/06/18 3035
176718 [질문] 다음 내용이랑 비슷한 전개의 소설이 있을까요? [5] 200608281321 24/06/18 1321
176717 [질문] 인바디 , 운동, 식이 고민입니다 [2] 속보1177 24/06/18 1177
176716 [질문] 단식 35시간 중입니다. 단식 전문가 있으실까요? [8] 선플러1989 24/06/18 1989
176715 [질문] 치과 선택 기준 등 여쭙니다. [13] 라니안2170 24/06/17 2170
176714 [질문] 교통사고 관련 질문입니다. [4] 더미짱1836 24/06/17 183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